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긴급상황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신종인플루엔자 A(H1N1) 유행경과

신종인플루엔자 A(H1N1) 첫 감염 사례와 전 세계적 전파

  • 2009년 4월 15일과 4월 17일, 미국 질병관리본부는 미국에서 pandemic influenza A (H1N1)의 인체 감염 사례 두 건이 있었음을 확인함. 최초 보고에서 이 신종 질환은 돼지 인플루엔자로 보도되었으며, 4월 25일 WHO의 Margaret Chan은 전 세계적인 공중보건 위기상황이라고 진술함.
  • 4월 26일, 미국 정부는 인간에서 돼지 인플루엔자 A/H1N1 에 감염 확인된 20개의 증례를 공식 보고 하였으며, 이 중 19명은 가벼운 인플루엔자와 유사 증상을 보였고, 1명은 가볍게 입원이 필요한 정도였음. 모든 20개의 바이러스들은 검사에서 같은 유전형을 보였음. 또한 같은 4월 26일, 멕시코 정부도 인플루엔자 A/H1N1 에 감염 확인된 18개의 증례를 공식 보고함. WHO와 Global Alert and Response Network (GOARN)는 멕시코에 전문가들을 파견하여 역학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09 H1N1 바이러스는 기존에 사람이나 동물 모두에서 보고되지 않은 특이한 유전자 분획(gene segments)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었음.
  • 4월 27일부터는 미국, 멕시코, 캐나다, 스페인으로 빠르게 전파되는 양상이 보고되었고, 멕시코에서 7명의 사망자가 발생함. WHO는 잘 익힌 돼지고기 음식의 섭취는 이 바이러스 감염 위험과의 관련성이 없다고 함.
  • 이후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전파된 신종인플루엔자 A(H1N1) 감염은 2009년 9월 20일 기준 191개 이상의 국가에서 세계적으로 300,000명이 넘는 환자와 3,917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킴. 그러나 실제 환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많은 국가들에서 환자 수 산정을 하지 않고 있으며, 증상이 가벼운 환자 수는 포함하지 못한 추계이기 때문임 (WHO).
  • 2009년 11월1일 기준 사망자 수는 6,071명이었고, 많은 국가에서 환자 수 집계를 중단하였음. 그 중 상당수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생하였고 (WHO Regional Office for the Americas (AMRO) 지역에서 보고된 사망자 수 4,399명), 동남아시아 지역 사망자 수는 661명, 서태평양 지역 (WHO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WPRO)) 사망자수는 498명이었음.

우리나라 첫 감염 사례와 유행 경과

  • 우리나라에서 첫 추정 환자는 2009년 4월 28일에 발생하였고, 확진자는 2009년 5월 2일에 확인되었으며, 6월 1일 39명, 7월 초 300명, 8월 초 1,400명, 9월 20일까지 15,160명의 환자가 확인됨.
  • ’09.7.21 경계단계로 상향 조치되고, 8월 중순 인플루엔자 표본감시에 의한 유행기준 (1,000명당 2.67명)을 넘었으며, 10월 초 지역사회 확산이 빠르게 진행됨.
  • ’09.11.3일 심각단계로 상향조치 후, ’09.12.11일 경계단계, ’10.3.31일 관심단계로 하향조치 되었고, ’10.3.31일까지 총 사망자 수는 260명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