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2017년 만1-3세 어린이 정기예방접종의 완전접종률 현황
  • 작성일2018-10-18
  • 최종수정일2019-09-10
  • 담당부서예방접종관리과
  • 연락처043-719-6810
2017년 만1-3세 어린이 정기예방접종의 완전접종률 현황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예방접종관리과
박광숙, 이재영, 최연화, 공인식*

*교신저자 : insik.kong@korea.kr, 043-719-6810

Abstract

National Vaccination Coverage Among Children Aged 1-3 Years in the Republic of Korea, 2017

Park Kwangsuk, Lee Jaeyoung, Choi Yeonhwa, Kong Insik
Division of VPD Control & NIP,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 Control, KCDC

Background: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communicable vaccine-preventable diseases (VPD) is to achieve and maintain vaccination coverage level above the threshold of disease transmission preven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strategy for achieving more than 95% of immunization coverage through routine vaccinations and/or supplemental immunization activities. The national level of vaccination coverage is a critical performance process indicator of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publicly reported the national level of vaccination coverage since 2015.
Methods/results: This report details the vaccination coverage for the year 2017, using 1.29 million data of children from the National Registration Information System. The calculations of vaccine coverages are modeled on birth cohorts at ages of 12 months (born in 2016), 24 months (born in 2015), and 36 months (born in 2014). The complete vaccination coverage of subjects aged 12, 24, and 36 months in 2017 were 96.6%, 94.1%, and 90.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birth cohorts, the vaccination coverages of NIP were higher than 95%, except for Japanese encephalitis (92.9%).
Conclusion: Vaccination coverage in the Republic of Korea was higher than that in many developed countries. Nonetheless, more investment and research are needed to identify vaccination hesitancy and refusal groups, as well as all VPD group.

Keywords: Vaccination, Immunization, Coverage, Vaccination hesitancy


들어가는 말

국가예방접종사업은 개인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일정 수준의 접종률을 달성할 경우 집단 면역력 형성(herd immunity)으로 감염병 전파를 차단함으로써 감염병 유행을 예방한다. 예방접종은 $1 투자하면 $16 이득이 생기는 가장 비용-효과적인 감염병 예방관리 전략이다[1].
우리나라의 국가예방접종사업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4조 및 제25조에 의거하여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1954년 전후부터 실시하고 있다. 1996년 이전까지는 아동의 보호자에게 반드시 예방접종을 받도록 하는 책임을 부여하였으나, 1999년 규제정비계획에 의해 보호자의 강제 예방접종 규정과 벌금조항이 폐지되었으며, 현재까지 기초지자체장의 책임 하에 국가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다[2]. 우리나라의 국가예방접종사업은 2020년까지 예방접종률을 감염병 퇴치수준인 95% 이상으로 높이기 위해 국가사업 대상백신과 접종 대상자의 확대, 민간의료기관 접종에 대한 비용지원 등 양적·질적 확대를 통해 국민의 접종비용에 대한 부담을 낮추고, 접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2014년도부터는 12세 이하 어린이에 대해 국가 예방접종을 민간의료기관까지 확대하여 무료로 실시하고 있으며, 2018년 현재 총 17종의 백신접종에 대해 국가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미접종자 관리, 예방접종 기록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운영, 실시간으로 개인별 접종정보 및 접종일정 안내 정보 제공, 지연접종 알림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3].
우리나라의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 통계는 2013년 통계청의 국가승인통계(117093호)로 지정 받았으며, 2015년부터 만3세 어린이 전수에 대한 접종률을 산출하고 있다.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 산출은 최신의 집단면역수준을 확인하여,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발생 시 신속한 유행 예방관리를 위한 대응전략 마련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인 우리나라의 2017년 만1~3세 어린이 예방접종률 현황에 대해 자료의 수집, 산출 및 분석방법과 결과, 통계산출의 발전방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몸 말

1. 예방접종률 자료의 수집 및 산출방법

예방접종 기록은 보건소 및 의료기관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한 후 질병관리본부의 예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Immunization Registry Integration System, 이하 “전산시스템”이라 함)에 전산 등록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전산 등록된 자료에 대해 지속적으로 품질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행정안전부의 출생·사망 정보 및 주소지 정보와 법무부의 이중국적 및 출·입국 정보를 연계하였으며, 접종률 분석을 실시하여 예방접종 통계분야 전문가 회의를 통해 최종 자문을 받았다.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만3세 어린이의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을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기록을 분석해 전수통계로 매년 산출하고 있으며, 2016년까지는 만3세 1개년 출생코호트(2013년생)에 과거 12개월, 24개월, 36개월 시기의 접종률을 산출하였다. 2017년부터는 최근시점의 접종률을 산출하기 위해 연도 말 기준 만1∼3세 어린이로 산출대상 출생코호트를 3개년으로 확대하고 그에 따라 각 출생코호트의 연도 말 기준 만1세, 2세, 3세 각각의 백신별 접종률과 해당 연령 시기의 접종률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였다. 산출방식의 변경으로 전년도 12개월과 24개월의 접종률 추이 비교는 곤란해졌으나, 최근시점의 접종률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2017년 만1∼3세 어린이 전국예방접종률은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국내에 거주하는 2017년 말 기준 만1∼3세 아동인 2014∼2016년 출생아를 대상으로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 ‘예방접종 실시기준 및 방법(보건복지부 고시 제2016-80호)’에 따라 권장하는 예방접종 횟수를 모두 완료한 아동의 비율로 산출하였다(Figure 1).

Figure 1.

접종대상자인 분모에서 사망자와 외국의 영주권을 취득하고 영주목적으로 외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확인된 아동은 제외하였다. 접종자인 분자에 대해서는 질병관리본부의 전산시스템에 전산 등록된 기록만 인정하였으며, 동일한 예방접종을 중복으로 접종한 경우는 첫 번째 접종을 인정하고, 그 외의 중복접종 기록은 제외 하였으며, 예방접종 실시기준보다 이른 접종을 실시한 경우에는 접종력을 인정하지 않으므로 제외하였다. 또한 예방접종 실시기준에서 인정하지 않는 교차접종[교차접종 : 동일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백신을 교차하여 접종을 실시한 예방접종(일본뇌염 약독화 생백신과 불활성화백신간의 교차접종)]을 한 경우 해당 감염병의 예방을 위한 접종을 완료하기 위해 최종 선택한 백신의 예방접종 기록을 인정하고, 그 외 교차접종의 기록은 제외하였다(Figure 2)[4].

Figure 2.


2. 예방접종률 산출 결과 및 해석

2014∼2016년 출생아로서 2017년 12월 31일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전산센터에 주민등록된 예방접종 대상자는 129만 명으로 다음과 같았다(Table 1).

Table 1.

연령시기별 예방접종률은 생후 12개월까지 접종 완료를 권장하는 예방접종(6종, 16회 접종) [6종 백신: BCG 1회, HepB 3회, DTaP 3회, IPV 3회, Hib 3회, PCV 3회를 모두 완료한 아동]을 모두 접종한 아동은 96.6%, 생후 24개월까지 권장되는 예방접종(8종, 21회 접종) [8종 백신: BCG 1회, HepB 3회, DTaP 4회, IPV 3회, Hib 4회, PCV 4회, MMR 1회, Var 1회를 모두 완료한 아동]을 모두 접종한 아동은 94.1%, 생후 36개월까지 권장하는 예방접종(9종, 23∼24회 접종) [9종 백신: BCG 1회, HepB 3회, DTaP 4회, IPV 3회, Hib 4회, PCV 4회, MMR 1회, Var 1회 및 JE 불활성화백신 3회 또는 약독화생백신 2회를 모두 완료한 아동]을 모두 완료한 아동은 90.4%로 각각 나타났다(Figure 3).

Figure 3.

지역별 완전 접종률 중 12개월까지(6종, 16회 접종) 권장하는 예방접종을 모두 완료한 아동은 울산 98.1%, 전남 97.8%, 광주 97.7%의 순서로 높았고, 24개월까지(8종, 21회 접종) 권장하는 접종에 대해서는 울산과 충남이 95.7%, 충북 95.3%로 높았으며, 36개월까지(9종, 23∼24회 접종) 권장하는 접종에 대해서는 울산 93.2%, 강원과 충북이 92.1%의 순으로 높았다(Figure 4).

Figure 4.

백신별로는 생후 12개월, 24개월, 36개월까지 각각 권장하는 예방접종의 백신별 예방접종률이 92.9% ∼98.2%로 일본뇌염을 제외하고 모든 백신의 예방접종률이 95.0% 이상으로 나타났다. 각 연령별로는 BCG 백신 접종이 98.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Table 2).

Table 2.

예방접종률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접종 완료해야 하는 누적 접종횟수가 많아져 완전접종률이 낮아졌으며, 백신별 예방접종률은 만3세까지 총 4회로 접종횟수가 많은 DTaP(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백신과 Hib(b형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백신, 생후 12∼23개월에 첫 접종을 하고 12개월 후 추가 접종해 가장 늦은 시기까지 접종하는 JE(일본뇌염) 백신의 예방접종률이 낮게 나타났다. 일본뇌염 백신은 표준 접종 일정보다 늦게 접종하여 아직 다음 접종 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에도 미접종자로 분류되어 다른 백신보다 낮은 것으로 보인다. 올해 처음 접종률을 산출한 PCV(폐렴구균) 백신의 예방접종률은 연령별로 96.8∼97.4%로 다른 백신과 비슷한 접종률을 보였다. 지역별 예방접종률 차이는 현재 시점의 주소지 기준, 해외거주자 등 인구 이동 요인으로 해석의 한계는 있으나 지자체별로 미접종자 개별 우편안내 등 접종독려 방법의 노력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17년 만3세 아동의 36개월 접종률은 국가예방접종 백신에 PCV가 추가되어 접종횟수가 4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년에 비해 89.2%에서 90.4%로 1.2%p 증가되어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백신별 완전접종률은 접종률 현황을 공개하고 있는 해외 주요 국가와 비교한 결과 국가별로 동일한 접종기준이 적용되고 있는 DTaP, IPV, MMR, Var, Hib 등 5종 백신의 평균이 한국 96.9%로 미국 87.8%, 호주 95.1%, 영국 94.0% 등에 비해 평균 약 2∼9%p 가량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Figure 5)[5,6,7], 세계 최고 수준으로 우리나라의 어린이 건강보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5.


 맺는 말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은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기준으로 집계함에 따라 인구 이동 등으로 접종 당시 지역 또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예방접종률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국외 거주하거나 장기 출국이 확인된 아동에 대해서는 예방접종 대상자에서 제외하고 있으나, 일부 확인되지 않은 아동을 포함하고 있어, 이들 아동의 비율이 높은 지역의 경우 실제 지역사회의 접종률보다 낮게 산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수두 예방접종률은 수두 감염자의 경우 면역력 획득으로 예방접종 제외 대상이나, 감염 및 면역 획득 여부 확인의 한계로 수두 감염자를 예방접종 대상자에 포함하여 집계하였으며, 예방접종 완료자에서 제외하지 않아 실제 수두 예방접종률보다 낮게 산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결핵 예방접종률은 결핵을 예방하는 BCG 경피용 백신이 국가예방접종으로 도입되지 않은 백신이나, 질병관리본부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BCG 경피용 예방접종 기록을 예방접종률 산출에 포함하였으며, 일부 예방접종 기록이 전산등록 누락되었을 수 있어 실제 결핵 예방접종률보다 낮게 산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예방접종률은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서, 접종률 결과에 따라 사업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이다. 이에 각 나라들은 예방접종률의 측정방법을 개발하고, 그 측정 주기나 자료원 등과 같은 사항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2017년 만1∼3세 어린이의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 통계는 2014∼2016년에 출생한 129만 명을 대상으로 질병관리본부의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접종기록을 분석해 산출하여, 가장 최신의 연령별 접종률 산출을 통해 집단면역수준을 확인한 통계라는 점과, 여러 분야에서 예방접종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정확한 통계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우리나라 어린이의 높은 예방접종률은 단체생활에 의한 유행을 막을 수 있는 수준의 높은 집단면역 보호체계를 갖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높은 접종률 유지를 위해서는 향후 매년 전수등록 자료를 이용해 접종률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국가예방접종사업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저소득층, 다문화 가족 등 취약계층의 접종 현황과 백신 거부, 지연자 등 미접종 사유조사 등을 통한 현황조사와 그에 따른 관리체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만4∼6세와 만11∼12세 추가접종에 대한 접종률 분석 등 분석 연령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미접종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등 심층 분석을 통해 미접종자의 접종률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연구 자원으로써 예방접종 빅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 Ozawa S. Clark S. et al. Return On Investment From Childhood Immunization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1-20. Health Aff. 2016;35(2):199-207.
2. 보건복지부. 2012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어린이 예방접종사업. 2013.
3. 질병관리본부. 2017년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 추진결과. 주간 건강과 질병. 2018;11(17);533-537.
4. 질병관리본부. 2017 전국 예방접종률 현황. 2017.
5. Hill HA, Elam-Evans LD, et al. Vaccination Coverage Among Children Aged 19-35 Months-United States, 2016. Morb Mortal Wkly Rep. 2017;66:1171-1177.
6. Alexandra H, Brynley H. et al. NSW Annual Immunisation Coverage Report, 2016.
7. National Statistics. Childhood Vaccination Coverage Statistics, England, 2016-2017, 2017.
8. Choe YJ, Park K et. a1. School entry vaccination requirement program: Experience from the Republic of Korea. Vaccine. 2018;36(37)5497-5499.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