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질병관리청 2022년 예산안 5조 1,362억 원 편성
  • 작성일2021-08-31
  • 최종수정일2021-09-01
  • 담당부서기획재정담당관
  • 연락처043-719-7233

질병관리청 2022년 예산안 5조 1,362억 원 편성


- 코로나19 예방접종 3조 1,530억 원, 방역대응 9,878억 원 본예산 편성 -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021년 8월 31일(화)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2022년 질병관리청 예산안이 2021년 본예산 대비 4조 1,445억 원(417.9%) 증가한 5조 1,362억 원 이라고 밝혔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방역대응 소요 예산이 본예산에 편성됨에 따라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2022년 예산안은  ▲코로나19 백신의 안정적 수급과 원활한 예방접종 지속 실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대응, ▲상시 감염병 예방·관리 및 만성질환 관리체계 강화, ▲보건의료 R&D 확대 등에 중점을 두고 편성하였다.


주 요 내 용

? 코로나19 예방접종 실시 (31,530억 원)

(백신도입) 9,000만 회 분*, 26,002억 원

* 해외백신 8,000만회분(잔금) + 국산백신 1,000만회분(잔금)

(시행비) 5,000만 명* 위탁의료기관 접종시행비 4,057억 원

* 위탁의료기관 4,515만명(90.3%), 보건소 등 485만명(9.7%)

(기타) 주사기 구입 등 백신 유통관리비(1,280억 원), 이상반응 피해보상 관리(120억 원), 예방접종시스템 운영(54억 원) 1,471억 원

? 코로나19 방역 대응 (9,878억 원)

진단검사비(4,960억 원), 생활지원·유급휴가비(2,406억 원), 중앙방역비축물품 구입(660억 원), 치료제 구입(417억 원), 격리입원치료비(237억 원), 임시생활시설운영(416억 원) 등 편성

? 상시 감염병 예방·관리

국가예방접종 실시(3,4783,749억 원)

-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대상연령 확대(12세만 접종~17세 및 18~26세 저소득층),인플루엔자 백신 단가 시행비 인상

권역감염병 전문병원 1개소 추가 확대(45개소)

방역통합정보시스템 신규 구축(23억 원), 전자검역 확대(인천,김포전 국제공항)

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 운영(5억 원, 신규), 소아용 항결핵제 시럽제 도입(6억 원, 신규)

HIV/AIDS 감염인 상담사업 참여의료기관 확대(2628), 고위험군 자가 검사키트(1만개) 지원

? 만성질환 관리체계 강화

비감염성 건강위해 관리체계 기반 구축(7억 원, 신규)

소지역(··) 간 건강격차 원인규명 및 해소를 위한 시범지역 확대(46), 퇴원손상심층조사 참여병원 확대(190250)

희귀질환 대상 확대(1,0141,086)에 따른 의료비 지원 증액(353381억 원)

? 보건의료 R&D 확대·강화 (1,344억 원)

신기술 기반 백신플랫폼 개발 지원(123억 원, 신규), mRNA백신 비임상 연구지원(67억 원, 신규), 공공백신개발지원(50억 원, 신규), 국가위기초래 바이러스 감염병 극복 기술개발(140억 원, 신규), 헬스케어인공지능개발(30억 원, 신규) R&D 투자 확대


□ 2022년 질병관리청 예산안 규모 및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2022년 질병관리청 예산안 규모


□ 2022년 질병관리청 총지출 규모는 5조 1,362억 원으로, 올해 본예산(9,917억 원) 대비 4조 1,445억 원(417.9%) 증가함

 ○ (예산) ’21년(3,932억원) 대비 4조 1,081억원(1,044.8%) 증액된 4조 5,013억 원

 ○ (기금) ’21년(5,985억원) 대비 364억원(6.1%) 증액된 6,349억 원

(단위 : 억원, %)

구 분

’21

’22

예산안

(B)

’21년 대비

본예산

(A)

예산현액

(추경·예비비등 포함)

증감

(B-A)

%

총 지 출

9,917

91,689

51,362

41,445

417.9

예 산

3,932

85,541

45,013

41,081

1,044.8

- 일반회계

3,614

85,215

44,692

41,078

1,136.6

- 특별회계

318

326

321

3

0.9

기 금*

5,985

6,148

6,349

364

6.1

- 국민건강증진기금

5,930

6,093

6,233

303

5.1

- 응급의료기금

55

55

116

61

110.9


 *「국민건강증진법」및「응급의료법」에 따라 기금관리주체가 보건복지부장관인 국민건강증진기금과 응급의료기금은 보건복지부에서 배정받아 사용하는 규모

. 2022년 질병관리청 예산안 주요 내용


1. 코로나19 안정적 예방접종 실시 (31,530억 원)


백신 도입 : (‘22) 26,002억 원

접종시행비 : (‘22) 4,057억 원

이상반응관리 : (‘22) 120억 원

백신유통관리 : (‘22) 1,280억 원

홍보 및 운영비 등 부대비용 : (‘22) 71억 원


 ○ (코로나19 백신 도입) 코로나19로 인한 치사율 감소 및 지역사회 확산 방지를 위하여 백신의 신속하고 충분한 물량 확보(2조 6,002억 원)

  - (해외백신) ‘22년 부스터샷·학령기 신규 접종을 위한 mRNA 백신확보 물량 8,000만회분 구매(잔금)(2조 4,079억원)

  - (국산 백신) 하반기 임상3상 본격화 예상으로 국산백신 1,000만회분* 구매(잔금)(1,920억원)

    * 1,500만회분 선금은 ‘21년 추경 반영, 이중 성공가능성 고려하여 1,000만회분 잔금 편성

 ○ (위탁의료기관 접종시행비) 위탁의료기관 접종대상 4,515만명분에 대한 접종시행비(4,057억 원)

   * ’22년 접종시행비 단가는 국가예방접종 시행비 단가 적용(19,220→19,420원)

 ○ (예방접종 이상반응 관리) 코로나19 예방접종으로 인한 이상반응 발생 시 피해보상(최대 4.4억 원) 등 지원(120억 원)

 ○ (기타) 주사기 구입 등 백신유통관리비(1,280억 원), 예방접종시스템 운영(54억 원), 기타 홍보·운영비(17억 원)

2.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대응 (9,878억 원)


진단검사비 : (‘22) 4,960억 원

생활지원·유급휴가비 : (‘22) 2,406억 원

치료제 구입 : (‘22) 417억 원

중앙방역비축물품 구입 : (‘22) 660억 원

장례비 지원 : (‘22) 83억 원

격리·입원치료비 : (‘22) 237억 원

코로나19변이바이러스 조사분석 : (‘22) 34억 원

임시생활시설 운영지원 : (‘22) 416억 원

선별진료소 지원 : (‘22) 391억 원

감염병전문 콜센터 운영 : (‘22) 190억 원

자가진단 앱 운영 : (‘22) 7억 원

국가격리시설 운영지원 : (‘22) 58억 원


 ○ (진단검사비 지원) 코로나19 무증상 또는 경증의 감염원을 조기에 발견하고 지역사회 확산 방지를 위하여 선별진료소(보건소, 의료기관) 및 임시선별검사소 등의 코로나19 진단 검사비용 지원(4,960억 원)

 ○ (생활지원비·유급휴가비 지원) 코로나19로 인해 자가 격리 통지서를 발부받은 입원·격리자의 안정적 생활을 뒷받침하기 위한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 지원(2,406억 원)

 ○ (코로나19 치료제 구입) 코로나19 확진환자 급증에 따라 중증, 경·중등증 치료제 및 경구용 치료제 구입(417억 원)

 ○ (중앙방역 비축물품 구입) 의료진 및 대응요원 등의 감염병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 개인보호구 등 방역비축물품 구입 및 지원(660억 원)

 ○ (장례비 지원)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 및 유가족 위로를 위하여 先 화장 後 장례를 치른 경우 장례비용(1인당 1천만 원) 등 지원(83억 원)

 ○ (격리입원치료비 지원) 코로나19 감염 전파 방지를 위해 보건소로부터 입원·격리통지서를 발급받은 내·외국인 환자 등에게 격리·입원 치료비(격리 시작일부터 해제일까지) 지원(237억 원)

 ○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조사·분석) 변이바이러스 감시 강화를 위해 유전자 서열 정보 생산 및 조사·분석(34억 원)

 ○ (임시생활시설 운영 지원) 해외입국자의 코로나19 감염자로 인한 국내 전파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시설격리가 필요한 해외입국자 대상 임시생활시설(7개소) 운영 지원(416억 원)

 ○ (선별진료소 지원)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의료기관에 필요한 시설·장비 등 지원(391억 원)

 ○ (감염병전문 콜센터) 대국민 민원상담 및 정보제공, 감염병 의심환자· 해외유입 및 원인불명 감염병 등의 신고ㆍ접수 운영(300명, 190억 원)

 ○ (신종감염병 국가격리시설 운영) 해외 입국 유증상자 등에 대한 격리시설에서의 진단검사 및 격리의 안정적 수행 지원(58억 원)

3. 신종감염병에 대한 선제적 위기 대응체계 강화


권역감염병 전문병원 구축 : (’21) 459 (’22) 266억 원 (193, 42.0%)

역학조사 역량강화 및 연구기반 조성 : (’21) 3 (’22) 9억 원 (+6, +200.0%)

검역관리 : (’21) 101 (’22) 111억 원 (+10, +9.9%)

신종감염병 입원치료병상 확충유지 : (’21) 33 (‘22) 37억 원 (+4, +12.1%)


 ○ (권역감염병 전문병원 구축) 대규모 신종감염병 위기 상황에 대비한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 1개소 추가 확대(4→5개)

    * 기존 4개소는 공정률 등을 고려한 공사비 반영, 추가 확대 1개소는 설계비 반영(23억 원)

 ○ (역학조사 역량강화 및 연구기반 조성) 지자체의 역학조사 능력 배양을 위한 역학조사 체계 고도화(3억 원, 신규), 감염병 예측 모델 개발 및 역학감시 체계 구축(3→6억 원)

 ○ (검역관리) 검역조치의 자동화 및 검역정보 DB화를 통해 입국자 사후관리 강화를 위한 ICT기반 전자검역체계 확대* 구축

    * (’21) 인천공항(2터미널) 및 김포공항 → (’22) 추가 5개 국제공항

 ○ (신종감염병 입원치료병상 확충유지)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281개)의 안정적이고 적정 시설 유지를 위한 병상 유지비 지원 강화(33→37억원)

4. 상시 감염병의 철저한 예방·관리


국가예방접종실시 : (’21) 3,478 (’22) 3,749억 원 (+271, 7.8%)

질병대응센터 역량강화 지원(신규) : (‘21) 0 (‘22) 14억 원 (순증)

국가결핵예방 : (‘21) 513 (‘22) 491억 원 (22, 4.3%)

에이즈 및 성병예방 : (‘21) 151 (‘22) 165억 원 (+14, 9.1%)

의료관련 감염관리 : (‘21) 107 (‘22) 105억 원 (2, 1.9%)

감염병예방 및 관리 종합정보지원시스템 구축운영(정보화) : (‘21) 44 (‘22) 67억 원 (+23, 52.3%)

감염병표준실험실 운영 : (‘21) 99 (‘22) 123억 원 (+24억원, 24.1%)


 ○ (국가예방접종실시)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한 HPV 백신 접종대상 연령 확대(12세만 접종→ ~17세 및 18~26세 저소득층), 인플루엔자 백신 및 시행비 단가 인상

 ○ (질병대응센터 역량강화 지원) 권역 내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 및 감염병 검사분석 거점 기능 강화(14억 원, 신규)

 ○ (국가결핵예방) 결핵안심벨트* 참여 기관 확대(12→14개), 노숙인 결핵시설(미소꿈터) 운영(2.7→3.3억 원) 및 결핵요양시설(대구요양원) 운영 지원(2→3.4억 원) 확대

    * 저소득층 등 경제력이 취약한 결핵환자를 대상으로 치료비 등 서비스 제공

  - 결핵균에 노출된 소아에게 예방적 치료 및 복용 순응을 고려한 소아용 항결핵제(이소니아지드, 시럽제) 지원(6억 원, 신규), 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 운영 지원(5억 원, 신규)

    * 신약 등 감수성 검사체계 구축 및 운영을 통해 내성결핵 진단·치료 제공

 ○ (에이즈 및 성병예방) HIV 감염인 상담사업 참여의료기관 확대(26→28개소), 고위험군 대상 자가검사키트(1만개) 지원(3억 원, 신규)

 ○ (의료관련 감염관리) 국내 의료기관 의료관련 감염관리 실태조사확대(병원 1,000여개→요양병원 및 의원 34,000여개), 중소병원 대상 의료관련 감염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네트워크 확대(10→17개), 전국의료관련감염감시체계(KONIS) 확대(요양병원 55개→요양병원 100개, 정신병원(신규) 100개)

 ○ (감염병예방 및 관리 종합정보지원시스템 구축운영(정보화)) 신종감염병 발생 및 확산 등에 대비한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23억 원, 신규),  역학조사통합정보시스템 유지관리(19억 원, 신규)

 ○ (감염병표준실험실 운영) 원인불명감염병 실험실 분석체계 강화를 위한 병원체 감시대상 병원 확대(10→20개), 병원체 유전자정보 통합DB 구축을 위한 ISP 수립(2억 원, 신규), 생물안전 시설 관리자 및 고위험병원체 취급자 대상 실습 교육시설 구축(6억 원, 신규)

5. 근거 중심 만성질환 관리체계 강화


만성질환예방관리 : (‘21) 311 (‘22) 328억 원 (+16, 5.3%)

국민건강영양조사 : (‘21) 53 (‘22) 54억 원 (+1, 1.9%)

희귀질환자 지원 : (‘21) 353 (‘22) 381억 원 (+28, 7.9%)

건강위해 관리체계 및 기반구축(신규) : (‘21) 0 (‘22) 7억 원 (순증)


 ○ (만성질환예방관리) 퇴원손상심층조사 참여병원 확대(190→250개), 소지역(읍·면·동) 간 건강격차 원인규명 및 해소를 위한 시범지역 확대(4→6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증액(92→102억원)

 ○ (국민건강영양조사) ’22년 조사항목(근감소증) 추가 도입

 ○ (희귀질환자 지원) 희귀질환 대상 확대(1,014→1,086개) 등에 따른  의료비 지원 증액(324→354억 원)

 ○ (건강위해 관리체계 및 기반구축) 비감염성 건강위해 조사·대응, 중독 심층실태조사, 건강영향평가 모형개발, 손상예방관리 등 건강위해 관리체계 구축(7억원, 신규)

6. 보건의료 R&D 및 연구 인프라 강화 (1,344억 원)


신기술 기반 백신플랫폼 개발 지원(R&D)(신규) : (‘21) 0 (‘22) 123억 원 (순증)

신변종 감염병 대응 mRNA백신 임상지원(R&D)(신규) : (‘21) 0 (‘22) 67억 원 (순증)

국가위기초래 바이러스 감염병 극복 기술개발(R&D)(신규) : (‘21) 0 (‘22) 140억 원 (순증)

공공백신개발지원사업(R&D)(신규) : (’21) 0 (’22) 50억 원 (순증)

만성병 관리기술 개발연구(R&D) : (’21) 158 (’22) 210억 원 (+51, 32.2%)


 ○ (신기술 기반 백신플랫폼 개발 지원(R&D))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등 신변종 감염병 대응 신속 개발을 위한 mRNA 백신 플랫폼 선도 기술 도입 등 인프라 구축(73억 원, 신규) 및 mRNA 백신 등 효능평가 지원(50억 원, 신규)

 ○ (신변종 감염병 대응 mRNA백신 임상지원(R&D)) mRNA백신 실용화 연구지원을 위한 국내 제약사 기반의 기술·융합형 비임상연구 지원(67억 원, 신규)

 ○ (국가위기초래 바이러스 감염병 극복 기술개발(R&D)) 코로나19·메르스 등 신·변종 감염병과 인플루엔자·에이즈 등 급·만성 바이러스 감염병 예방·치료 등에 필요한 공익적 기술 확립(140억 원, 신규)

 ○ (공공백신개발지원사업(R&D)) 민간개발기피 백신(생물테러 등 국가안보 대응 및 유행하지 않는 미래대응 백신 등) 공공개발 연구(40억 원, 신규),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국립감염병연구소 內) 관리 및 운영(10억 원, 신규)

 ○ (만성병 관리기술 개발연구(R&D))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등 주요 만성질환 중재기술 개발(44→78억 원), 고령화 대응 뇌질환연구 및 뇌질환 연구기반 조성(48→64억 원)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22년 정부 예산안은 개청 이후 첫 편성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함과 동시에, 현재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하반기 예방접종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2022년 질병관리청 예산안 사업별 담당자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