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재유행 대비 4차접종 대상 확대 및 미접종자 접종 독려(7.13.)
  • 작성일2022-07-13
  • 최종수정일2022-07-14
  • 담당부서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기획팀
  • 연락처043-913-2309


재유행 대비 4차접종 대상 확대 및 미접종자 접종 독려

-고위험군의 보호를 위한 50대, 성인 기저질환자 등 4차접종 권고-




-주요 내용-

재유행이 우려되는 방역상황, 백신 접종자도 쉽게 감염되는 신규변이(BA.5)의 특성, 백신효과(4차접종의 중증·사망 예방효과 유지) 등 고려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 대상을 확대하고 접종을 적극 권고하는 한편,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참여 독려 

 ○ 전체 4차접종 대상은 50세 이상 연령층,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 및 노숙인 시설)의 입원·입소·종사자

 ○ 당일접종 7월 18일(월)~, 사전예약 7월 18일(월)~, 예약접종 8월 1일(월)~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재유행에 대비하여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 대상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추가되는 4차접종 대상은 50대 연령층,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장애인·노숙인 생활시설 등이다. 


 ○ 그간 4차접종은 2022년 2월 14일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및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입원·입소·종사자, 4월 14일 60세 이상 연령층을 대상*으로 추가하여 시행 중에 있다. 


    * 인구 대비 31.4%, 7월 말 기준 대상자 대비 35.3% 3차접종 완료



○ 그러나, 올해 초 오미크론 유행 이후 백신 접종자와 감염자의 면역감소 시기가 도래하였고, 전파력이 높은 신종변이(BA.5)의 확산으로 재유행이 우려되고 있어,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의 대상 확대를 검토하였다.





□ 이번 시행계획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진행한 4차접종의 효과 등 그간 국내에서 축적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수립했으며, 신규변이(BA.4, BA.5)의 특성, 주요국(미국, 포르투갈, 영국 등)의 재유행 사례 및 접종정책 방향 등 국외 연구·정책을 폭넓게 참고했다. 


 ○ 이번 4차접종 확대계획은 백신분야 전문가 자문회의(7월 8일)와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7월 11일)를 거쳐 결정하였으며, 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7월 11일)에서도 사전 논의를 진행하였다.


 ○ 대상별 접종 필요성과 세부적인 계획은 다음과 같다.





□ [방역상황: 발생현황, 재감염 현황, 위중증·사망현황 ]


 ○ (발생현황) 7월 1주(7.3.~7.9.) 주간 일평균 약 1.6만 명 발생하여 전주 대비 87% 증가하였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40으로 6월 1주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53

(5.15~5.21.)

54

(5.22~5.28.)

61

(5.29.~6.4.)

62

(6.5.~6.11.)

63

(6.12.~6.18.)

64

(6.19.~6.25.)

65

(6.26~7.2.)

71

(7.3~7.9.)

확진자수()

181,856

129,319

86,216

64,284

52,403

49,375

59,834

111,910

일 평균 확진자()

25,979

18,474

12,317

9,183

7,486

7,054

8,548

15,987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50.3

35.8

23.9

17.8

14.5

13.7

16.6

31.0

전 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72

0.71

0.67

0.75

0.82

0.94

1.21

1.87

감염재생산지수(Rt)

0.83

0.81

0.74

0.79

0.86

0.91

1.05

1.40



 ○ (재감염 현황) 시간경과에 따른 예방접종 효과 감소, 기존 감염자의 자연면역 저하, BA.5형 변이의 면역회피 경향 등으로 재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 주간(-‘22.7.2.)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2.87%로 증가 추세 ((5월1주) 0.59 → (6월1주) 1.22 → (2주) 2.03 → (3주) 2.63→ (4주) 2.94→ (5주) 2.87)


   - 특히, 면역회피가 높은 BA.5형 변이 검출률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유행 확산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5형 23.7%(6월 4주 대비 16.2%p 증가)


 ○ (위중증·사망현황) 7월 1주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48명으로 전주 대비 4.0% 감소하였고, 사망자 68명으로 전주 대비 34.8% 증가하였으나, 낮은 수준으로 유지 중이다.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 (‘22.7.9일 0시 기준)





□ [접종 필요성 : 고위험군 중증·사망 예방 필요]


 ○ 4차접종은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목적으로 면역형성이 어려운 대상 및 고연령층에 대해 선제적으로 시행 중이다.


   - 국내 코로나19 4차접종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3차접종군 대비 4차접종군의 감염 예방효과는 20.3%, 중증화 예방효과는 50.6%, 사망 예방효과는 53.3%로 나타났다. 


    * (분석기간·대상) '22.2.16. ~ '22.4.30., 3차접종 후 4개월이 경과한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 약 151만 명 


<그림>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의 3차접종 대비 4차접종 예방효과




 ○ 또한 현재 백신은 감염예방효과가 낮고 지속기간이 짧으나, 중증 및 사망예방효과는 50% 이상으로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신규변이 유행에도 현재 백신의 중증·사망 예방효과는 유지되므로, 현재 백신을 고위험군의 선제적 보호수단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간경과에 따른 3차접종 대비 4차접종의 효과>


구분

분석기간

3차 접종 대비 4차 접종 예방효과(%, 95%CI)

0-14

15-30

16-45

46일 이상

감염

’22.2.16.

~’22.4.30.

21.0%

(20.1% ~ 21.8%)

24.6%

(23.6% ~ 25.6%)

8.9%

(7.0% ~ 10.7%)

6.2%

(2.4% ~ 9.8%)

중증화

’22.2.16.

~’22.4.30.

(추적관찰

~’22.5.28.)

50.5%

(44.0% ~ 56.3%)

55.0%

(47.3% ~ 61.5%)

39.9%

(24.5% ~ 52.1%)

40.7%

(2.7% ~ 63.9%)

사망

54.1%

(47.3% ~ 60.0%)

55.2%

(46.9% ~ 62.3%)

44.0%

(26.4% ~ 57.3%)

42.9%

(-5.4% ~ 69.1%)




 ○ 한편, 국외 연구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캐나다의 장기요양시설 입소자를 대상으로 한 4차접종 효과 분석 Effectiveness of a fourth dose of covid-19 mRNA vaccine against the omicron variant among long term care residents in Ontario, Canada: test negative design study, 30 December 2021 to 27 April 2022. (theBMJ., ’22.7.6.)

에서, 백신효과는 매 접종마다 증가하였으며, 미접종자 대비 4차접종의 감염 예방효과가 49%, 중증(입원 또는 사망)예방효과가 86%로 나타났다. 


   - 위 연구 결과는 오미크론 변이 유행에도, 4차접종이 장기요양시설 입소자의 중증·사망 위험을 낮췄음을 시사한다.


    * 분석대상/기간: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있는 626개 장기 요양시설 60세 이상 거주자 61,344명 대상 백신효과 분석(‘21.12.30~‘22.4.27.) 




<그림> 2차·3차·4차접종 후 백신 예방효과




[50대 연령층]


 ○ 3차접종 후 4개월 이상 경과 50대는 7.11일 기준 676.6만 명으로, 50대 3차접종자(703.6만명)의 96.2%에 육박하여 대다수가 3차접종 후 4개월 경과 중이다.


 ○ 50대 연령층은 당뇨병, 뇌졸중, 심부전 등에서 60대와 유사한 기저질환 유병률을 보이며,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있다.


 ○ 같은 맥락에서 美 FDA·CDC도 이스라엘 데이터, 의학적 합병증을 앓고 있는 고위험군 중 50-65세가 다수라는 점, 인플루엔자 고위험군 등을 고려하여 50세 이상을 4차접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 코로나19로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주(4월1주)에서, 조사가 완료된 60세 미만 사망자는 모두 기저질환을 보유했으며, 그 중 주요 기저질환은 심부전 등 순환기계 질환(28.1%), 당뇨병 등 내분비계 질환(22.3%) 순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기저질환 여부(, %)(’22.4.3.~4.9.)>

기저질환 여부

1주 합계

60세 이상

60세 미만

세부질환명

2,163

(100.0)

2,041

(100.0)

122

(100.0)

-

있음

1,533

(70.9)

1,456

(71.3)

77

(63.1)

-

기저질환

순환기계 질환

1,002

(33.0)

969

(33.3)

33

(28.1)

뇌경색, 심부전 등

신경계 질환 등

584

(19.2)

574

(19.8)

10

(7.2)

치매, 파킨슨질환 등

내분비계 및 대사성질환

546

(18.0)

522

(18.0)

24

(22.3)

당뇨병, 갑상선질환, 통풍 등

비뇨생식기계 질환

195

(6.4)

186

(6.4)

9

(7.9)

만성신장질환, 전립선질환 등

악성신생물()

218

(7.2)

191

(6.6)

27

(15.8)

폐암, 간암, 위암 등

정신질환

127

(4.2)

123

(4.2)

4

(3.6)

조현병, 우울증 등

호흡기계 질환

167

(5.5)

160

(5.5)

7

(4.3)

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등

근골격계 질환

70

(2.3)

69

(2.4)

1

(0.0)

골다공증, 관절염 등

혈액 및 조혈계질환

26

(0.9)

25

(0.9)

1

(2.2)

원발성 혈소판증가증, 빈혈 등

소화기계 질환

45

(1.5)

35

(1.2)

10

(2.9)

간경화증 등

기타질환

57

(1.9)

52

(1.8)

5

(5.8)

눈 질환, 장애 등

조사중

628

(29.0)

583

(28.6)

45

(36.9)

-

없음

2

(0.1)

2

(0.1)

0

(0.0)




 ○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 60세 이하에서도 상기 질환들의 환자 비중 및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뇌졸중, 심부전 등을 앓고 있는 환자 중 약 40%가 20~50대로, 해당 연령대의 기저질환자도 고령층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연령별 기저질환 환자* 및 유병률** 현황(, %)>

구분

당뇨병

뇌졸중

심부전

환자 수

비중(%)

유병률

환자 수

비중(%)

환자 수

비중(%)

70세 이상

1,085,857

32.6

31.5

37,020

37.3

149,590

65.3

60-69

1,052,367

31.6

25.1

28,248

28.5

45,341

19.8

50-59

854,128

25.6

19.1

23,332

23.5

25,067

11.0

40-49

380,979

11.4

9.0

10,382

10.5

11,041

4.8

30-39

121,568

3.6

4.4

3,124

3.1

4,030

1.8

20-29

35,005

1.0

0.7

1,002

1.0

1,182

0.5



[감염취약시설(장애인·노숙인 생활시설)]


 ○ 장애인은 비장애인 대비 높은 위중증과 사망 비율을 차지한다. 장애인 표준화 중증화율은 비장애인 대비 2.9배 높으며,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중 장애인이 26.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중증화율 및 표준화 중증화율(, %)>

연령대

총합계

장애인

비장애인

B/A

*100

(%)

중증

화율

(C/D)

전체

위중증

+

사망(A)

중증

화율

N

위중증

+

사망(B)

중증

화율

(C)

N

위중증

+

사망

중증

화율

(D)

전체

8,120,489

27,020

0.33

302,117

7,204

2.38

7,818,372

19,816

0.25

26.7

9.41

0-9

1,002,916

51

0.01

8,933

14

0.16

993,983

37

0.004

27.5

42.10

10-19

1,118,883

57

0.01

13,043

26

0.20

1,105,840

31

0.003

45.6

71.11

20-29

1,273,147

249

0.02

14,818

40

0.27

1,258,329

209

0.02

16.1

16.25

30-39

1,202,830

635

0.05

16,936

64

0.38

1,185,894

571

0.05

10.1

7.85

40-49

1,265,092

1,213

0.10

29,429

195

0.66

1,235,663

1,018

0.08

16.1

8.04

50-59

970,736

2,525

0.26

45,622

465

1.02

925,114

2,060

0.22

18.4

4.58

60-69

764,579

5,323

0.70

67,530

1,382

2.05

697,049

3,941

0.57

26.0

3.62

70-79

323,568

6,577

2.03

55,356

2,014

3.64

268,212

4,563

1.70

30.6

2.14

80세이상

198,738

10,390

5.23

50,450

3,004

5.95

148,288

7,386

4.98

28.9

1.20

표준화중증화율(표준인구: 총확진자)

0.85

0.29

2.93





   - 또한, 장애인의 표준화 치명률은 비장애인 대비 2.7배 높으며, 전체 사망자 중 장애인은 31.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별 치명률 및 표준화 치명률(, %)>

연령대

총합계

장애인

비장애인

B/A

*100

(%)

치명률

(C/D)

전체

사망

(A)

치명률

N

사망

(B)

치명률

(C)

N

사망

치명률

(D)

전체

8,120,489

14,299

0.18

302,117

4,475

1.48

7,818,372

9,824

0.13

31.3

11.79

0-9

1,002,916

8

0.00

8,933

2

0.02

993,983

6

0.00

25.0

37.09

10-19

1,118,883

3

0.00

13,043

2

0.02

1,105,840

1

0.00

66.7

169.57

20-29

1,273,147

33

0.00

14,818

15

0.10

1,258,329

18

0.00

45.5

70.77

30-39

1,202,830

68

0.01

16,936

18

0.11

1,185,894

50

0.00

26.5

25.21

40-49

1,265,092

175

0.01

29,429

72

0.24

1,235,663

103

0.01

41.1

29.35

50-59

970,736

592

0.06

45,622

194

0.43

925,114

398

0.04

32.8

9.88

60-69

764,579

1,819

0.24

67,530

628

0.93

697,049

1,191

0.17

34.5

5.44

70-79

323,568

3,460

1.07

55,356

1,211

2.19

268,212

2,249

0.84

35.0

2.61

80세이상

198,738

8,141

4.10

50,450

2,333

4.62

148,288

5,808

3.92

28.7

1.18

표준화중증화율(표준인구: 총확진자)

0.41

0.15

2.73




 ○ 노숙인 중 50대 이상이 82.0%로 상당수가 고령자이며, 34.1%가 대사성 질환(당뇨병·고혈압 등)·28.6%가 정신질환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숙인 연령별 비율(%)>

구분

70세 이상

60

50

40

40세 미만

연령별

11.5

39.7

30.8

12.6

5.4

<노숙인 질환보유별 비율(%)>

구분

대사성질환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간장질환

위장관질환

정신질환

질환보유별

34.1

3.7

4.5

2.3

8.1

28.6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1).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면접조사 원자료



 ○ 시간경과에 따른 면역력 감소, 신규 변이 바이러스 유행 등을 고려하여, 장애인·노숙인 생활시설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국외 동향 : 미국, 호주 방역당국 4차접종 대상 확대]


 ○ 현재 미국, 호주 등 국외 주요 국가에서는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 대상으로 4차접종을 실시하고 있으며, 4차접종 대상 확대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 미국은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른 고령층 입원환자 증가로 50세 이상에 대해 4차접종을 권고(5.19일)하였다.


   - 또한, 호주에서는 BA.4,BA.5 신규변이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4차접종을 50세 이상 성인에게 권고(7.8일)하고 있다.



<국외 주요국가 4차접종 동향>

국가

일반 인구
대상 연령

성인 기저질환자

요양시설과
그에 준하는 시설

4차접종 시기

(3차접종 후 간격)

이스라엘

60세 이상

(1.26)

4개월

미국

50세 이상

-

4개월

독일

70세 이상

(5.6)

3개월

일본

60세 이상

(5.18)

6개월

호주

50세 이상

(16세 이상, 5.25)

노인 요양원 및 장애인 주거시설

4개월

프랑스

60세 이상

-

3개월





□ [접종 세부계획 : 고위험군 접종 권고]



<접종대상 변경사항 요약>


국가

변경

변경

4차접종

(고위험군)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권고)

?좌동

?감염취약시설 (권고)

: 요양병원·시설 및 정신건강 증진시설 입원·입소·종사자

?감염취약시설 (권고)

: 좌동 + 장애인시설 및 노숙인시설 입원·입소·종사자

?80세 이상 (권고)

?60·70 (허용)

?50세 이상 (권고)

-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권고)

3차접종

(12세 이상)

-

?4차접종 대상(고위험군)에 대한 접종 적극 권고

기초접종

(5세 이상)

-

?성인 대상 기초접종 완료 권고



○ (접종목표) 재유행 우려에 대비하여, 코로나19 고위험군에 대한 중증·사망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 (접종대상) 50대 연령층 전체,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감염취약시설(장애인·노숙인 생활시설*) 입소자·종사자 중 3차접종을 완료하고 4개월(120일)이 경과한 분들을 대상으로 접종을 권고한다.


    * 2022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지침상 사회복지시설 종류에 따른 생활시설


   - (50대 연령층) 4차접종 대상자인 50대 연령층은 출생연도 기준으로 1963년 이후 출생자부터 1972년 이전 출생자까지 해당한다.


   -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문진표에 기저질환 보유여부를 표시하고, 예진의사의 확인·상담 후 접종 실시한다. 


      * 18-49세 연령층은 4차접종 사전예약 시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4차접종 가능하다’는 문구가 담긴 팝업창 표시 예정 



< 4차접종 대상질환 >


4차접종 기저질환자 대상질환

만성폐질환: 천식, 간질성폐질환, 폐색전증, 폐고혈압, 기관지확장증, 만성폐쇄성폐질환

심장질환: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심근병증, 허혈성심질환, 심장판막질환, 선천성심장병

만성간질환: 간경변, 비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질환, 자가면역성 간염

만성신경계질환: 치매, 파킨슨병, 중증근무력증, 근육병, 다발성경화증, 뇌성마비 및 기타 마비성증후군, 간질

자가면역질환: 전신성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뇌혈관질환 만성신장질환

낭포성섬유증

당뇨병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

비만(BMI30kg/) 활동성 결핵

이외에도, 상기 기준에 준하는 기절질환자 및 면력저하자로서 4차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사소견에 따라 접종 가능




 ○ (접종간격) 3차접종 후 최소 4개월(120일) 경과 시점부터 접종할 수 있으나, 개인 사유(국외출국, 입원·치료 등)가 있을 경우 3차접종 완료 3개월(90일) 이후부터 당일접종으로 접종 가능하다.


 ○ (접종방법)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예약하거나 당일접종으로 접종 가능하고, 누리집을 통한 대리예약이나, 전화예약(1339, 지자체콜센터)도 할 수 있다. 


 ○ (접종일정) 사전예약은 7월 18일(월)부터 시작되며, 예약접종은 8월 1일(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당일접종은 7월 18일(월)부터 가능하며, ①카카오톡·네이버에서 잔여백신을 예약하거나 ②의료기관에 유선 연락을 통한 예비명단을 활용하여 접종할 수 있다. 


 ○ (이상반응 감시) 접종받은 고위험군 모두에게 접종 시 등록된 연락처로 접종 이후 3일 차에 주의사항 및 조치사항을 재안내할 계획이다.





 [4차접종 권고범위 확대 및 예방접종 독려]


□ 추가로, 재유행 우려에 따라 접종 권고 대상을 현재 80세 이상 연령층에서 4차접종 대상자 전체로 확대하여 적극적인 중증·사망 예방을 도모할 예정이다. 


 ○ 현재까지 60세 이상 연령층의 접종률은 35.2%로 집계되었으며,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35.9%이다.


 ○ 최근 4주간(‘22.6.5.∼7.2.) 위중증 환자의 84%, 사망자의 80%가 60세 이상 연령층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사망자 중 80세 이상이 44.8%를 차지하고 있어, 4차접종을 통한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접종을 당부드린다. 


□ 이와 더불어, 4차접종 대상이 되는 18세 이상 고위험군 중 3차 미접종자에 대해서도 3차접종 참여를 당부하였다.


 ○ 3차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 95.4% 감소되어, 3차접종 참여가 필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1.9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3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 위험이 95.4%,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9.9%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22.6.26.기준)



 ○ 추진단은, 18세 이상 성인 기초접종 미접종자에 대해서도 기초접종을 완료하여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 60세 이상 미접종자는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매우 높다. 해당 연령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1주간 60세 이상 사망자 중 미접종자의 비율은 36.7%로 매우 높아, 기초접종 완료가 절실하다.





□ 추진단은 오미크론 하위변이의 유행에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본인과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한 수단인 점을 재차 강조하며, 


 ○ 특히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서는 4차접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접종대상자 본인과 가족 등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참고> 4차접종 추진경과

접종대상별 추진경과

(면역저하자/요양병원·시설)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2.9),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2.11), 발표(2.14) 이후 접종 시행(당일·자체·방문접종 2.14~, 예약접종 2.28~)

(정신건강증진시설)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2.21),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2.25), 발표(2.28) 이후 접종 시행(자체·방문접종 2.28~)

(60세이상 연령층)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4.8),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4.11), 발표(4.13) 이후 접종 시행(당일접종 4.14~)

접종대상별 추진현황

(접종경과) 접종간격(3차접종 후 3개월)과 확진이력(확진자는 접종대상 포함) 고려 시, 요양병원·시설 83.5%, 정신건강증진시설 81.6% 접종

- 60세이상 대상자 대비 35.9%이며, 특히 접종이 권고되는 80세 이상 55.8%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고위험군 4차접종 확대 시행계획 관련 Q&A

        2.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