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임신 전 고위험 음주, 거대아 출산위험 2.3배 증가시켜! (9.2.금)
  • 작성일2022-09-02
  • 최종수정일2022-09-13
  • 담당부서심혈관질환연구과
  • 연락처043-719-8664


임신 전 고위험 음주, 거대아 출산위험 2.3배 증가시켜! 




- 주요 내용- 


□ 한국인 임신 코호트(2,886명)를 통해 임신 전 음주가 태아발달과 성장에 미치는 효과 및 영향을 분석한 결과,

 ○ 임신 전 고위험음주군에서 임신 중 또는 출산 후 우울증 1.7배 증가 및 거대아 발생 위험도가 2.3배 증가

 ○ 임신 전 고위험음주 적용 시, 거대아 위험예측력이 기존 모델에 비해 10.6% 향상  


□ 임신을 계획하는 가임기여성의 경우, 임신 전 음주의 위험성 인지 및 건강생활 실천이 필요 





□ 질병관리청(백경란 청장) 국립보건연구원(권준욱 원장) 김원호 박사 연구팀*은 기 구축된 「한국인 임신 등록 코호트**」를 활용하여,

    * 연구팀 구성원 : 심혈관질환연구과 구슬, 김지연 박사(공동제1저자)

   ** 한국인임신등록코호트(’13-’17) :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지원을 통해 구축된, 유일한 한국인 임신등록 코호트(n=4,542)



 ○ ‘임신 전 산모의 음주가 태아 발달 이상을 통한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 거대아(macrosomia) : 아기 출생 몸무게가 4,000g 이상인 경우를 말함.



 ○ 본 연구는 이전 동물모델을 이용한 ‘임신전 음주에 의한 태아발달이상 및 거대아** 발생 증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실제 임신 경험을 가진 여성에게서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 (출처) 2020년 6월, Scientific Report 논문게재(이유정, 김지연, 이대연, 김원호)


  - 임신 중 음주 폐해 결과*와는 달리, 가임기 여성의 임신 전 고위험음주**가 이전 동물모델에서의 결과와 동일하게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임상 코호트에서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 기존 여러 보고에서 임신 중 음주 노출은 저체중아 출산위험이 증가 

    ** 고위험음주(Binge drinking) : 1회에 5잔 이상 또는 주당 2회 이상 마시는 경우


  -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역학(Clinical Epidemiology)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 영향력지수 IF 3.58)’ ’22년 8월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그림> 연구 결과 게재 이미지(2022년 8월 플로스 원(PLOS One) 온라인판) 





□ 예전부터 ‘임신 중 음주’에 의한 산모 건강과 태아 발달 폐해는 잘 알려져 있었으나, 가임기 여성에서의 ‘임신 전 음주’에 의한 폐해 연구와 관련 근거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 우리나라를 포함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에서는, 임신 중인 산모가 술을 마시는 비율은 매우 낮은 1~5% 수준*으로, 산모가 임신 사실을 알게 된 후 대부분 음주를 중단하거나 음주량을 크게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국내 임신 경험 여성(1,675명) 분석 결과, 대상자의 11.58%가 임신 중 1회 이상 음주 경험, 이 중 1.43%가 임신 기간 내내 음주함. 


   ※ (출처) 이대병원 김영주 교수 연구팀, 국제환경연구 및 공중보건저널(Int. J of Envir. Res. and Public Health, ’21.3)



 ○ 최근 들어, 가임기 여성에서의 음주율이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서, 


  - ’19년 기준, 19-29세와 30-39세 여성 월간폭음률*이 각 44.1%와 26.2%였고,

     * 월간폭음률: 최근 1년간 월 1회 이상 한번의 술자리에서 여자 5잔 이상 음주


  - 고위험음주율*은 각각 9.0%와 8.1%이다. (붙임2 참고)

     * 고위험음주율 : 1회 평균음주량이 여자 5잔이상이며 주2회 이상 음주


    ※ (출처)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2021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 한편, 지속적으로 평균 출산연령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붙임3 참고)

    * ’21년 기준, 여성 평균 초혼 연령 31.08세, 초산평균연령 32.6세, 평균출산연령 33.4세, 35세 이상 고령산모 출산 비중이 35% (출처 : 통계청)


  - 여성의 음주 노출은 대학 및 사회진출 이후 오랜 시간이 유지되며, 보건학적 예방관리 측면에서의 임신 전 음주 폐해 영향 관련 연구가 필요하여,


  - 본 연구팀은 지난 ’20년 6월에 동물모델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임신 전 2주 동안 알코올을 섭취한 암컷 쥐에서 임신 능력의 감소와 태아 발달의 이상 및 거대아* 출산율이 증가한다는 사실과 원인을 처음으로 보고한 바 있다. (학술지 : Scientific Report)

    * 거대아 발생은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합병증을 유발하여, 출산 중 산모 출혈, 유아기 비만과 향후 성인기에 당뇨, 고혈압, 비만, 대사증후군 발생위험 증가



□ 하지만 실제 임신 경험을 한 여성들의 임신 전 음주에 의한, 산모와 태아 발달 이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 김원호 박사 연구팀은 실험동물모델 결과의 후속연구로, 국립보건연구원에 기 구축 중인 한국인 임신 코호트 중 2,886명*을 분석, 연구하였으며,

   * 총 4,542명 중 추적탈락, 복수임신, 당뇨, 고혈압 등 주요질환 보유 산모를 제외한 2,886명


  - 해당 연구는 세 가지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임신 전 음주를 전혀 하지 않은 비음주군(561명, 19.4%), 일반 음주군(2,099명, 72.7%), 고위험 음주군(226명, 7.8%) 




□ 한국인 임신코호트를 활용, 분석한 연구 결과, (붙임 1 참고)



 ○ 임신 전 고위험음주군에서 거대아 발생률이 7.5%로, 비음주군(2.9%), 일반 음주군(3.2%)에 비해 2.5배 이상 높았다. (그림 1, A 참고)



 ○ 또한, 임신 전 월별 음주잔 수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20잔 이상 섭취 군’부터 거대아 발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림 1, B 참고)



<그림 1> 임신전 알코올 섭취 형태에 따른 거대아 발생률 및 출생몸무게 비교




 ○ 한편, 임신 전 음주 상태 구분에 따른 거대아 출산 위험 예측을 위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1 참고)


  - 거대아 발생 주요 위험인자들*의 보정 후에도, 임신 전 고위험음주군에서만 거대아 출산 위험도가 비음주군 또는 중간위험 일반음주군에 비해 2.3배 증가하였다.

     * 거대아 발생 주요 위험인자(산모 나이, 임신 전 비만도(BMI), 출산경험, 임신성당뇨(GDM), 아기 성, 흡연, 운동)에 대한 보정 통한 회귀분석


[1. 임신 전 알코올 섭취 상태 구분에 따른 거대아 출산 위험도 평가]



명수

(n)


음주자

음주자




중간위험음주군

고위험음주군




위험비(OR)

(95% CI)

p value

위험비(OR)

(95% CI)

p value

거대아 (>4,000g)






Unadjusted


2,886


1.00

1.12 (0.65-1.95)

0.681

2.77 (1.37-5.59)

0.004

Model 1


2,886


1.00

1.13 (0.65-1.97)

0.669

2.88 (1.42-5.84)

0.003

Model 2


2,801


1.00

1.08 (0.62-1.89)

0.787

2.85 (1.38-5.89)

0.005

Model 3


2,746


1.00

1.01 (0.57-1.80)

0.968

2.29 (1.08-4.86)

0.031

* 임신전 음주 섭취 상태에 따른 거대아 출산 위험도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측정.
기존 거대아 위험 예측 인자들*을 모델 1, 2, 3와 같이 모두 보정한 결과.

* 각 데이터는 비보정 또는 각 모델에 대하여 보정한 후의 오즈비(위험도, OR)으로 나타냄.

- 모델 1 산모 나이, 교육수준, 월수입으로 보정

- 모델 2 산모 나이, 교육수준, 월수입, 흡연, 운동

- 모델 3 모델 1 + 모델 2 + 임신 나이, 임신 전 체지방지수(BMI), 출산아기수, 아기 성, 임신성 당뇨음주경험자로 이전 음주자 (2,322 )과 현재 음주자 (3) 포함. CI, confidence interval.



  - 이는 가임기 여성에서 ‘임신 전’ 고위험음주가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이는 독립적인 주요 위험지표임을 처음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 현재까지 신생아에서 거대아 발생 진단은 초음파, 양수량 측정, 태아 키 측정 등의 방법을 사용 중이나, 그 정확성이 매우 낮은 상황으로, 


  - 거대아 여부는 병원 출산을 한 이후에 확인할 수 있어, 거대아 발생의 위험을 임신초기에 더 빨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위험예측모델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 거대아 발생위험을 예측하는데 기존의 위험예측모델*에 임신 전 고위험 음주를 추가 적용한 모델의 분별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추적 후 거대아 출산에 대한 절대 위험분포 각 구간을 재분류하여 적용한 결과, 


  - 기존 거대아 예측 모델 대비, 임신 전 고위험음주를 포함한 신규 모델에서 거대아 발생 위험예측력이 무려 10.6% 증가하였다.


[2. 추적 후 거대아 유무 대상자들에서 음주 상태 재분류 통한 추정위험 정확도 분석]

추정된 위험도

(기존모델)a

추정된위험도 (신규모델)a

재분류(Reclassified)b

순재분류 개선 정확도(%)C

낮음 (<2%)

중간-낮음

(2%~4%)

중간-높음 (4%~11%)

높음 (>11%)

증가

감소

거대아 (n=97)

낮음(<2%)

6

1

0

0

13

5

8.3

중간-낮음(2%~4%)

2

19

4

0




중간-높음(4%~11%)

0

3

38

8




높음(>11%)

0

0

0

16




비거대아 (n=2649)

낮음(<2%)

1133

44

3

0

127

188

2.3

중간-낮음(2%~4%)

97

603

53

0




중간-높음(4%~11%)

0

73

509

27




높음(>11%)

0

0

18

89




NRI(95% CI)

10.6(2.03-19.07)

a두가지 모델(기존 & 새 모델)에 대한 추정 위험은 거대아 출산에 대한 절대 위험 분포와 다양한 구간 수(2-5% & 10-15%)NRI 통계를 기반으로 컷오프를 4(낮음, 중간-낮음, 중간-높음, 높음)으로 나누어 분석.

- 기존 전통 모델은 임신 나이, 임신 전 비만도, 출산 경험, 신생아 성별, 임신성 당뇨 여부를 포함하고,
새 모델은 전통모델에 임신전 고위험음주를 포함.

- b&cReclassification improvement 재분류를 통한 거대아 위험 정확도 향상은 8.3%([135]/97), 비거대아 재분류 개선 정확도는 2.3%([188127]/2649)가 향상되어 전체 순 재분류 정확도 개선은 10.6%.

* NRI = net reclassification improvement(순재분류향상정확도); CI, confidence interval.




□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임신 중 음주의 위험성과 함께, ‘임신 전 음주’ 역시 태아 발달 이상을 통한 거대아 출산위험을 높인다는 직접적 근거를 한국인 임신 코호트를 통해 처음으로 제시하는 것”이라며, 



 ○ “임신 전 음주의 여부가 거대아 출산위험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험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과, 향후 새로운 위험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림 2 참고)



 ○ “또한, 임신 중 음주에 대한 폐해와 함께, 가임기 여성에서의 장기간 노출되는 임신 전 음주도 산모와 태아의 건강, 그리고 출생 후 아기의 성장발육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 관련 교육·홍보 자료와, 건강관리지침 등에 활용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그림 2> 임신전 음주에 의한 거대아 출산 위험도 증가 모델




<붙임>  1. 주요 연구 결과

           2. 우리나라 여성 음주 현황

           3. 우리나라 출산율 및 출산 현황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