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정책정보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바이러스) SFTS virus
  • 작성일2019-05-31
  • 최종수정일2020-12-03
  • 담당부서생물안전평가과
  • 연락처043-719-8044

(바이러스) Dabie bandavirus(SFTS virus)

SFTS virus 병원체 이미지입니다. 출처:http://www.nejm.org/doi/full/10.
1056/nejmoa1010095#t=article
Xue-Jie Yu, et al. N Engl J Med
2011; 364: 1523-32

위 험 군 3위험군

국내범주 -

Phenuiviridae, Bandavirus, (-)ssRNA 바이러스, 구형, 피막 있음

20203ICTV(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에서 Dabie badavirus로 바이러스명 변경함

 

병원성 및 감염증상

잠복기5~14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유발함

2009년 중국 중부 및 북동부 지역에서 처음 감염 발생하여 바이러스 분리하였으나 2011년 원인 병원체를 SFTS virus로 확인함. 현재까지 중국, 우리나라(20135월 국내 첫 환자 확인), 일본, 베트남, 대만에서 발생 보고. 미국에서도 유사한 질병이 보고된 적 있음

초기에는 특이적인 증상은 없으나 고열(38~40, 3~10일간 지속), 소화기장애(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설사), 근육통, 림프절 부어오름, 출혈증상(혈뇨, 혈변, 잇몸출혈, 피부반상출혈, 점막 및 결막 충혈)이 나타나며, 혈소판감소증, 백혈구감소증, 단백뇨, 혈뇨증 동반

중증의 경우 다발성 장기부전을 동반하여 신경계증상(근육 떨림, 혼동), 파종성혈관내응고증) 심각한 증세로 급속히 발전함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쯔쯔가무시증, 라임병, 아나플라즈마증과 임상증상이 유사하므로 감별진단이 필요함

치사율은 12~47%(2013~2019년 우리나라 평균 19.7%)


치료 및 백신

치 료특이 항바이러스제는 없으나, 증상에 따른 내과적 대증치료

백 신현재 유효한 백신 없음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감염위해요소

감염경로

- 일반 감염경로주로 감염된 진드기(Haemaphysalis longocornis, H. flava, Amblyomma testudinarium, Ixodes nipponensis )에 물려서 감염됨. 일부 감염된 사람의 혈액 및 체액에 노출되는 경우 등으로 인하여 사람 간 감염 가능함. 감염성 에어로졸에 의한 전파 가능성에 대한 보고가 있음

일본에서는 동물-사람 간 감염 사례 보고가 여러 건 있음. 2018년 수의사와 수의간호사가 감염된 고양이 3마리를 치료한 후 감염되어(혈액에서 바이러스 양성) 입원 치료 후 회복하였음. 수의사는 고양이 치료 중 일회용 가운, 장갑, 수술용 마스크는 착용하였으나 눈 보호구는 착용하지 않았음. 2016년 길 고양이에 물린 후 SFTS로 사망한 여성의 사례가 있음. 2017년에는 감염된 개와 접촉한 사람이 감염된 사례가 보고되었음

-실험자 감염경로감염자 혈액 등 검체, 배양액 등 감염성 물질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피부 및 점막에 접촉, 날카로운 물질에 찔림. 에어로졸 흡입 등에 의한 감염 가능성 있음

감염량-

숙주사람(우연 숙주), 원숭이, , 돼지, 염소, , 사슴, , 고양이, 라쿤 등 포유류, 쥐 등 설치류, , 참새 등 조류, , 도마뱀 등 파충류

실험실 획득감염

- 20165월 중국 장수성 3차 병원에서 26세 간호사가 감염 환자에서 혈액을 채취하던 중 바늘에 손가락 중지를 깊이 찔려 출혈을 동반하는 사고가 발생함. 즉시 요오드로 소독하였으나 2일 후 PCR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 양성을 확하였음. 증상이 나타난 후 ribavirin 투여 등 대증치료를 통해 10일 후 완전히 회복함

- 같은 병원에서 201610, 35세 내과의사가 감염자 혈액을 채취하고 주사기를 빼내던 중 옆을 지나가던 사람에게 부딪혀 주사기를 잡고 있던 오른손으로 자신의 왼손 손바닥을 2깊이로 찔리는 사고가 발생함. 즉시 상처 부위를 소독하였으나 사고 5일 후 증상이 시작되고 ribavirin 투여 및 다른 보존적 치료를 통해 14일째 날 회복하였음. 혈액에서의 virus RNA 음성 결과는 28일째 날 확인함

- 20157월 우리나라 서울 지역 병원에서 간호사가 감염자 혈액 샘플을 채취하던 중 왼손 세 번째 손가락을 찔리고 출혈이 확인되는 사고가 있었으나 감염되지는 않았음

생물안전밀폐등급

BL2 권장분자생물학적, 혈청학적 검사

BL3 권장바이러스 배양 등 병원체를 직접 취급하는 실험

ABL3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개인보호구평상복을 완전히 덮는 전신보호복과 장갑 착용, 감염성 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눈보호구 및 안면보호구 착용. 에어로졸이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 호흡보호구 착용. 모든 감염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다루는 실험은 반드시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수행. 주사바늘 및 뾰족한 실험도구 사용 자제

소독 및 불활성화일반적인 바이러스 살균제 사용, 70% ethanol, 121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숙주 외 환경저항성건조 환경에서 급속히 불활성화 되며 실온에서 24시간 방치 시 감염력 상실

폐기물 처리감염성 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