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정책정보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바이러스) Human T cell lymphotropic virus (HTLV) type 1 and 2
  • 작성일2019-05-30
  • 최종수정일2020-10-20
  • 담당부서생물안전평가과
  • 연락처043-719-8044

(바이러스) Human T cell lymphotropic virus (HTLV) type 1 and 2

Human T cell lymphotropic virus (HTLV) type 1 병원체 이미지입니다. 출처:http://phil.cdc.gov/phil/details.asp
ID#8241, CDC/ Cynthia Goldsmith
• 위 험 군:제 3위험군
• 국내범주:-
• 특 성:Retroviridae과, BLV-HTLV retrovirus속, 직경 약 100nm,구형, (+)ssRNA바이러스

병원성 및 감염증상

  • 잠복기 : HTLV­1 감염 후 20~30년 후 증상 나타남. HTLV­2는 HTLV­1보다 잠복기 짧음. 
  • HTLV­1은 성인 T­림프구성 백혈병과 HTLV­1 관련 척수병증/열대 경직 하반신 마비 등을 유발함.
  • 성인 T­림프구성 백혈병은 무증상, 전백혈병(preleukemic), 만성(chronic/ smouldering), 림프종, 급성으로 나타남. smouldering형은 피부병변 및 골수침범, chronic형은 2년 이내 급성 형태로 발전함. 급성 단계에는 저칼슘혈증, 피부병변, Lactate dehydrogenase(LDH) 증가, 림프샘 장애, 골융해 병변(lytic bone lesion), 비장 또는 간 침범, 면역결핍의 증상이 나타남. 성인 T­림프구성 백혈병은 감염된 사람의 1~2%에서 나타나며, 급성감염은 매우 드묾.
  • HTLV­2는 상대적으로 병원성이 낮으며, 가벼운 신경질환, 만성 폐감염을 일으킴. 흉부 척수 손상과 함께 척수병증으로 발전함.

치료 및 백신

  • 치료 : -
  • 백신 : -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 감염위해요소 
  •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혈액, 점막 노출로 인하여 감염됨. 출산, 모유수유, 성적접촉, 장기 이식, 수혈, 정맥 마약 남용으로 인한 사람 간 감염 가능.
    - 실험자 감염경로: 오염된 실험실 및 배양액 등 감염성 물질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피부 및 점막에 접촉, 오염된 날카로운 물질에 찔림.
  • 감염량 : -
  • 숙주:사람 
  • 실험실 획득감염:
    -일본에서 의사가 환자의 혈액샘플을 담은 주사기에 발을 찔림으로 혈청변환(seroconversion)됨.
    (출처 : Transmission of HTLV­1 by blood transfusion and its prevention by passive immunization in rabbits. Blood, 76(8), 1657-1661)
    - 오염된 주사바늘에 간호사가 찔려 감염됨.
    (출처 : HTLV­2 transmission to a health care worker.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4(3), 158-160)
  • 생물안전밀폐등급
  • BL2 권장:임상검체 및 바이러스 취급 실험
  • BL3 권장 : 고농도 또는 대량배양 실험
  • ABL3 권장:감염된 동물을 이용하는 실험
  •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앞트임이 없는 실험복과 장갑, 감염성 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안면보호장비 착용. 감염성 물질 취급 실험은 모두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실험 수행. 주사바늘 및 뾰족한 실험도구 사용 자제.
  • 소독 및 불활성화 : 1% sodium hypochlorite, 70% ethanol, 2% glutaraldehyde, 4% chlorhexidine, 0.3% hydrogen peroxide, iodophores, phenolics, UV 조사, 121℃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 숙주 외 환경저항성:혈액에서 8~9일 생존 가능
  •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