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여름철 확산세 둔화 중이나 방역수칙 준수 지속 권고(8.16.수)
  • 작성일2023-08-16
  • 최종수정일2023-08-1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72


코로나19 여름철 확산세 둔화 중이나 방역수칙 준수 지속 권고


-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0.8% 증가, 전주 대비 증가폭 둔화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8.6.~8.12.)


 ○ 8월 2주 확진자는 총 349,279명으로 전주 대비 0.8%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둔화*하였고, 신규 사망자는 확진자 증가에 후행하여 전주 대비 39명 증가한 136명이었다.


     * 직전 주 대비 증가율(%): (7.3주) 35.8% (7.4주) 23.7% (8.1주) 10.4% (8.2주) 0.8%


 ○ 신규 확진자, 위중증, 사망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지만, 중증화율(0.09%), 치명률(0.03%)은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여름철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해 마스크 착용, 손씻기, 기침예절 준수, 환기·소독 등 일상방역수칙 철저 준수 당부 


 ○ 코로나19 일상적 관리체계 전환에 따른 자율 방역 기조를 유지하면서 고위험군 보호에 집중, 방역당국 7가지 대응원칙을 갖고 대비·대응 중


 -▲실내마스크 착용 등 일상방역수칙 생활화, ▲격리 권고 적극 준수 ▲감염취약시설 관리·점검 강화, ▲병상 모니터링 및 대응체계 강화, ▲유증상자 신속 진단검사 및 치료, ▲고위험군 동절기 XBB 백신접종 대비

- 60세 이상·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확진 초기에 치료제 처방·복용 당부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여름철 확산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면서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에 따른 4급 감염병 전환 및 2단계 조치 준비 중




 1. 여름철 확산세 대응 방역수칙 준수 지속 권고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코로나19 여름철 확산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자율적인 마스크 착용, 수시로 손 씻기, 기침예절 준수, 주기적인 환기·소독 등 일상 방역수칙을 지속적으로 준수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23년 8월2주 일평균 확진자는 49,897명으로 전주 대비 0.8% 증가*하였으나, 직전 주 대비 증가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로 급속한 확산 시기를 지난 것으로 평가된다. 감염재생산지수 역시 8월1주부터 2주 연속 1.1이하로 감소***하였다.


   * 일평균 확진자(명) : (7.3주) 36,258 → (7.4주) 44,841→ (8.1주) 49,523 → (8.2주) 49,897

  ** 직전 주 대비 증가율(%) : (7.3주) 35.8 → (7.4주) 23.7 → (8.1주) 10.4 → (8.2주) 0.8 

 *** 감염재생산지수(Rt) : (7.3주) 1.19 → (7.4주) 1.19 → (8.1주) 1.09 → (8.2주) 1.04


  재원중 위중증 및 사망은 6월4주 확진자 증가세 전환에 후행하여 7월말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명) : (7.3주) 142 → (7.4주) 170 → (8.1주) 177 → (8.2주) 215

  ** 일평균 사망자(명) : (7.3주) 7 → (7.4주) 13 → (8.1주) 14 → (8.2주) 19


  다만, 사망자 규모는 지난 겨울 유행정점 시기(’22.12월4주) 대비 약 1/3 수준으로, 확진자 발생 규모가 약 3/4(’22.12월3주) 수준임을 고려하더라도 낮게 유지*되고 있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명) : (‘22.12.3주) 67,306, (‘23.8.2주) 49,897

  ** 주간 일평균 사망자(명) : (‘22.12.4주) 59, (‘23.8.2주) 19


  7월 중순, 치명률은 0.02~0.04%, 중증화율은 0.09~0.10%로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22년 오미크론 대유행 및 두 차례의 재유행 시기 치명률 0.10%(BA.1/2 변이 우세종화 시기), 0.07%(BA.5 변이 우세종화 시기), 0.10%(BN.1 변이 우세종화 시기)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현재 XBB.1.9.2의 하위변이인 EG.5(XBB.1.9.2.5)를 포함한 모든 오미크론 세부계통을 주요 변이로 지정하여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8월2주 EG.5 검출률은 20.3%로 국내에서 확인되는 주요 변이 중 검출 증가세*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국내 검출률 : (7.3주) 11.8% → (7.4주) 17.8% → (8.1주) 16.8% → (8.2주) 20.3%


  한편,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9일부터 EG.5를 관심 변이(VOI)로 지정·감시하고 있으며, EG.5의 높은 면역 회피 특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나, 중증도 증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고, 추가 공중보건 위험성도 없는 것으로 평가(8.9.)된다고 밝힌 바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여름철 확산세에 대응하여 코로나19 일상적 관리체계 전환에 따른 자율 방역 기조를 유지하면서 일상방역 수칙 준수와 고위험군 보호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치료제 추정 처방률은 ’23년 7월 50.6%로 먹는치료제 처방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50%을 초과*하였다. 향후에도 60세 이상 고령층과 요양병원·시설 환자의 중증화 및 사망 예방을 위해 확진 초기에 적극적으로 처방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60세 이상 처방률(%) : (’22.5.) 12.3 → (’22.10) 30.2 →(’23.3) 43.6 → (’23.7) 50.6


  마지막으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한 주간 더 유행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로드맵(3.29.발표)에 따른 「코로나19 4급 감염병 전환 및 2단계 조치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양성자 감시·하수 감시 등 다층 감시체계를 고도화하고, 전수감시와 표본감시 사이의 일치도를 확인하는 작업 등 4급 감염병 전환 이후에도 빈틈 없이 변이 감시와 코로나19 위험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감시 체계를 준비 중에 있다. 




 2.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8.6.∼8.12.)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8월 2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215명, 일평균 사망자는 1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5,522명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월 1주부터 증가세로 8월 2주 일평균 215명 발생하였으며, 사망자는 7월 4주부터 3주째 증가세로 8월 2주 136명 발생하였다.


구분

8.6.

8.7.

8.8.

8.9.

8.10.

8.11.

8.12.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194

214

218

217

216

222

226

215

-

사망자*

14

11

18

23

25

28

17

19

136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66.9%, 70대가 20.6%, 60대가 9.6%로, 50대 이하 2.9%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136

(100.0)

35,522

(100.0)

0.11

215

(100.0)

성별

남성

80

(58.8)

17,547

(49.4)

0.11

133

(61.9)

여성

56

(41.2)

17,975

(50.6)

0.10

82

(38.1)

연령

80세 이상

91

(66.9)

21,217

(59.7)

1.76

92

(42.8)

70-79

28

(20.6)

8,043

(22.6)

0.41

53

(24.7)

60-69

13

(9.6)

4,035

(11.4)

0.11

32

(14.9)

50-59

3

(2.2)

1,439

(4.1)

0.03

18

(8.4)

40-49

0

(0.0)

479

(1.3)

0.01

8

(3.7)

30-39

0

(0.0)

165

(0.5)

0.01

2

(0.9)

20-29

0

(0.0)

81

(0.2)

0.01

3

(1.3)

10-19

0

(0.0)

24

(0.1)

0.01

1

(0.5)

0-9

1

(0.7)

39

(0.1)

0.01

6

(2.8)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3.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8.6.∼8.12.)  



1. 주간 위험도 평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8월 2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확진자와 사망자가 증가하였으나 신규 발생 증가폭은 둔화*된 상황을 고려하였다.


   * 전주대비 일평균 확진자 수 증가율 : (7월 4주) 23.7%, (8월 1주) 10.4%, (8월 2주) 0.8%

   * 전주대비 주간 사망자 증가율 : (7월 4주) 72.5%, (8월 1주) 10.2%, (8월 2주) 40.2%


구분

’22.10

’22.11

’22.12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1-3

(10.2.~)

4

(10.23.~)

1-5

(10.30.~)

1-4

(12.4.~)

1-2

(1.1.~)

3-4

(1.15.~)

1-4

(1.29.~)

1-5

(2.26.~)

1-4

(4.2.~)

1-5

(4.30.~)

1-4

(6.5.~)

1-4

(7.2.~)

1

(7.30.~)

2

(8.6.~)

전국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2. 발생


 ❶ 위중증·사망자 현황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21.5% 증가하여 일평균 215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40.2% 증가(97명→136명)하였고 일평균은 19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7월 3주) 142명→ (7월 4주) 170명→ (8월 1주) 177명→ (8월 2주) 215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7월3주) 7명→ (7월4주) 13명→ (8월1주) 14명→ (8월2주) 19명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77명(82.3%),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8.9명(97.1%)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94명(90.2%),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19.3명(99.3%)


  7월4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09%, 치명률은 0.03%이였다. 치명률의 경우, 델타변이 유행 중 가장 높은 시기(1.72%, ’21.12.1주)와 오미크론 유행 중 가장 높은 시기(0.89%, ’21.12.5주) 대비 낮은 수준이다.




 ’23년 8월 12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8.8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1,006.5명(치명률 1.76%)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16.5명(치명률 0.41%), 60대는 56.3명(치명률 0.11%)이었다. 


  60세 이상 일반 인구의 코로나19 백신 미접종·1차 접종자 비율 3.2%*에 비해 60세 이상 신규사망자(132명) 중 코로나19 백신 미접종자‧1차접종자의 비율*은 25.0%(33명)로 높았다. 


  * 60세 이상 일반 인구의 코로나19 백신 미접종․1차 접종자 비율(’23.8.14. 기준) : 3.2%



❷ 확진자 및 발생 추이


  8월 2주(8.6.~8.12.) 주간 신규 확진자는 349,279명으로 전주 대비 0.8%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둔화되었다.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49,897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04로 8월 1주부터 2주 연속 1.1 이하로 감소하였다.


  * 주간 누적 : (7월3주) 25.3만명→ (7월4주) 31.3만명→ (8월1주) 34.6만명→ (8월2주) 34.9만명

 ** 일 평균 : (7월3주) 36,258명→ (7월4주) 44,841명→ (8월1주) 49,523명→ (8월2주) 49,897명


구분

63

(6.18.~6.24.)

64

(6.25.~7.1.)

71

(7.2.~7.8.)

72

(7.9.~7.15.)

73

(7.16.~7.22.)

74

(7.23.~7.29.)

81

(7.30.~8.5.)

82

(8.6.~8.12.)

확진자수()

112,176

122,090

152,993

186,936

253,805

313,886

346,662

349,279

일 평균 확진자()

16,025

17,441

21,856

26,705

36,258

44,841

49,523

49,897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31.2

33.9

42.5

51.9

70.5

87.2

96.3

97.0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0

1.1

1.3

1.2

1.4

1.2

1.1

1.0

감염재생산지수(Rt)

0.98

1.03

1.12

1.16

1.19

1.19

1.09

1.04



  0-19세, 30-49세, 80세 이상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은 증가하였다.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는 7주 만에 감소하였으나 80세 이상의 초고령층 발생률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발생률은 80세 이상(131.2명), 70-79세 이상(124.9명), 30-39세(115.2명) 순으로 높았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7.3주) 67,841 → (7.4주) 93,656 → (8.1주) 108,253 → (8.2주) 107,846

 ** 60세 이상 비중(%): (7.3주) 26.7 → (7.4주) 29.8 → (8.1주) 31.2 → (8.2주) 30.9


  성별에 따른 누적 확진자를 보면 여성이(54.0%) 남성(46.0%)보다 높으나 누적 사망자는 여성(50.6%)과 남성(49.4%)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구분

74

81

82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313,886

(100.0)

87.2

346,662

(100.0)

96.3

349,279

(100.0)

97.0

33,834,562

(100.0)

65,776

성별

남성

135,226

(43.1)

75.4

150,323

(43.4)

83.8

151,174

(43.3)

84.2

15,567,903

(46.0)

60,724

여성

178,660

(56.9)

98.9

196,339

(56.6)

108.7

198,105

(56.7)

109.7

18,266,659

(54.0)

70,795

연령별

0-9

11,121

(3.5)

45.0

11,523

(3.3)

46.6

12,896

(3.7)

52.2

3,235,895

(9.6)

91,600

10-19

27,207

(8.7)

82.6

22,766

(6.6)

69.2

24,236

(6.9)

73.6

4,159,517

(12.3)

88,440

20-29

42,738

(13.6)

95.1

49,689

(14.3)

110.6

48,811

(14.0)

108.7

4,906,358

(14.5)

76,457

30-39

46,725

(14.9)

100.9

52,161

(15.0)

112.6

53,340

(15.3)

115.2

4,971,589

(14.7)

75,150

40-49

47,921

(15.3)

84.8

51,820

(14.9)

91.7

51,865

(14.8)

91.8

5,133,535

(15.2)

63,588

50-59

44,518

(14.2)

73.8

50,460

(14.6)

83.7

50,285

(14.4)

83.4

4,431,361

(13.1)

51,455

60-69

46,715

(14.9)

90.1

54,111

(15.6)

104.4

53,678

(15.4)

103.6

3,793,976

(11.2)

51,245

70-79

29,934

(9.5)

111.8

33,875

(9.8)

126.5

33,455

(9.6)

124.9

1,990,627

(5.9)

52,033

80세이상

17,007

(5.4)

107.7

20,257

(5.8)

128.3

20,713

(5.9)

131.2

1,211,704

(3.6)

53,709



 ❸ 변이 바이러스


  XBB.1.9.1, XBB.1.16 및 EG.5 검출률은 23.1%(+1.5%p), 20.5%(+1.1%p), 20.3%(+3.8%p)로 전주 대비 증가하였고, XBB.1.9.2와 XBB.2.3은 9.8%(-2.8%p)와 16.3%(-0.8%p)로 감소하였다.


구분

분석주차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

XBB.1.9.1

XBB.1.9.2

EG.5

XBB.1.16

XBB.2.3

XBB.1.5

XBB*

기타

전체

73

22.7

15.4

11.8

20.0

15.4

5.9

5.8

3.1

74

22.7

12.4

17.8

18.8

14.8

4.7

5.8

3.0

81

21.6

12.6

16.5

19.4

17.1

4.3

5.3

3.2

82

23.1

9.8

20.3

20.5

16.3

3.2

4.8

2.0

국내감염

73

22.2

15.6

11.9

20.1

15.6

5.9

5.8

3.0

74

23.0

12.4

17.6

18.9

15.0

4.7

5.4

3.0

81

21.2

12.8

16.8

19.3

17.1

4.4

5.3

3.1

82

23.3

9.8

20.1

20.4

16.3

3.2

4.9

2.0

해외유입

73

44.0

4.0

8.0

16.0

8.0

4.0

4.0

12.0

74

10.7

14.3

28.6

14.3

7.1

0.0

25.0

0.0

81

35.7

7.1

7.1

28.6

14.3

0.0

0.0

7.2

82

0.0

8.3

41.7

33.3

16.7

0.0

0.0

0.0



3. 대응 역량


 ❶ 병상가동률


  전국 중환자실 병상가동률 50% 이하로 유지되나 증가 추세로 모니터링 필요하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8.1주 → 8.2주) : (전국) 48.4% → 48.7%, (수도권) 41.7% → 41.7%, (비수도권) 55.8% → 56.6%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8.1주 → 8.2주) : (전국) 62.0% → 59.5%, (수도권) 62.9% → 59.0%, (비수도권) 61.1% → 60.0%


 ❷ 먹는치료제 처방률


  23년 7월(7.1~7.31)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추정 처방률은 50.6%로 전월(44.9%) 대비 5.7%p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처방률(%) : (’22.5) 12.3 → (’23.1) 34.9 → (’23.6) 44.9 → (’23.7) 50.6





 4. 코로나19 병상 및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병상】


  8월 14일(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668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49.1%, 준-중증병상 58.0%이다.


(단위 :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전국

273

134

139

395

229

166

(+0)

(+1)

(-1)

(+0)

(-6)

(+6)

수도권

144

59

85

210

117

93

(+0)

(-1)

(+1)

(+0)

(-7)

(+7)

서울

53

21

32

58

37

21

경기

65

27

38

125

73

52

인천

26

11

15

27

7

20

비수도권

129

75

54

185

112

73

(+0)

(+2)

(-2)

(+0)

(+1)

(-1)

강원

10

6

4

14

9

5

충청권

23

18

5

42

31

11

호남권

26

20

6

44

29

15

경북권

36

10

26

30

15

15

경남권

30

20

10

49

24

25

제주

4

1

3

6

4

2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4,552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1,003개소가 있다. (8.14. 0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자율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66개소 운영되고 있다. (8.14. 0시 기준)




 5. '23년 제15차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결과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서은숙, 이하 ‘보상위원회’)는 8월8일 제15차 보상위원회를 열고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된 신규사례 총 543건을 심의하였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소비자 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7명으로 구성


  의무기록 및 역학조사 등을 바탕으로 기저질환 및 과거력, 접종 이후 이상반응까지의 임상경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의하여 64건(11.8%)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고 보상을 결정하였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기각 사례】


 ▵ (사례1) 백신으로 인한 일반 이상반응의 발생시기(통상 접종 후 3일이내) 및 지속기간(통상  접종 후 7일이내 완쾌(호전))의 시간적 개연성이 떨어지는 경우*

    * 접종 50일 후 발생한 발열, 접종 이후 8개월 간 지속된 두드러기


 ▵ (사례2) 기저질환 및 백신과 관련 없는 합병증으로 발생한 경우(당뇨, 만성신장질환 등)


 ▵ (사례3) 요로감염, 세균성 장염 등 백신이 아닌 감염 요인에 의해 발생한 경우 



  누적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건수는 96,485건*, 심의 완료 건수는 90,229건(93.5%)으로, 이 중 사망 18건 포함 총 24,318건(27.0%)이 보상 결정되었다.

     * 이의신청건(7,595건) 포함


  한편, 본인부담금 기준 30만 원 미만의 소액 진료비 보상신청건 중 15,288건은 신속한 심의를 위해 시·도에서 자체 심의를 거쳐 5,684건이 보상 결정되었다.


구분

심의건수1)

보상2)

기각

진료비

사망일시보상

장애일시보상

총계

90,229

24,318

24,313

18

-

65,911

보상

위원회

심의

소계

74,941

18,634

18,629

18

0

56,307

신규심의

543

64

64

-

-

479

기존누계

74,398

18,570

18,565

18

-

55,828

·도 자체 심의

15,288

5,684

5,684

-

-

9,604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지원센터(센터장 조경숙, 이하 피해보상지원센터)는 오늘까지 재심의 등을 통해 결정된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례와 부검 이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사례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관련성 의심질환에 대한 의료비 지원 대상자는 총 1,887명이며, 사망위로금의 지원 대상자는 9명이다.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지원 대상자 56명에게는 해당 지자체를 통해 개별 안내하여 신청 접수 중이며, 47명에게 지급 완료하였다.




〈 관련성 의심 질환 의료비 및 사망위로금 지원사업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관련성 의심질환*이 발생하고, 예방접종피해조사반 또는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 심의 결과 심의기준 ④-1**에 해당하는 경우

  * 관련성 의심 질환: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WHO, EMA, 식약처, 코로나19백신 안전성위원회 등)에 의해 백신과 관련성이 제기되거나 통계적 연관성이 제시되는 질환

 ** 심의기준 ④-1: 백신과 이상반응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인과성이 인정되기 어려운 경우(probably not related, unlikely)

△ (지원범위) 사망위로금 1억원, 의료비(진료비 및 간병비) 5천만원 한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발생한 질환 관련 필수적인 비급여 포함하여 지원

  * 실제 간병비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1일당 5만원 범위에서 간병비 지원


〈 부검 후 사인불명 위로금 〉

△ (지원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42일 내 사망하고, 부검 결과 ‘사인 불명’ 사례

△ (지원범위) 1천만원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 (8.6.∼ 8.12.)

   2.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 기준

   3. 감염병 보도준칙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