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근거기반의 지역사회 보건 프로그램을 위한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 신속대응 프로그램
  • 작성일2019-05-02
  • 최종수정일2019-09-10
  • 담당부서만성질환예방과
  • 연락처043-719-7380
근거기반의 지역사회 보건 프로그램을 위한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 신속대응 프로그램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김수영
아주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신승수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서현주
코반스 코리아
차영주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질환예방과
송금주, 이정열, 김영택*

*교신저자 : ruyoung@korea.kr, 043-719-7380

Abstract

Korea Preventive Service Task Force's rapid response program for evidence-based community health programs

Kim Sooyou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Hallym university medical college
Shin Seong-soo
Pulmonary & Critical Care Medicine, Ajou University Medical Center
Seo Hyun-Ju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Cha Youngju
Covance Korea
Song Geumju, Lee Jung-youl, Kim Young Taek
Division of Chronic Disease Prevention, Center for Disease Prevention, KCDC

The Korea Preventive Service Task Force (KPSTF) supported by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provides evidence assessment for decision makers when planning community health programs. The KPSTF conducted a traditional systematic review for providing an exhaustive summary of current evidence; however, it is a time-consuming process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decision-makers to obtain rapid access (e.g., 1 week to 2 months) and high-quality ev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solu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a traditional systematic review. Rapid response programs used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organizations were thoroughly review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we prepared a manual for the KPSTF rapid response program and obtained the approval of the KPSTF on December 14, 2018. The KPSTF's rapid response program was thus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ograms including the McMaster Health Forum, Canadian Agency for Drugs and Technologies in Health, and Cochrane. The program provides a summary of existing systematic reviews and/or primary studies with a 1, 3, or 6-week timeline. The procedure of KPSTF's rapid response program comprises nine steps, (1) receiving a request, (2) discussion on the request, (3) preparing a review protocol, (4) searching existing literatures, (5) selecting literatures, (6) preparing a draft on the evidence, (7) experts and stakeholder’s review, (8) KPSTF's peer-review, and (9) finalizing the report. Timely delivery of evidence is key for a rapid response program, even though scientific rigor partially compromised.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staff and the requester to agree on the limitations of the review.

Keywords: Evidence-based, Public health, Systematic review, Peer review, Rapid response program


들어가는 말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는 2015년부터 지역사회 보건사업 담당자들이 근거기반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보건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근거평가를 지원하고 있다. 근거평가를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며, 1) 연구계획서 작성, 2)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광범위한 문헌 검색 및 선정, 3) 검색된 문헌에 대한 비뚤림 위험 평가 및 자료 추출, 4) 자료 분석 및 결론 도출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은 대략 6개월에서 2년 정도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과학적으로 정확하고 구체적인 근거평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정보 제공의 시의성이 떨어지는 제한점이 있다.
지역사회 보건사업 담당자들이 사업을 기획하는데 있어 관련 프로그램의 효과성(effectiveness)을 미리 검토하는 것은 근거기반의 사업 수행을 위해 매우 필수적이다. 특히 우리나라 지역사회 보건사업의 상당 부분은 단기간에 기획되어 1년 단위로 수행되기 때문에 기획 단계에서 신속한 효과성 검토가 필요하나, 이를 위한 예산, 인력, 전문기술, 축적된 정보 등의 인프라가 미흡한 실정이다.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외 사례를 검토하여 중앙정부 차원의 신속한 정보제공 서비스인 ‘신속대응 프로그램(rapid response program)’을 구축하였으며 이 글을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몸 말

국외 신속대응 프로그램

캐나다의 맥매스터 대학(McMaster university)은 2014년 ‘맥매스터 보건포럼(McMaster Health Forum)’을 통해 신속대응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를 시작했으며, 해당 논의 내용을 요약하여 발표하였다[1,2]. 이 포럼은 두 유형, 즉 ‘셀프서비스(self-service)'와 ‘풀 서비스(full-service)’로 근거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셀프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근거를 검색하여 활용하도록 「Health Systems Evidence (www.healthsystemsevidence.org)」를 운영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관심 키워드를 입력하면 관련 체계적 문헌고찰이 검색되고, 각 문헌마다 제목, 저자, 초록, 서지정보 등의 기본 정보와 문헌의 질 평가 결과, 도메인(질병분류, 분야), 보건시스템 주제, 테마, 연구에 포함된 국가의 그룹(예, OECD, G7, G20, EU, 아시아) 등의 정보를 요약하여 제공하고 있다. 풀 서비스는 사용자의 요청을 접수하여 근거평가를 신속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근거평가에 앞서 관련 거버넌스, 인력 및 관리 상황, 자원, 협력조직 등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두며, 신속대응 수행 일정(3일, 10일, 30일)에 따라 수행 가능한 업무와 불가능한 업무를 구분한다[1](참고 1). 맥매스터 보건포럼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25편의 신속대응 보고서를 발간하였으며, 30일 프로그램이 22건으로 가장 많았다. 근거평가는 총 2명(주 저자 및 공동저자 각 1명)이 수행한다.
캐나다의 의료기술평가 기관인 캐드스(CADTH, Canadian Agency for Drugs and Technologies in Health)에서는 의료기술 평가 결과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해 2005년부터 ‘의료기술 조사 서비스(Health Technology Inquiry Service)’를 운영하기 시작하였으며, 2010년 해당 서비스의 명칭을 신속대응 프로그램으로 변경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2,3]. 연방 보건복지부 및 지역 보건당국 관계자, 의료기관 및 학·협회, 의료산업계 등이 서비스 주요 사용자이다. 캐드스는 사용자가 요청한 일정에 맞추어 6가지 형태의 보고서를 제공하는데, 요청 주제에 대해 5∼10일 간의 문헌검색을 통하여 참고문헌 목록(리스트)만을 제공하기도 하고, 길게는 5∼6개월 동안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서로 전달한다(참고 2). 캐드스는 2005∼2006년에 155건의 보고서로 시작하여 2015∼2016년에는 385건의 신속대응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최근(2015∼2016) 서비스 성과를 보면, 참고문헌 리스트 90건, 초록 요약 보고서 145건, 근거평가 요약 120건, 동료 검토를 포함한 근거평가 요약 1건,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2건으로, 상당 부분의 사용자가 초록 요약 보고서와 근거평가 요약 보고서를 다빈도로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거기반의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국제 컨설팅 기구인 코크란 연합(Cochrane collaboration)도 2013년부터 사용자 맞춤형 신속대응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4]. 코크란 방법론 그룹(Cochrane methods group)의 주도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접수된 요청을 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방법론을 도출한 후 약 8∼12주 동안 근거평가를 실시한다. 근거평가의 유형은 총 5가지로 1) 체계적 문헌고찰, 2) 타켓 업데이트(target update), 3) 신속 문헌고찰(rapid reviews), 4) 의료기술평가(health technology assessments), 5) 주제 범위 문헌고찰, 비판적 고찰, 근거 지도화(scoping reviews, critical appraisal, evidence maps)가 있다. 근거평가 주제는 특정 영역에 국한되어 있지 않으나, 지역사회 보건 프로그램에 대한 근거평가 성과는 보고되고 있지 않다.
국외 신속대응 프로그램들의 장단점을 분석한 결과(참고 3), 맥매스터 보건포럼은 연 평균 5개의 신속대응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제는 대부분 지역사회 보건정책 및 프로그램으로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에서 다루는 영역(즉,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관리)과 유사했다. 그러나 프로그램 운영 경험이 비교적 짧고, 구체적인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다. 캐드스의 경우, 2005년부터 운영하여 경험이 풍부하고 공개된 보고서가 많지만 대부분 주제가 약물, 진단검사, 수술 및 시술 등에 대한 것으로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의 주제 영역과 다소 거리가 있다. 코크란의 신속대응 프로그램은 가장 최근 운영을 시작하여 축적된 성과가 보고되지 않았고, 코크란 리뷰(Cochrane review)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 신속대응 프로그램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는 효과성이 입증된 지역사회 만성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 수행을 지원하고자 2018년 12월 신속대응 프로그램 운영 체계를 수립하였다. 국외 신속대응 프로그램들의 장단점을 비교한 결과, 맥매스터 보건포럼의 신속대응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1주, 3주, 6주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Table 1), 요청의 시급성 및 문제의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신청자와 논의를 통해 결정한다.

Table 1.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 신속대응 프로그램은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 근거평가센터, 사무국이 역할을 분담하여 운영한다.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는 프로그램 운영 및 매뉴얼을 승인하고, 3주 프로그램의 경우, 근거평가 신청 건 당 2명의 위원을 선정하여 동료 검토를 실시, 근거평가 결과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근거평가센터는 1개의 근거평가를 2명이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주제의 범위에 따라서 1∼3명이 수행할 수도 있다. 사무국은 근거평가 신청 접수와 근거평가 결과를 전달하고 보고서를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 신속대응 프로그램은 근거평가 신청 접수에서 시작하여 보고서가 완성되기까지 9단계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Figure 1). 1단계는 근거평가 신청 접수이며, 2단계에서 근거평가센터는 신청자와 회의(대면 또는 유선)를 통하여 핵심 질문, 시급성, 회신 요청 기간을 확인하고 프로그램의 종류(1주, 3주, 6주)를 결정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신속대응 프로그램에 적용된 방법론의 한계에 대해 신청자에게 설명하며, 근거평가센터의 업무량도 고려한다. 근거평가를 수행하기로 결정되면, 3단계에서 근거평가 계획서를 1주 이내에 작성한다. 계획서에는 개략적인 문헌조사를 통한 관련 용어 및 사례와 사용할 검색 데이터베이스, 문헌의 포함·배제 기준을 명시하고, 문헌의 양을 파악하여 근거평가 일정을 결정한다.
4∼6단계에서는 계획서에 따른 문헌 검색과 선택, 자료 추출이 수행된다. 문헌 검색은 검색 전문가 또는 연구진 중 1인이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는 Health Systems Evidence(www.healthsystemsevidence.org), PubMed(www.ncbi.nlm.nih.gov/pubmed),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www.cochranelibrary.com), KoreaMed(www.koreamed.org)를 활용한다. 6주 프로그램의 경우 검색원을 더 넓힐 수 있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추가적인 근거의 존재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문헌 선택은 계획서에 명시된 포함·배제 기준에 따라 연구자 중 1인이 결정하며, 불명확한 경우 다른 연구자와 함께 검토하여 결정한다. 문헌 선택이 완료되면 자료추출을 수행하는데, 체계적 문헌고찰인 경우 주제, 주요 내용, 최종 검색일, AMSTAR(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 점수, 국가별 분포를 추출하고, 일차 연구의 경우 연구목적, 연구방법, 중재, 연구결과, 연구수행 국가를 추출한다.
지역사회 보건사업 담당자를 포함한 전문가 자문과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의 동료 검토가 6∼7단계에서 수행된다. 전문가 자문은 1주 프로그램의 경우 생략하고, 3주 프로그램인 경우 2명(보건소 담당자 1명, 관련 주제 전문가 1명), 6주 프로그램인 경우 4명(보건소 담당자 1명, 주제 영역 관련 전문가 2명, 방법론 전문가 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전문가 자문을 거친 보고서 초안을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 위원 2명에게 검토를 요청하여 승인을 받는데, 1주 프로그램은 이 단계를 생략하고 연말에 추후 보고한다.
최종적으로 근거평가센터는 근거평가 방법, 결과, 참고문헌, 표 등을 수록하여 보고서를 완성하고 신청자에게 전달한다. 신속대응 프로그램은 근거평가가 단기간으로 수행되고 신속한 의사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질병예방서비스위원회의 전체 의견을 반영하기 어려워 그 제한점을 고지사항(disclaimer)으로 보고서에 명시한다.

Figure 1.

Ref 1.

Ref 2.

Ref 3.


맺는 말

신속대응 프로그램은 보건의료 분야의 정책결정자나 사업기획자의 요구에 의해 시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록 과학적 엄격성을 일부 희생하지만 시의적절한 근거지원을 위한 효율성이 추구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신속대응 프로그램을 시행함에 있어서 리뷰의 한계점, 리뷰 내용에 포함된 함의 등을 담당자와 신청자가 충분히 공유하고 합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1. Wilson MG, Gauvin FP, Lavis JN. Dialogue Summary: Developing a 'Rapid-response' Program for Health System Decision-makers in Canada. Hamilton, Canada: McMaster Health Forum, March 7, 2014.
2. Chris Kamel, Rapid Review. The CADTH Experience. 2016. 10.
3. CADTH. CADTH’s Rapid Response Service: Providing, relevant and timely evidence for Canadian health care decision makers. 2011.
4. Cochrane. Targeted update Final Report. 2016. 10.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