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신체활동 감소, 고콜레스테롤혈증 지속 증가
  • 작성일2020-12-30
  • 최종수정일2020-12-31
  • 담당부서건강영양조사분석과
  • 연락처043-719-7491

신체활동 감소, 고콜레스테롤혈증 지속 증가


-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주요결과 발표 -


남자 흡연 개선(’0947.0% ’1935.7%), 반면 여자 음주(’0922.2% ’1924.7%), 신체활동(’1454.7%’1942.7%) 악화

콜레스테롤혈증 지속 증가(남자 ’0910.8% ’1921.0%, 여자 ’0911.8% ’1923.1%)

과일류 섭취 감소(09175g ’19141g), 반면 음료류 섭취 증가(0994g ’19 247g)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9년) 결과발표를 통해 우리 국민의 건강행태와 주요 만성질환 유병에 대한 최근 통계를 공개하였다.


 ○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우리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에 대한 국가 통계 산출을 위해 실시하고 있다.


   - 이 조사를 통해 흡연, 음주, 영양, 만성질환 등 약 250여개 지표의 국가 건강통계가 산출되고 있으며, 조사 결과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등 건강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1

 

국민건강영양조사(2019) 주요 결과


만성질환


□ 성인(만30세 이상)의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지속적 증가, 비만과 고혈압은 ’18년에 비해 소폭 감소, 당뇨병은 큰 변화가 없었다.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30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 남자 비만 유병률(만30세이상)은 ’19년 43.1%로 ’18년 대비(44.7%) 소폭 감소하였고, 여자는 27% 수준이었다.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19년 남자 21.0%, 여자 23.1%이며, 남녀 모두 ’05년 이후 증가 추이가 지속되고 있다.


 ○ 고혈압 유병률은 ’19년 남자 31.1%, 여자 22.8%이며, ’18년 대비(남자 33.2%, 여자 23.1%) 소폭 감소하였고, 남자에서 ’16년 이후 감소경향이 뚜렷하였다. 당뇨병 유병률은 남자 14.0%, 여자 9.5%로 ’11년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 질환으로 이행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한 전단계 분율은 고혈압의 경우 30-40대에서, 당뇨병의 경우 전 연령에서 유병률보다 높아 전단계 대상 중재가 필요하다.


<연령별 고혈압 및 당뇨병 전단계 현황(%)>

 

만성질환

연령()

고혈압

당뇨병

고혈압

고혈압 전단계

당뇨병

당뇨병 전단계

30-39

9.5

26.6

2.7

30.3

40-49

19.0

28.9

8.1

40.6

50-59

32.3

31.3

14.4

52.2

60-69

51.5

25.1

24.2

52.3

70+

67.2

20.4

31.0

49.9

* 자료원: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 고혈압: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 또는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는 분율

* 고혈압 전단계: 유병자가 아니면서 수축기혈압이 120-139mmHg 이거나 이완기혈압이 80-89mmHg인 분율

* 당뇨병: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의사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거나, 당화혈색소 6.5% 이상인 분율

* 당뇨병 전단계: 유병자가 아니면서 공복혈당이 100-125mg/dL 또는 당화혈색소가 5.7% 이상 6.4% 이하인 분율


 ○ 연령별로는 비만은 남자 30대, 고혈압과 당뇨병은 70대 이상, 고콜레스테롤혈증은 60대 이상에서 유병률이 가장 높고, ’09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연령별 만성질환 유병률(%)>

 

만성질환

연령()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09

’19

’19-’09

차이

’09

’19

’19-’09

차이

’11

’19

’19-’11

차이

’09

’19

’19-’09

차이

남자

30-39

38.5

46.4

7.9

11.5

15.1

3.6

4.2*

3.1*

-1.1

8.4

12.5

4.1

40-49

41.9

45.0

3.1

25.2

26.5

1.3

11.0

11.5

0.5

11.0

20.4

9.4

50-59

43.4

43.4

0.0

40.2

35.7

-4.5

20.7

18.9

-1.8

14.0

26.0

12.0

60-69

32.2

39.9

7.7

52.1

52.3

0.2

26.3

27.2

0.9

12.8

32.2

19.4

70+

19.9

30.4

10.5

58.5

59.5

1.0

23.6

30.0

6.4

8.5

25.0

16.5

여자

30-39

19.6

21.6

2.0

2.9

3.4

0.5

1.6*

2.3*

0.7

4.1

7.2

3.1

40-49

27.2

25.8

-1.4

11.0

11.1

0.1

5.7

4.7

-1.0

7.7

12.3

4.6

50-59

36.7

29.6

-7.1

30.5

28.8

-1.7

10.6

9.7

-0.9

21.0

36.4

15.4

60-69

41.4

34.9

-6.5

49.1

50.7

1.6

20.4

21.4

1.0

22.5

52.5

30.0

70+

38.1

37.0

-1.1

65.9

72.4

6.5

27.5

31.6

4.1

17.6

42.2

24.6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25-50%


 ○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모두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 등 관리지표가 개선되었으나, 30대와 40대에서는 여전히 50% 미만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만성질환 관리지표 추이(30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건강행태


□ 남자의 흡연은 소폭 개선되었으나 여자의 신체활동은 악화되고 있다.
 
○ 성인 남자의 현재흡연율(궐련 기준)은 ’19년 35.7%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역대 최저였다.


   - ‘19년 담배제품 종류별로 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궐련형, 액상형 전자담배를 사용한 남자의 분율은 각각 10.3%, 5.1%이었으며 남녀 모두 40대 이하에서 높았다.


   -  담배제품을 하나라도 사용하는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남자 39.7%, 여자 7.5%이었다. 



<주요 건강행태 추이(19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 월간폭음률은 ‘19년 남자 52.6%, 여자 24.7%로 그간의 추세와 달리 ’18년에 비해 남자는 소폭 증가, 여자는 소폭 감소하였다.


  - 연령별로 남자는 30대(62.0%), 여자는 20대(44.1%)에서 가장 높았고, 여자 20대의 경우 ‘09년 대비 월간폭음률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19년 남자 52.6%, 여자 42.7%로 여자의 경우 ‘14년 이래 지속 감소하였고, 특히 30-40대의 감소폭이 컸다.



<주요 건강행태 추이(19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연령별 건강행태 추이(%)>


건강행태

연령()

현재흡연율

월간폭음률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09

’19

’19-’09

차이

’09

’19

’19-’09

차이

’14

’19

’19-’14

차이

남자

19세 이상1)

47.0

35.7

-11.3

57.6

52.6

-5.0

62.0

52.6

-9.4

19-292)

51.9

37.8

-14.1

62.6

51.6

-11.0

79.8

68.4

-11.4

30-39

56.2

39.2

-17.0

62.2

62.0

-0.2

58.2

58.5

0.3

40-49

48.9

37.9

-11.0

64.1

54.1

-10.0

57.5

47.8

-9.7

50-59

41.6

36.7

-4.9

58.5

50.9

-7.6

60.2

40.9

-19.3

60-69

33.8

30.1

-3.7

45.2

49.8

4.6

53.7

44.4

-9.3

70+

23.7

17.0

-6.7

22.3

27.1

4.8

48.2

32.9

-15.3

여자

19세 이상1)

7.1

6.7

-0.4

22.2

24.7

2.5

54.7

42.7

-12.0

19-29

11.1

10.2

-0.9

36.2

44.1

7.9

64.1

55.1

-9.0

30-39

7.9

7.2

-0.7

23.9

26.2

2.3

57.8

39.0

-18.8

40-49

5.5

6.5

1.0

23.8

22.8

-1.0

56.9

42.9

-14.0

50-59

4.1

4.2

0.1

14.7

17.9

3.2

52.6

41.9

-10.7

60-69

4.5

4.4*

-0.1

7.9

8.0

0.1

42.7

34.5

-8.2

70+

6.8

2.5

-4.3

1.4*

2.1*

0.7

29.1

28.6

-0.5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25-50%, **:변동계수 50%이상

1)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

2) 조율


<담배종류별 현재사용률(%)>


담배 종류별

연령()

담배제품

현재사용률

일반담배

(궐련)

궐련형

전자담배

액상형

전자담배

기타담배

남자

19세 이상1)

39.7

35.7

10.3

5.1

1.3

19-292)

40.0

37.8

10.7

8.6

2.8*

30-39

45.0

39.2

16.2

7.9

1.4*

40-49

45.7

37.9

14.7

4.5

0.8*

50-59

38.0

36.7

3.7*

0.8**

0.4**

60-69

31.3

30.1

1.4*

1.3*

0.9*

70+

17.3

17.0

0.4**

0.1**

0.5**

여자

19세 이상

7.5

6.7

1.9

1.4

0.4

19-29

10.9

10.2

2.9*

3.7*

1.2**

30-39

9.5

7.2

3.3*

1.9*

0.4**

40-49

6.8

6.5

1.7*

0.6**

0.1**

50-59

4.5

4.2

0.8*

0.1**

0.1**

60-69

4.4*

4.4

0.0

0.0

0.0

70+

2.5

2.5

0.0

0.0

0.0


식생활과 영양


□ 과일류, 채소류 섭취 감소, 육류, 음료류 섭취 증가 추세는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20, 30대 젊은 연령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 과일류, 채소류 섭취량은 ‘19년 141g, 284g으로 전년(과일류 134g, 채소류 276g)과 유사하였고,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과일 및 채소의 권고 섭취 기준인 1일 500g 이상을 섭취하는 분율은 30% 수준이었다.


 ○ 반면, 당 과잉 섭취 우려로 섭취를 제한하는 음료류 섭취량은 성별, 연령과 무관하게 증가 추이(‘09년 94g → ’19년 247g)가 지속되고 있다.


 ○ 20대의 경우 다른 연령에 비해 과일류, 채소류 섭취량은 적고, 음료류 섭취량은 많았고, 과일, 채소류를 주요 급원으로 하는 비타민 C의 섭취량은 적고, 당 섭취량은 많았다.



<식품군별 섭취량 추이(19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 에너지 섭취량은 ‘19년 남자 2,338kcal, 여자 1,634kcal로 큰 변화 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에너지를 적정으로 섭취하고 있는 분율(에너지 필요추정량의 75% 이상 125% 미만 범위 내 섭취)은 감소하고 있다.


 ○ 남자의 경우 20, 30대에서 적정 섭취 분율이 낮았으며, 비만 유병률이 높은 30대의 경우 과잉 섭취 분율(27.6%)이 다른 연령에 비해 높았다.


 ○ 저체중 유병률이 높은 여자 20대의 경우 40% 이상이 에너지를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었고, 다른 연령에 비해 적정 섭취 분율이 낮았다.


 ○ 지방의 에너지 섭취 분율은 전년대비 1%p 증가하여 ‘19년 23%이었다.



<에너지 섭취량 및 급원별 섭취 분율 추이(19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에너지 부족/적정/과잉 섭취 분율(19세 이상)>


연령()

부족 섭취 분율

적정 섭취 분율

과잉 섭취 분율

’09

’19

’19-’09

차이

’09

’19

’19-’09

차이

’09

’19

’19-’09

차이

남자

19세 이상1)

29.9

30.9

1.0

51.5

47.4

-4.1

18.6

21.7

3.1

19-292)

42.1

39.2

-2.9

41.0

40.4

-0.6

16.9

20.4

3.5

30-39

21.7

26.6

4.9

57.0

45.8

-11.2

21.3

27.6

6.3

40-49

26.6

29.7

3.1

53.1

50.0

-3.1

20.3

20.3

0.0

50-59

24.3

24.9

0.6

55.1

54.5

-0.6

20.6

20.6

0.0

60-69

28.0

27.4

-0.6

55.7

48.9

-6.8

16.3

23.6

7.3

70+

42.7

38.8

-3.9

48.6

50.4

1.8

8.6

10.8

2.2

여자

19세 이상

41.1

41.5

0.4

48.1

45.7

-2.4

10.8

12.8

2.0

19-29

51.5

45.8

-5.7

39.6

40.6

1.0

8.9

13.6

4.7

30-39

39.7

41.9

2.2

47.8

43.3

-4.5

12.5

14.7

2.2

40-49

36.0

38.0

2.0

54.0

50.7

-3.3

9.9

11.4

1.5

50-59

34.9

38.2

3.3

51.8

48.0

-3.8

13.2

13.8

0.6

60-69

36.7

37.5

0.8

51.8

49.9

-1.9

11.5

12.5

1.0

70+

46.9

49.4

2.5

44.6

43.9

-0.7

8.5

6.7

-1.8


* 자료원: 국민건강영양조사
* 부족 섭취 분율 :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 섭취
* 적정 섭취 분율 :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75% 이상 125% 미만 범위 내 섭취
* 과잉 섭취 분율 :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125% 이상 섭취
1) 2005년 추계 인구로 연령표준화
2) 조율


□ 영양소 섭취 기준 마련,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의 위험요인 발굴 등을 위해 엽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엽산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 만 19세 이상 성인의 엽산 섭취량은 남자 345㎍DFE, 여자 282㎍DFE로 남자 51.1%, 여자 68.1%가 2015 영양소섭취기준의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 남녀 모두 20대에서 섭취량(남자 296㎍DFE, 여자 239㎍DFE)이 가장 적었다.


2

 

조사 결과의 의의


□ 보건복지부 이스란 건강정책국장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관련 중점과제를 수립하고 있으며,


 ○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건강 수준 향상과 소득‧지역‧성별 등의 격차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사회경제적 부담을 고려할 때 만성질환은 감염병 만큼 건강정책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며,


 ○ “그런 의미에서 우리 국민들에게 필요한 건강정책 개발을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와 같은 건강감시체계의 건강문제 발굴 및 선제적 대응을 위한 지표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조사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엄격하게 관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아울러 “우리 국민의 생활습관 개선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통계 생산 및 공개 방법을 다양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 보고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http://knhanes.kdca.go.kr)을 통해 12월 공개할 예정이다.


 ○ 올해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발표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주요 결과에 대해 영상으로 제작하여 상세 보고서와 함께 공개 예정이다.


<붙임> 국민건강영양조사 개요
<별첨>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 주요결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