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인플루엔자 대유행(pandemic influenza) 대비‧대응 계획
  • 작성일2018-08-30
  • 최종수정일2019-09-10
  • 담당부서위기대응총괄과
  • 연락처043-719-9050
인플루엔자 대유행(pandemic influenza) 대비‧대응 계획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 위기대응총괄과
신승환, 김성순, 홍정익*

*교신저자 : hongji3755@korea.kr, 043-719-9050

Abstract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and response plan

Shin Seung Hwan, Kim Seong Sun, Hong Jeong-Ik
Task Force Team for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and Response, KCDC

In general, global influenza pandemics occur every 10 to 40 years with no clear incidence pattern. If an influenza pandemic occurs abroad, the likelihood of disease importation to the Republic of Korea (ROK) also increases. The ROK experienced an influenza A (H1N1) pandemic in 2009, as well as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risis in 2015. As a result, these outbreaks raised the public’s awareness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Recently, the ROK government revised the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and Response Plan.” This study introduces the details of this plan.

Keywords: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and response plan, Influenza A (H1N1) pandemic in 2009


들어가는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유전자의 다양성(genetic diversity)을 통해 백신, 치료제 또는 숙주 등의 다양한 공격에 대항하여 생존한다. 이런 유전적 다양성은 유전자 변이에 의해 항원소변이(antigenic drift)와 항원대변이(antigenic shift)를 통해 나타나며[1] 매년 계절인플루엔자와 10∼40년 주기로 인플루엔자 대유행을 발생시킨다(Table 1)[2]. 최근 계절성 인플루엔자의 발생 변동[3]과 국제적으로 꾸준히 AI 인체감염이 발생하는 등 2009년 인플루엔자 A(H1N1)의 대유행 이후 다시 대유행의 가능성이 도래하고 있는 상황이다[4].
우리나라는 2015년 MERS 위기를 통해 신종감염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고[5], 신종감염병 발생 시 막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소모할 수 있기 때문에[6] 발생 불확실성이 높더라도 철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 보건복지부는 2015년 9월 「국가 방역체계 개편방안」을 통해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및 인프라를 확대 구축하였으며, WHO 등 국제적으로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개정되고 있다[6,7,8].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을 개정하였으며 주요 개정사항을 소개하고자 한다.


몸 말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은 국내 인플루엔자 대유행에 대비하고자 2006년에 처음 수립되었으며, 2011년 1차 개정 및 2012년 2차 개정을 통해 2009년 대응 경험을 반영하고 계획의 구성과 대응전략을 체계화 시켰다(Table 2).
주요 개정사항으로는 첫째, 기존의 환자대응 절차에 따른 구성에서 핵심 대응전략 위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개정된 체계적인 대비‧대응체계 구축 및 인적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일상적인 사회기능 유지 등을 목표로 대응방향을 정립하였다(Table 3).
둘째, 최근 개편된 국가 방역체계 및 위기대응 매뉴얼 등을 반영하여 대유행 대비전략을 정비하였다. 감염병 위기대응 컨트롤타워로써의 질병관리본부 역할을 재정립하여 자체 위기평가회의 소관을 보건복지부에서 질병관리본부로 변경하였다. 또한 해외 신종감염병 위기경보 수준을 강화하여 제한적 전파를 경계단계로(기존 : 지역사회 전파), 지역사회 전파를 심각단계(기존 : 전국적 확산)로 확대하였고 지역사회(시도, 시군구)의 단계별 구체적 역할을 제시하였다(시도, 시군구 지역방역대책반 운영, 지역 내 방역 인프라 및 동원 등). 그 외에도 신종감염병 국제 감시체계 구축, 출입국 검역강화, 24시간 감염병관리 긴급상황실 운영 및 즉각대응팀 현장대응, 신속 정확한 진단체계 구축, 컨트롤 타워 재설계 및 중앙-지방 역할의 명료화 등을 반영하였다.
셋째, 2013년 이후 WHO, 미국 CDC의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응 계획의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현재 WHO(4단계)* 및 미국 CDC(6단계)의 인플루엔자 대유행 위기단계 및 심각도 평가체계† 등을 반영하였다.
* WHO는 2013년 인플루엔자 대유행 위기경보단계를 6단계에서 4단계로 변경
†WHO PISA(Pandemic Influenza Severity Assessment), 미국 CDC PSAF(Pandemic Severity Assessment Framework)
넷째, 분야별 세부계획 및 양식을 업데이트 하였다. 분야별 세부계획은 1) 인플루엔자 대유행 예방접종 계획, 2) 국내 유입지연 및 피해 최소화 계획, 3) 보건의료 대응 계획, 4) 위기대응 거버넌스 확립, 5) 대응체계 기반 구축 및 운용, 6) 공중보건 대응전략으로 구성되었다. 관련 양식 및 지침은 인플루엔자 대유행 역학조사서, 대국민 행동요령, 교육기관 대응지침, 대학 대응지침, 학원 대응지침, 사회복지시설 대응지침 등을 업데이트 하였다.


맺는 말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개정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백신 생산 및 예방접종을 통해 인플루엔자 대유행을 조기에 종식시키거나 대유행을 예방할 수 있는 근본적 해결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여 환자 증상 경감, 전파 차단, 사망 감소 등 백신 생산 전까지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하며 검역을 통해 대유행 초기에 급속한 국내 유입 방지 및 국외 전파 차단을 하고자 한다. 또한 진단, 감시, 역학조사 및 위험평가로 신속하고 정확한 감염병 대응정책 수립 및 시행을 지원하는 방역기반 체계를 마련하고 격리 및 치료시설, 의료자원 등 감염자 치료, 보건의료체계 유지 및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 인프라를 갖춤으로써, 환자 및 접촉자 관리, 지역사회 공중보건조치 및 위기소통을 통해 신속하고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1. 김우주, 노지윤, 박만성, 송준영, 신옥, 안동호, 위성헌, 이진수, 장준, 정희진, 천병철, 최영기, 최원석. Influenza, 신종인플루엔자 범부처 사업단. 2016.
2. Woo Joo Kim. Novel Influenza A/H1N1 Pandemic: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J Korea Med Assoc. 2009;52(8):787-794.
3. 질병관리본부. 계절 인플루엔자 예방 수칙 당부 AI 인체감염 예방 조치 지속. 보도자료. 2016.12.20
4. WHO. Guidance for surveillance during an influenza pandemic. 2017.
5. 김남순,박은자,전진아,김대중,정진욱,김정선,김동진,송은솔,최성은,김대은,최지희 감염병 관리체계의 문제와 개선방안 - 메르스 감염 중심으로. 2015.
6. 김윤희. 메르스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2015.
7. WHO. Pandemic influenza risk management WHO Guidance. 2017.
8. WHO. A Checklist for pandemic influenza risk and impact management. 2018.
9. CDC. Community Mitigation Guidelines to Prevent Pandemic Influenza.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Recommendations and Reports. Vol. 66 No. 1 April 21, 2017.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