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한국의 사건기반 감시체계 및 정보 공유
  • 작성일2018-05-10
  • 최종수정일2019-09-10
  • 담당부서위기분석국제협력과
  • 연락처043-719-7550
 한국의 사건기반 감시체계 및 정보 공유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 위기분석국제협력과 
노유미, 이지희, 김인호, 이지아, 신인숙, 주재신, 박옥*

*교신저자 : okpark8932@korea.kr, 043-719-7550

Abstract


Event-based surveillance system and information sharing in the Republic of Korea

Noh Yoomi, Lee Jihee, Kim Inho, Lee Jia, Shin Insook, Chu Chaeshin, Park Ok
Division of Risk Assessment & International Cooperation, Center for Emergency Operations, KCDC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re becoming an even greater global public health threat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population, urbanization, international trade, and travel. Subsequently, the public health of each coun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Considering that traditional indicator-based surveillance systems do not cover public health events that might turn into emergencies of international concern in time for an adequate response, event-based surveillance systems need to be strengthened in each country. To facilitate an early, rapid response,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llects information, every day from various sources, on events that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public health threats and rapidly assesses them. The KCDC shares this information regularly with stakeholders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Keywords: Event-based surveillance, Rapid assessment, Public health threat



들어가는 말

인구의 폭발적 증가, 도시화, 인구 이동, 국제적 무역과 여행의 증가, 신종 감염병의 출현, 자연재해 발생 등으로 보건의 개념이 개인의 건강에서 국가적, 국제적 보건안보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회원국의 사건감시, 평가, 보고, 대응 역량 강화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2005년 국제보건규약(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 IHR 2005)을 개정하였다[1]. IHR은 회원국이 공중보건 사건을 감지, 평가, 신고하는 역량을 구비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핵심역량에는 감시와 대응이 포함되어 있다. IHR 2005에서는 사건의 조기 발견 및 경보 역량을 충족하기 위해, 공중보건 사건의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및 강화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전통적으로 운영해 오던 지표기반 감시체계(Indicator-based Surveillance)는 주별, 월별 등 정해진 일정에 따라 정보를 수집하기 때문에, 보고 지연 등이 발생한다. 사건의 신속한 인지를 위해 사건기반 감시체계(Event-based Surveillance) 기능을 포함하는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 and Response System, EWRS) 운영이 필수적이다. 사건기반 감시체계는 발생이 많지 않으나 발생 시 영향력이 큰 유행이나, 신규 또는 원인불명 질환에 의한 공중보건 사건을 감지할 수 있다.
사건기반 감시체계는 잠재적으로 공중보건학적 위기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사건’에 대한 신속한 ‘정보’ 수집 시스템을 말한다. ‘사건’은 환자 집단 발생, 일반적이지 않은 질병 발생 패턴 또는 사망 사건과 같은 사람에서의 질병 발생뿐 아니라, 동물에서 발생하는 질병, 식품 또는 식수 오염, 방사능 또는 화학물질에 의한 환경오염 등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건을 모두 포함한다. ‘정보’는 공식 채널(예: 기관 발표) 또는 비공식 채널(예: 언론, 의료기관 또는 NGO 보고서)을 통해 얻어지는 자료를 말한다.



몸 말

가. 정보 수집

질병관리본부 위기분석국제협력과와 긴급상황실(EOC)은 사건 정보 수집을 위해 국제기구, 주요 질병감시사이트, 해외대사관 공관보고, 각국 보건부 홈페이지 등을 매일 모니터링하고 있다. 주요 정보수집 출처는 다음과 같다. WHO IHR 공식사이트(Event Information Site, www.apps.who.int/ihr/eventinformation)와 상황보고서(Situation Report), 질병유행웹사이트(Disease Outbreak News 및 Media Centre), ProMED(www.promedmail.org), GPHIN(www.gphin.canada.ca), 유럽 CDC 감시보고서(ECDC Round Table Report 및 Communicable Disease Threats Report, CDTR), 메르스(사우디보건부, www.moh.gov.sa), 중국 AI(홍콩보건부, www.chp.gov.hk/en/), 폴리오(Global Polio Eradication Initiative, www.polioeradication.org), CIDRAP(www.cidrap.umn.edu), Outbreak News Today(www.outbreaknewstoday.com).

나. 정보 선별 및 검증

정보선별의 기준은 다음의 각 경우를 포함한다. 기대 발병률·치명률보다 더 높은 발병률·치명률을 보이는 경우, 보고된 사건이 발생 지역에서 잘 발생하지 않는 질병, 계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시기에 발생하는 경우, 짧은 시간에 좁은 지역에서 많은 환자가 발생한 경우, 유사증상을 가진 환자 또는 집단 사망자가 확인된 경우, 보고된 사건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상품(예: 식품)을 통해 발생한 경우, 보고된 사건이 향후 무역이나 여행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경우(우리나라 국민들이 자주 여행하는 지역에서 발생한 유행), 병원 내 전파가 의심되는 경우, 보고된 사건이 추가 전파 위험이 높은 경우,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하여 접촉자 관리가 필요한 경우, 일반적인 발생 패턴과 다른 경우(전형적이지 않은 증상, 특정 인구집단 등), 국가의 보건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 발생, 국가 및 기관의 이미지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거나 언론의 관심이 집중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동물에서의 감염병 유행이 수집 정보 중에 검증 및 평가를 위해 선별된다.
공식자료는 해당국 정부나 보고서를 발간하는 기관에서 이미 검증을 거친 정보이므로 별도의 검증과정이 불필요하며, 언론보도의 경우 해당 국가/지역 보건당국의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발표 자료를 참고하며, 해당국으로부터 직접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국의 IHR 담당관(National Focal Point)에 직접 확인하거나 WHO 서태평양 지역사무소를 통해 확인을 요청한다. 그 외, 한중일 감염병 담당 연락관, 미국 CDC 연락관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를 확인한다. 일부 언론에서만 보도하는 내용이라도 사건의 위험도가 높은 경우에는 일일 보고 자료에 포함하고 추가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다. 위험평가


사건기반 감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여 해당 사건이 공중보건에 미치는 위험을 평가하고 평가된 위험도를 바탕으로 대응방안을 신속히 모색, 향후 위기소통 수준 결정 근거로 활용한다. 초기 위험평가는 일일보고자료(일일 국내·외 감염병 동향) 작성 회의 시, 모든 사건에 대해 실시하고 결과는 별도로 표시하고 국내 유입 가능성, 국내 추가전파 가능성, 질병에 대한 감수성, 질병의 위중도, 치료약 또는 백신 보유 여부 등이 평가대상이다.

라. 정보 공유

1) 일일 국내·외 감염병 동향(Daily Domestic & International Infectious Disease Trend)
수집 및 위험평가를 거친 정보에 대해 일일 단위로 보고 자료를 작성하여 질병관리본부 내부 및 관련부처, 관련기관, 지자체 등 외부로 전파한다. 이 보고에는 질병 유행에 대한 시간, 사람, 장소(Time, Person, Place) 정보, 환자수(의심환자, 확진환자), 사망자수, 환자들의 증상, 상태(입원여부 등),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 현재 유행 상황(지속중인지 통제되고 있는지) 및 상황 지속 원인, 유행 중인 원인 병원체 정보(혈청형, 유전형 등), 보건당국 및 관련 기관의 조치사항, (잘 알려지지 않은 질병의 경우) 질병에 대한 설명, 해당 지역에서 질병 발생 상황(연간 발생건수, 유사한 유행 발생 여부 등), (기 보고된 사건의 경우) 지난보고 대비 변동을 포함한다.

2) 주간 국내·외 감염병 동향 보고서(Weekly Infectious Disease Event Report: WIDER)
한 주(전주 금요일~목요일)간의 신규사례 및 기존사례 위험평가 내용을 작성하여 매주 목요일 공유한다. 대상기관은 17개 시‧도, 전국 대학병원,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9개 관련 정부기관이다.

3) 주간 국내·외 감염병 동향(Weekly Domestic & International Infectious Disease Report)
사건기반 감시체계를 통해 수집된 정보 중 환자 조기인지 및 대응계획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에 대해서는 최신 연구결과 등 전문적인 내용 및 권고사항 등을 포함하여 의료인에게 주간 단위로 정보를 제공한다. 공유할 질병정보 선정 기준은 국내는 해당 절기 또는 주에 특별히 상승하고 있는 질병을 위기분석평가회의 자료를 토대로 선정하며 국외는 매주 3~5개 질병을 선정하는데, MERS, Ebola, Zika, AI 등 주요 감염병 유행 정보, 최근 환자 발생 증가 또는 유행 지역이 확대되고 있는 질병, 한국인이 많이 거주 또는 여행하는 지역에서 유행 발생으로 우리나라 국민이 감염될 위험이 높은 질병, 유행 시기에 접어들어 환자 발생이 증가 시작, 또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질병이 대상이다. 정보 배포는 관련학회(대한감염학회, 대한소아감염학회, 대한응급의학회, 대한 결핵 및 호흡기학회, 대한가정의학회,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대한중환자의학회), 관련협회(대한병원협회, 대한간호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외교부 재외국민보호과, 즉각대응팀 민간전문위원, 감염병 위기관리대책 전문위원회, 전국 감염관리실, 지자체, 시도 감염병관리본부 등이다.



맺는 말

사건기반 감시체계는 궁극적으로 잠재적인 국제적 공중보건위기상황을 야기할 사건을 조기 인지하고 신속위험평가를 통해 대응체계를 확립하고 유관기관 및 이해관계자에게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질병관리본부는 2015년 메르스 유행의 교훈을 통해 기존의 지표기반 감시체계를 보완하는 사건기반 감시체계를 강화하여 상시적으로 사건기반 정보를 수집하고 신속평가내용을 유관기관 및 의협 등 민간부문과의 정보공유를 통해 향후 국제적인 공중보건위기상황 발생 시 다분야 신속대응의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1. WHO.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 2005-third ed. WHO: Geneva. 2008.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Early Detection, Risk Assessment and Sharing Information on Acute Public Health Event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eongju. 2017.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