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가을철 발열성질환의 사례조사 결과 및 개선 방안
  • 작성일2010-10-01
  • 최종수정일2012-08-2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가을철 발열성질환의 사례조사 결과 및 개선 방안
Case investigation result and improvement of acute febrile disease in the autumn

질병관리본부 전염병대응센터 역학조사과          
    

  일반적으로 가을철 발열성 질환이라 함은 보통 9-11월에 농촌지역 고령자 및 야외작업자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쯔쯔가무시증,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을철 발열성 질환은 쯔쯔가무시증이 매년 6000명 선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신증후군출혈열은 400여 명, 렙토스피라증은 100여 명이 매년 발생하고 있다.
  쯔쯔가무시증(Scrub Typhus 또는 Tsutsugamushi Disease)은 사람이 쯔쯔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Leptotrombidium) 유충에게 물렸을 때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털진드기는 보통 들쥐나 야생동물에 기생하고 관목숲에 주로 서식하는데, 사람은 기회감염숙주이다. 2009년 사례조사 분석 결과, 환자의 90.7%가 10-11월에 발병하였고, 환자 중 여성이 62.7%, 60세 이상이 59.4%, 농·임·축산업 종사자가 47.8%였다. 지역별로는 전북, 충남, 전남 순으로 환자발생이 많았다. 주요임상증상은 발열과 오한이었고, 가피발견율이 76.7%였다. 작업 및 야외활동 경험이 없어 감염요인을 전혀 추정할 수 없었던 사례가 539명(12.1%)이었다. 도시크기별로는 대도시는 일회성 농사관련 작업 참여와 야외활동이 82.4%로 주 감염요인이었고, 그 외 지역은 직업적 농사작업이 56.6%로 주 감염요인이었다.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설치류의 소변, 대변, 타액 등으로 분비되는 바이러스를 흡입하여 감염된다. 2009년 사례조사 분석 결과 9월부터 발생이 증가하여 57.8%가 10-11월에 발병하였고, 남자가 56.5%, 60세 이상이 50.3%였고, 직업별로는 농업이 43.1%로 가장 높았다.
  다발생 지역은 강원, 충북, 충남 순이었다. 군부 거주는 작업으로 인한 감염이 높았고, 시부거주자는 군부에 비해 야외활동 분율이 높았다. 작업장소는 밭, 야외활동장소는 산이 가장 많았다. 감염요인을  추정할 수 없었던 사례가 89명(31.7%)이었다.
렙토스피라증은 주로 감염된 동물의 소변에 오염된 물, 토양, 음식물에 노출 시 상처난 피부를 통해   전파되나 감염된 동물의 소변 등과 직접 접촉 또는 오염된 음식을 먹거나 비말흡입하여 감염되기도 한다. 농부, 광부, 오수처리자, 군인, 동물과 접촉이 많은 직종 종사자에서 호발하며, 홍수 후 벼 세우기나 추수기 벼 베기 작업과 관련하여 집단발생이 가능하다. 2009년에는, 2001년부터 전염병웹보고시스템 감시를 시작한 이래 가장 환자수가 적었는데 사례조사 분석 결과 8월부터 환자발생이 증가하여 74.5%가 9-11월에 발병하였고, 남자가 49.1%, 60세 이상이 62.2%를 차지하였다. 작업 및 야외활동 장소 상태는 건조지(43.6%), 습지(28.2%), 물속(5.1%) 순이었다. 감염요인을 추정할 수 없었던 사례가 14명(26.4%)이었다.
  위와 같이 이들 가을철 발열성 질환은 주로 9-11월 사이에 집중 발생하고, 농번기로 주 발생군이  농업 종사자임을 고려할 때 사례조사에 협조 및 순응이 적고 사례조사의 완결성을 유지하기 힘들어 위험요인 및 역학적 특성 파악이 어려웠다. 2009년 분석 결과 쯔쯔가무시증은 거주지와 직업 미기재율이 각각 4.6%, 7%이었고, 신증후군출혈열의 미기재율은 직업 3.0%, 예방접종유무 17.0%, 입원기간 17.4%, 작업 및 야외활동 유무 20%였고, 렙토스피라증은 입원기간 34.0%, 작업 및 야외활동 유무 11%, 작업장소 20.6%, 작업 및 야외활동 장소상태 28.2%가 미기재되었다.
  이에 역학조사과에서는 감염성 질환별 사례조사서를 개선하고 웹 입력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례조사의 효율성, 신속성, 완전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쯔쯔가무시증 사례조사서는 위험행태에 중점을 두어 간소화 하였고, 신증후군출혈열과 렙토스피라증은 국내 환자의 역학적 특성이 많이 알려지지 않아 인구학적 특성, 노출위험요인, 집단발생 등에 대한 자료를 우선으로 사례조사서를 개선하였다. 또한 사례조사 웹 입력 시스템은 전염병웹신고시스템과 연동되도록 구축하여, 중앙 뿐 만 아니라 시도 및  시군구에서도 관할 지역 내 신고사례와 사례조사완료사례를 연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쯔쯔가무시증 사례조사서는 웹 입력 시스템이 2010년 9월 6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신증후군출혈열과 렙토스피라증은 2011년 1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사례조사 웹 입력 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중앙뿐 아니라 관할 시도 및 시군구에서 다운로드 받아 관할 지역의 위험요인 분석을 실시할 수 있어 향후 가을철 발열성 질환 관리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앙역학조사반에서는 향후 쯔쯔가무시증의 위험 행태를 중심으로 한 감염경로 파악을 위해 다발생 지역 1-2개 시·군을 대상으로 심층역학조사를 수행하여 근거중심 예방 및 관리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할 계획이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