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세균성이질 집단발병 역학조사 중간결과
  • 작성일2004-12-08
  • 최종수정일2012-09-20
  • 담당부서홍보TF
  • 연락처043-719-7113
■ 질병관리본부는 충북 충주시에서 발생한 집단설사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광범위항생제내성이질균(ESBL-producing Shigella sonnei)이 확인되었다고 밝힘
    ● 이질은 쉽게 치료가 가능하지만 다른 세균으로 내성 유전자가 전이되면 치명적인 감염 유발 가능 
    ●‘99년 이후 20건의 산발적 발생이 있었으나 집단발병은 처음 

■ 의료계 당부사항 
    ● 이질환자 진단시 내성검사 의뢰
    ● 이질환자는 2차 감염 예방을 위하여 철저히 격리치료 

■ 역학조사 중간결과 
    ●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달 26일 충북 충주시 모 초등학교에서 집단발생한 설사환자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광범위항생제내성이질균(ESBL-
        producing Shigella sonnei)」이 분리되었다고 밝힘
        - 분리된 이질균 148주 중 60주에 대한 검사결과 60주 모두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 분해효소(ESBL, Extended spectrum beta 
           lactamase)를 분비하는 내성균으로 확인됨
        - 현재, 내성균의 유전자형 분석(PFGE검사 및 genotype검사)과 감염원 추적을 위한 심층 역학조사를 실시중임
 
    ● 이번에 분리된 광범위항생제내성이질균은 대부분의 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지만, 증상이 비교적 경미하고 일부 감수
       성을 보이는 항생제 투여를 통해 비교적 치료가 잘되고 있음
        - 현재까지 발생한 환자 137명(확진환자 100명, 의사환자 37명)중 110명(80%)이 퇴원함
        - 사용 항생제 : 씨플로플록사신 

■ 광범위항생제내성이질균이란? 
    ● 1930년대 항생제가 개발된 이후 인류는 많은 전염병을 정복할 수 있었으나, 항생제 내성균의 등장으로 새로운 위협에 직면하고 있음
        -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등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세균은 베타-락탐계 항생제 분해효소(beta-lactamase)를 분비하여 
          항생제를 무력화시킴
        - 내성균을 치료하기 위해서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extended spectrum beta-lactam antibiotics)를
          개발하였으나,
        - ‘80년대 중반 독일에서 광범위 베타-락탐계 항생제 분해효소(ESBL)를 분비하는 내성균이 발견되어 인류의 건강에 큰 위협이 되고 있음
 
    ● ESBL 분비 내성균 중 이질균은 비교적 쉽게 치료가 되지만, 내성 유전자가 다른 세균으로 쉽게 전이가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 중증의 감염을 일으키는 다른 세균 Klebsiella pneumoniae, E.coli, Proteus mirabilis (클레브시엘라 폐렴균, 장독성대장균, 프로테우스
           균)으로 내성유전자가 전이되면 현존하는 3세대 항생제로 치료가 불가능한 상태가 초래됨 

■ 우리나라 발견사례와 이번 발견의 의미 
    ● 우리나라에서 ESBL 분비내성균은 병원감염의 형태로 클레브시엘라 폐렴균(1998년), 대장균(1999년) 등이 발견된 바 있음
         - 우리나라의 ESBL 분비 내성균 비율은 약 4.8%로 홍콩, 대만보다는 낮지만 일본보다는 높음 국가 한국 대만 홍콩 일본 내성율 4.8%
            8.5% 12% 0.1~0.3%  주1. 클레브시엘라 폐렴균 및 대장균의 내성율 2. 자료 : Bradford, 2001
    ● ESBL 분비 이질균은 1999년 3월 부산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지금까지 부산, 경남, 경북, 제주, 서울, 경기 등에서 20건이 발견되었으나,
        모두 산발적인 발생이었음 
        - 이번 사례는 ESBL 분비 이질균에 의한 국내 최초의 집단발생이고 병원감염이 아닌 지역사회감염이라는 점이 특징임 년도 1999 2000
          2001 2002 2003 발생건수 15 4 1 0 0 지 역 경남(7),부산(7), 경북(1) 제주(2),서울(1), 경기(1) 경남(1)
 
■ 향후 전염병 관리정책 
    ●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집단 발병에 대해서 심층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원 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힘 
    ● 또한, 내성균 확산방지를 위해 의료계에 다음 사항을 당부함 
        - 이질환자 진단시, 적절한 치료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또는 보건환경연구원에 내성검사를 의뢰하여 ESBL 분비 이질균 여부를 진단할 것
        - 이질환자 치료시 철저한 격리를 통해 의료진이나 문병객, 다른 환자에 대한 2차감염을 최대한 예방하여 중증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세균으로 내성 유전자가 전이되는 것을 방지할 것 

■ ESBL 개요 
    ● ß-lactam 항균제(cephalosporin계열) 
        - 공통적으로 beta-lactam ring을 가지며 현재 사용중인 전체 항균제의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함
        - 작용기전 :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세균을 파괴
        - 장내세균(Enterobacteriaceae)은 ß-lactamase(beta-lactam ring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성함으로써 ß-lactam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냄 
    ● β-lactam계 항생제 분해 효소란? - 다양한 종류의 ß-lactamase가 존재함
        - '80년대 초 beta-lactamase에 분해되지 않는 구조(Extended Spectrum Beta-Lactam Ring)를 가지고 있는 제3세대 세팔로스포린 사용
        - '80년대 중반에 Extended Spectrum Beta-Lactam Ring을 분해하는 효소(ESBL ; extended spectrum ß-lactamase)을 분비하는 세균
           (K. pneumoniae, E. coli, Proteus mirablis) 발견
            ※ 이들은 plasmid에 의해 매개되는 새로운 효소를 형성
            ※ ESBL 중 흔히 발견되는 것으로는 TEM 및 SHV, AmpC 형 등이 있음 
    ● ESBL 생성 세균의 검출 - 일반적인 디스크 확산법 시험 결과에서 ESBL 생성이 의심되는 세균이 분리되면 double disc synergy test, three
        dimensional test, E test, Vitek ESBL card 등을 사용하여 ESBL 생성균 확인 가능
    ● 치료
        - 제3세대 cephalosporin 및 aztreonam, aminoglycoside, cotrimoxazole 등 항균제에 내성이기 때문에 그 감염증의 치료를 위한 항균제
          선택이 쉽지 않음
        - carbapenem(imipenem 등)이 이 효소에 가장 안정하기 때문에 이 약제를 선택 하는 것이 바람직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