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만성질환 부담 지속 증가, 지역사회 전문인력 양성 및 역량강화로 대응(11.17.목)
  • 작성일2022-11-17
  • 최종수정일2022-12-01
  • 담당부서만성질환관리과
  • 연락처043-719-7394

만성질환 부담 지속 증가,

지역사회 전문인력 양성 및 역량강화로 대응

- 2022년 만성질환 전문가 교육과정의 성과 공유 및 발전방안 모색 -


주요 내용

지역사회 내 만성질환 문제해결을 위한 사업기획과 업무 수행을 담당할 전문인력의 양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 운영

22년 전국 시·도 및 보건소 만성질환 사업담당자 186만성질환 사업기획 및 건강조사 전문가 실무교육과정 이수

최종 평가대회를 통해 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발전방안 모색

수한 성과를 보인 교육생 및 교육과정에 기여한 유공기관과 유공자에게 표창 및 상장 수여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11월 17일(목) ~ 18일(금), 목포 라한호텔(전남 영암군)에서 「만성질환 사업기획 및 건강조사 전문가 실무교육과정」 최종 평가대회를 개최한다. 


 ○ 이번 최종평가대회는 만성질환 사업기획 및 건강조사 전문가 실무교육과정」에 참여한 전국 시․도 및 보건소의 만성질환 사업을 담당하는 186명(대면 ·비대면 병행)의 실무자들이 참석하여,


 ○ 그간 배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지역사회 만성질환 문제해결을 위해 기획한 사업의 내용을 평가받는 자리이다. 


 ○ 아울러 이번 행사에서는 우수한 성과를 보인 교육생 및 교육과정에 기여한 유공기관과 유공자에게 표창(보건복지부 장관 8점)과 상장(질병관리청장상 50점)을 수여하여 노고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 우리나라 만성질환 유병률 및 진료비의 지속적인 증가로 만성질환에 대한 사회·경제적 부담도 증가하고 있어, 지역사회 내 만성질환 문제해결을 위한 사업기획 및 업무 수행을 담당할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가 매우 중요하다. 


고혈압·당뇨병 유병률, 비만율 등 심뇌혈관질환 주요 위험인자 지난 10년간 증가 추세

- 고혈압 : (’12) 18.8% (’21) 20.0%(+1.2%p), 당뇨병 : (’12) 7.2% (’21) 8.8%(+1.6%p), 비만율 : (’12) 24.1% (’21) 32.2%(+8.1%p) [지역사회 건강조사]

’20년 기준 만성질환으로 인한 진료비는 85.0%(71조원), 최근 3년간 진료비 비중 증가

- (’18) 83.7% (’19) 84.5%(+0.8%p) (’20) 85.0(+0.5%p) [2022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 이를 위해 질병관리청은 지역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건강요구에 맞는 사업을 계획·수행·평가할 수 있도록 「만성질환 사업기획 및 건강조사 전문가 실무교육과정」(연간 200시간, 총 8단계)을 운영하고 있으며, 


 ○ ’06년부터 전국 17개 시도 및 시군구 보건소를 중심으로, 약 4천 7백 여명의 만성질환 전문인력을 양성하였고, 교육생들은 시·도 보건과장 및 보건소장 등 사업의 총괄책임자부터 만성질환 사업 실무자까지 다양하게 배치되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체계적인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가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만성질환 사업을 기획하고 조사·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운용하는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 “이번 최종평가대회를 통해 지자체 실무자들이 다양한 만성질환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방안을 논의함으로써 지역사회 보건사업담당자들이 만성질환 예방·관리사업의 주역으로 활동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1. 최종 평가대회 세부 추진 일정

         2. 만성질환 관련 주요 통계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