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건강정보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한국인의 흡연 습성, "더 빨리", "더 깊게"

흡연 습성 실험 방법

  • 실험 기간 : 2020년 4월 15일 ~ 8월 31일
  • 실험 참가자 : 현재 일반담배(궐련 혹은 연호) 흡연자 100명
  • 흡연 습성 측정기기 : CReSS pocket device 이용(그림1)
    그림1. 흡연습성 측정기기 : CReSS pocket device
  • 측정 방법 : 실험 참가자들을 흡연 습성 측정기기를 이용해 24시간 동안 평소처럼 담배를 피움
  • 측정 항목 : 일반담배 한 개비당 흡입 횟수(puff count), 1회 흡입량(puff volume), 흡연시간(puff duration), 평균 담배연기 흡입 속도(peak flow), 최대 담배 연기 흡입에 걸리는 시간(time to peak), 다음 담배연기 흡입까지의 간격(inter puff interval. IPI)
  • 설문조사 : 흡연 습성 측정 후 실험 참가자들의 건강 관련 기초조사(취침, 기상, 식사, 음주 등)및 측정기기를 이용한 흡연 경험 정보 등을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함

흡연 습성 실험 결과 분석

  • 한국 흡연자들에 대한 흡연 습성 실험결과와 일본, 미국 흡연자들의 흡연 습성 결과를 비교하였음
  • 한국 흡연자들은 일본 흡연자들보다 하루 평균 총 흡연하는 담배 기비수가 적었음
  • 그러나, 일본 흡연자보다 한국 흡연자는 담배 한 개비 흡연 시 담배 연기 흡입 횟수(Puff Count)와 흡입 시 들이마시는 연기량(Puff Volume)이 많고, 흡입 시간도 길어 '한 개비당 총 담배 연기 흡입량'이 많았음
  • 결론적으로, 한국, 일본, 미국 흡연자의 흡연 습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 흡연자가 담배 연기를 더 자주 빨아들이고, 깊이 빠는 흡연 습성을 확인할 수 있었음
    자세한 내용은 하단참조
    그림2. 우리나라 흡연자의 흡연습성 일본, 미국 흡연자 대비 담배 연기 흡입량 약2배 - 일반담배(궐련) 1개비 흡연 시 한국, 일본, 미국 흡연자 간 총 담배 연기 흡입량 비교 - 흡연 시 폐의 들숨 최대용적 : 약 2,000ml - 한국인의 1개비 당 총 담배 연기 흡입량 - 일본 흡연자의 1.8배, 미국 흡연자의 2.1배 - 최대용적 대비 72% 1개비 흡연 시 담배 연기총 1,440ml 흡입 - 최대용적 대비 38% 담배 연기 총 770ml 흡입 - 최대용적 대비 35% 담배 연기 총 700ml 흡입 담배연기 속 타르, 니코틴 흡입량 3배 이상 - 담뱃갑 표기 타르, 니코틴 함량과 실제 흡입량 비교 - 한국 흡연자 ' 더 자주, 더 많이, 더 빠르게' 담배연기 흡입 - 담뱃갑에 표기된 타르, 니코틴 함량보다 3배 이상 흡입 - 타르 15mg 이상 (ISO 기준 5mg x 3배) - 니코틴 1.5mg 이상 (ISO 기준 0.5mg x 3배) - 타르 5.0mg , 니코틴 0.50mg * ISO : 담뱃갑에 표기되는 타르, 니코틴 함량을 측정하는 국제 표준 담배시험법 * 한국, 일본, 미국 흡연자의 담배연기 흡입량은 조사 시점에 차이가 있음 일본인, 미국인 흡연 습성 정보 출처 - 일본 : Matsumoto, M., Inaba, Y., Yamaguchi, I., Endo, O., Hammond, D., Uchiyama, S., & Suzuki, G. (2013). Smoking topography and biomarkers of exposure among Japanese smokers: associations with cigarette emissions obtained using machine smoking protocols.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18(2), 95-103. - 미국 : Chung, S., Kim, S. S., Kini, N., Fang, H. J., Kalman, D., & Ziedonis, D. M. (2015). Smoking otpography in Korean American and white men: Preliminary findings.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17(3), 860-866.
SMOKING RISK 한국인의 흡연 습성과 건강 위해 SMOKING RISK
한국인의 흡연 습성과 건강 위해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