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과학적 방역체계 및 바이오빅데이터 구축 관련 정책 참고자료
  • 작성일2022-05-26
  • 최종수정일2022-05-27
  • 담당부서기획재정담당관
  • 연락처043-719-7221

과학적 방역체계 및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관련 정책 참고자료



-주요 내용-


□ 윤석열 대통령 질병관리청 방문과 관련하여 방역 정책 및 바이오헬스 정책 관련 다음과 같은 참고자료를 배포해 드림




【 과학적 방역체계 구축 관련 】


1. 과학적 방역 정책의 주요 원칙과 방향


 ○ (기존) 분산 및 분절된 데이터 활용으로 정책 근거 생산에 한계


  → (향후) 활용 가능한 최대한의 정보와 근거에 기반한 방역정책


 ○ (기존) 전문가의 과학적·합리적 의견 반영 미흡


  → (향후) 전문가 중심의 집단 지성을 활용한 방역정책 수립


 ○ (기존) 인구집단 특성 반영 불충분


  → (향후) 인구집단 특성, 행동 양식, 수용성을 충분히 고려한 정책



2. 주요 추진 과제


 1) 데이터 생산?분석 역량 고도화 추진


 ○ 방역정책 결정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정보 수집 또는 신규 데이터 수집 체계 마련


     * 예) 하수 기반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조사, 코로나19 후유증 조사 등


 ○ 확진자, 예방접종 정보 등 방역 관련 데이터와 질병청, 타 기관에서 보유 중인 정보 연계를 통해 방역정책 수립에 유용한 정보 창출  


     * 예) 건보공단 협업을 통한 코로나19 빅데이터 구축


 ○ 기존에 수집된 각종 정보에 대한 분석 역량 강화를 통해 방역 조치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 마련 및 정책 보완


     * 예) 질병청 내 슈퍼컴퓨터 도입, 감염병 예측 모형 전문인력 확보 등


 ○ 수집된 정보를 민간과 공유, 공동연구를 추진하여 민간의 연구?분석을 활성화하고, 정책제언 기능 촉진



 2) 전문가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의사결정 구조 및 절차 개선


 ○민간전문가 중심, 독립적 운영,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별도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기구 신설 추진


 ○ 자문기구와 방역정책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중대본을 연계하여 전문가 의견이 주요 정책결정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기회 확보


   - 자문기구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책제언을 중대본에 보고하고, 소관부처 검토?조율 후 중대본 회의에서 최종 심의·확정


 ○ 자문기구 위원 선정 시 대표성,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격요건을 설정하여, 학회 추천을 받거나 학문 업적이 검증된 자로 선발


 ○ 의사결정 과정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제언 내용 및 부처 검토 결과 등을 홈페이지를 통해 대국민 공개



【 바이오뱅크 및 바이오 빅데이터 관련 】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바이오뱅크) 건립 배경


 ○ (인체자원) 바이오헬스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 주도 인체자원의 안정적인 수급(수집?공유) 필요성 증가


   - 인체자원 특성을 고려한 자원 제공자의 권리 보호 등 안전하고, 고부가가치 인체자원 수집·관리·활용체계 구축에 대한 요구   


 ○ (중앙인체자원은행) 바이오헬스 정책과 직결되는 주요 분야 인체자원* 의 통합 중점 관리에 대한 중요성 부각

     * 감염병 진단 양성 시료, 필수백신 면역능 모니터링 시료, 희귀질환 환자시료, 만성병 연구시료 등 


   - 2012년 대규모 저장시설* 및 연구시설을 갖춘 아시아 최대 규모 (최대 100만명분)의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개관

     * 1,440평 공간에 최대 820대 인체자원 저장장비(초저온 냉장고, 전자동 자원 관리시스템 등) 운영 가능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바이오뱅크) 주요 기능


 ○ 생명윤리법 등 관련 법·제도에 따른 인체자원 수집·관리·활용을 위한 규정·지침* 등을 마련하여 배포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운영·관리 규정(질병관리청 예규 제42호) 및 인체자원 관리지침(’21.11월 개정)


 ○ 민간 인체자원은행의 자원 관리 표준화를 위해 선진 인체자원관리시스템*을 무료 배포,  품질관리 숙련도 향상을 위해  인체자원 정도관리 숙련도시험** 매년 시행 중 

   * 인체자원관리시스템(HuBIS_Sam)은 국내 66개 민간 인체자원은행에서 사용 중

  ** (검증 참여 기관) (’13년) 21개 → (’16년) 33개 → (’19년) 33개 → (’21년) 55개 기관 참여


 ○ 고품질 인체자원의 지속적 분양*을 통해 연구개발 촉진

    * 4,095개 과제 지원, 126만건 인체 자원 분양, 1,519건 연구논문, 133건 특허 성과 창출


   -  특히, 코로나19 등 긴급상황시 보유한 감염병 인체자원 분양을 통해 체외진단 및 치료제 개발에도 핵심적 역할을 수행

     * 코로나19 양성검체 분양 : 25개 과제 승인 및 분양 중 (3,024개 인체유래물)


□ 바이오뱅크 기반 바이오빅데이터로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 견인


 ○ 인체자원, 임상정보, 전장유전체 분석정보 등 바이오 빅데이터 시대 도래


  - 바이오헬스 산업에서의 활용이 기존 인체자원 중심에서 인체자원과 함께 수집되고 만들어지는 임상정보, 전장유전체 분석정보 등 바이오 빅데이터로 확대



<그림> 미래 바이오헬스 산업 지원을 위한 바이오뱅크 3.0 모델 개요



   - 미국, 영국 등 주요국*들도 바이오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밀의료 인프라 구축사업을 적극 추진 중 


    * (영국) UK biobank 50만명분, (미국) All of Us 100만명분, (핀란드) Finngen 50만명분 인체자원 및 데이터 확보 및 개방


 ○ 바이오뱅크의 글로벌 경쟁력은 제한된 시간에 최대한의 자원 확보 능력


   - 대용량 자원처리 자동화 및 고속처리 가능한 제2의 바이오뱅크 증축계획*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바이오뱅크 도약이 필요한 시점


     * 총 사업비 184억원, 1,618평 4층 규모로 증축 예정, 자동화 바이오뱅크 시설·장비 구축시 시설투자비/편익비(B/C) 3.08로 평가


 ○  바이오뱅크 기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추진


   - ’20년부터 ’22년도에 걸쳐 참여자 동의 기반의 총 2만 5천 명분* 의료정보, 전장유전체 데이터 등의 확보· 공유체계 마련을 위한 시범사업 진행 중


      * 희귀질환자 1.5만명분, 기존 유전체 사업 성과 연계 1만명분으로 구성


   -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질병관리청 등 범부처 협업체계를 통해 중증난치질환, 암, 만성질환 등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을 추진 중


     * 국정과제 ‘보건의료 빅데이터 구축?개방을 통한 정밀의료 촉진’ 이행을 위해 2024년 사업 시작을 목표로 1조원 규모 예비타당성조사 추진 중 


 ○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 새로운 과학기술과 바이오 빅데이터를 통한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 견인


   - 과거 경험적·직관적 의료에서 데이터 기반 보건의료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환자 개인별 맞춤형 질병 예방·진단·치료 기술개발 활성화


   - 현행 표준적·보편적·경험적 치료법보다 환자 맞춤의 높은 약물 반응성 신약을 통해 치료 효율 개선


   - 바이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결합되어 약물 구조 분석 및 설계,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신약 개발 등 기대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