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낮음’으로 유지(24주 연속) (7.5.수)
  • 작성일2023-07-05
  • 최종수정일2023-07-05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7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낮음’으로 유지(24주 연속)


-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8.8% 증가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6.25.~7.1.)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17,443명(전주 대비 8.8%↑)

 ○ 주간 재원중 위중증 환자 감소, 사망자 전주 대비 소폭 증가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유지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6.25.∼7.1.)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6월 4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110명, 일평균 사망자는 8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5,066명이라고 밝혔다.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58.6%, 70대가 25.9%, 60대가 10.3%로, 50대 이하 5.2%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6.25.∼7.1.)  




[ 1. 주간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6월 4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증가, 위중증 및 사망자 수 증감 반복 추세인 상황을 고려하였다.




[ 2.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5.2% 감소하여 일평균 110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5.5% 증가(55명→58명)하였고 일평균은 8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6월 1주) 128명→ (6월 2주) 113명→(6월 3주) 116명 →(6월 4주) 110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6월1주) 8명→ (6월2주) 10명→ (6월3주) 8명→ (6월4주) 8명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94명(85.5%),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8명(100.0%)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03명(93.6%),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8명(100.0%)


  6월 2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3%, 치명률은 0.05%이었다.




  ’23년 7월 1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7.9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92.5명(치명률 1.86%)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4.2명(치명률 0.43%), 60대는 55.6명(치명률 0.11%)이었다.



[ 3. 확진자 및 발생추이 ]


   6월 4주(6.25.~7.1.) 주간 신규 확진자는 122,103명으로 전주 대비 8.8% 증가하였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7,443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03이며, 6월 2주 이후 1이하 유지하다 금주 1이상으로 증가하였다.

    * 주간 누적: (6월1주) 11.7만 명→(6월2주) 11.3만명→ (6월3주) 11.2만명→ (6월4주) 12.2만명  

  ** 일 평균: (6월1주) 16,743명→ (6월2주) 16,163명→ (6월3주) 16,025명→ (6월4주) 17,443명 




  모든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 증가하였다. 발생률은 10-19세(46.9명), 30-39세(40.3명), 70-79세(38.1명) 순으로 높았다.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증가, 비중은 전주 대비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6.1주) 32,535→ (6.2주) 32,530→ (6.3주) 31,160→ (6.4주) 32,741

   ** 60세 이상 비중(%): (6.1주) 27.8→ (6.2주) 28.8→ (6.3주) 27.8→ (6.4주) 26.8






[ 4. 병상가동률 ]


 전국 중환자실 병상가동률은 전주와 동일,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의료역량 대비 60세 이상 발생비율은 5월 5주 이후 지속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6.3주 → 6.4주): (전국) 23.4% → 23.4%, (수도권) 20.1% → 18.8%, (비수도권) 27.1% → 28.7%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6.3주 → 6.4주): (전국) 33.9% → 32.7%, (수도권) 34.8% → 34.8%, (비수도권) 33.0% → 30.3%



[ 5. 변이 바이러스 ]


  XBB.1.9.1의 검출률은 24.5%(-2.4%p)로 최근 6주간 20%대 중반 유지 중이며, XBB.1.16과 XBB.2.3은 20.8%(+3.2%p)와 14.1%(+1.9%p)로 지속 증가 추세이다.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 병상 ]


  7월 4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668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3.4%, 준-중증병상 33.2%이다.



[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4,430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0,827개소가 있다. (7.4. 0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자율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64개소 운영되고 있다. (7.4. 0시 기준)







 4. '23년 제12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서은숙, 이하 ‘보상위원회’)는 6월27일 제12차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신규사례 총 509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소비자 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7명으로 구성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 접종 이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하여 93건(18.3%)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고 보상을 결정하였다.




  누적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건수는 96,003건*, 심의 완료 건수는 88,636건(92.3%)으로, 이 중 사망 17건 포함 총 24,078건(27.2%)이 보상 결정되었다.

     * 이의신청건(7,237건) 포함


  한편, 본인부담금 기준 30만 원 미만의 소액 진료비 보상신청건 중 15,254건은 신속한 심의를 위해 시·도에서 자체 심의를 거쳐 5,673건이 보상 결정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지원센터(센터장 조경숙, 이하 피해보상지원센터)는 오늘까지 재심의 등을 통해 결정된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례와 부검 이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사례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관련성 의심질환에 대한 의료비 지원 대상자는 총 1,785명이며, 사망위로금의 지원 대상자는 9명이다.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 대상자 50명에게는 해당 지자체를 통해 개별 안내하여 신청 접수 중이며, 45명에게 지급 완료하였다.





<붙임>  1.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2.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6.11.∼6.17.)

         3.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 기준

         4. 「감염병 보도준칙」(2020. 4. 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