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한‧중‧일 3국, 감염병 대응을 위한 정보 공유 및 협력 강화
  • 작성일2021-12-09
  • 최종수정일2021-12-10
  • 담당부서국제협력담당관
  • 연락처043-719-7753

한‧중‧일 3국, 감염병 대응을 위한 정보 공유 및 협력 강화


15차 한··일 감염병 예방관리 포럼 및 심포지엄 참석

예방접종 후 코로나19 관리 방안 및 항생제 내성을 주제로 토론회 실시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2021년 12월 9일(목)부터 10일(금)까지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NIID)에서 개최하는 제15차 한‧중‧일 감염병 예방관리 포럼(이하 ‘감염병 예방관리 포럼’)과 부대 행사인 제4차 한‧중‧일 공동심포지엄(이하 ‘공동심포지엄’)에 비대면으로 참석했다고 밝혔다.


 ○ 감염병 예방관리 포럼은 동북아 3국의 감염병 관리 기관*이 감염병 유행에 대비하여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2007년 이후 매년 3국 기관에서 순환개최**하고 있다. 


    * 한국 질병관리청, 중국 질병관리본부,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

   ** 2016년, 2020년에는 질병관리청에서 개최 


 ○ 이번 행사는 본 행사인 포럼, 부대 행사인 심포지엄 및 양자 회담으로 구성되었다.


□ 본 행사인 한‧중‧일 감염병 예방관리 포럼에서는 ‘항생제 내성’을 주제로, 코로나19의 항생제 내성에 대한 영향과 각국의 항생제 내성 감시체계 등에 대한 공유 및 토론이 진행되었다.


 ○ 우리나라는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소개하고 의견을 교환하며, 특히 항생제가 듣지 않는 내성균 출현과 국가 간 인적·물적 교류 과정에서의 확산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항생제 양·종류 적정한 사용을 통한 항생제 내성균 발생감소 ▲감시체계 강화와 적극적 감염관리를 통한 항생제 내성균 확산억제 ▲연구개발 적극 지원을 통한 항생제 내성 관리 협력체계 활성화 추진


□ 공동심포지엄*에서는 3개국의 코로나19 예방접종률이 높은 만큼, 각국의 백신 효과성 및 이상 반응에 대하여 정보를 교류하고, 예방접종 이후 코로나19 관리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하였다.


    * 지난 3개년간 공동심포지엄 주제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18. 일본 도쿄), 열대질환심포지엄(`19. 중국 상하이), 코로나19 대응 방안(‘20, 한국 화상)


 ○ 또한 지난여름 개최된 도쿄 올림픽 당시 코로나19 감시 및 예방 전략 등에 대한 일본 측의 특별발표와 함께, 올림픽과 같은 대중 밀집 행사 시의 코로나19 대응 전략에 관해서도 토론이 진행되었다. 


□ 이번 참석 기간 중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일본 타카지 와키타(Takiji Wakita) 국립감염병연구소장, 중국 가오 푸(Gao Fu) 질병관리본부장과 각각 양자 면담을 진행하여 예방접종 이후 코로나19 관리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


 ○ 일본과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 현황 및 향후 네트워크 수립, 계절성 독감 및 E형 감염 선별검사 현황과 같은 주요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였다. 


 ○ 중국과는 다가오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코로나19 위험평가와 대응 전략 및 코로나19 하에서의 독감 시즌 대비 방안 등에 대하여 추가로 논의하였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공중보건 위기 시 대응을 위한 국제협력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적·물적 이동이 그 어느 지역보다 많은 한‧중‧일 3국 간의 감염병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가 더욱 견고해지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붙임>  한‧중‧일 감염병 예방관리 심포지엄 및 포럼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