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고위험군 4차접종 필요성·효과성 알려드립니다
  • 작성일2022-08-23
  • 최종수정일2022-08-24
  • 작성자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 홍보관리팀
  • 연락처043-913-2336

고위험군 4차접종 필요성·효과성 알려드립니다 고연령과 기저질환자의 4차접종 필요성 ① 고연령층의 확진률, 치명률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 주간 사망자 중 60세 이상이 89.5% 차지, 60세 이상 확진 비율 7월 1주 12.7%에서 8월 1주 20.2%로 지속적으로 상승 60세 이상 확진 비율 7월1주:12.70% 2주:13.20%   3주 : 14.30% 4주 :17.00%  8월1주:20.20%      60세 이상 치명률 전체0.12% 80대 이상  2.55% (평균 대비 21.25배) 70대 0.60% (5배 평균 대비)  60대 0.15% (1.25배 평균 대비)  고연령과 기저질환자의 4차접종 필요성 ② 입원환자의 기저질환 보유율은 매우 높습니다. 미국 CDC 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 입원환자의 94.%가 최소 1개의 기저질환을 보유   본태성 고혈압:51%   지질대사장애:50%   비만 :33%   합병증을 동반한 당뇨병:32%  관상동맥경화증 및 심장질환 :25%  식도 장애 :25%  코론성 신장병  :25%  불안 및 공포 관련 장애:19%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기관기 확장증 :18%  갑상선 질환 :17%  우울증 :16%  이식 장치 또는 이식편 관련 접촉 :15%  수면 장애 :15%  신경인지장애 :15%  골관절염 :14%  재생 불량성 빈혈:12%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11%   천식 :10%  출처: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and Severe Illness Among 540,677 dults Hospitalized With COVID-19, March 2020-March 2021 (PREVENTING CHRONIC DISEASE, 21.7.1.)고연령과 기저질환자의 4차접종 필요성 ③ 40세 연령대비 50세 이상 연령층의 기저질환 유병률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50대 이상 연령층의 주요 기저질환 유병률이 높은 편으로 4차접종을 통해 코로나19 중증 · 사망에 꼭 대비해야 합니다. 연령별 기저질환 유병률 현황(%)      당뇨- 40-49세 5.01% 50-59세 10.86% 60-69세 18.93% 70-79세 27.33% ≥80세 27.58% 전체 8.89%    심뇌혈관질환 - 40-49세 3.91%   50-59세 9.17%   60-69세 19.53%  70-79세 33.75%  ≥80세 43.61% 전체 9.77%    만성간질환 - 40-49세 7.00%  50-59세 8.86%  60-69세 11.28% 70-79세 10.59%  ≥80세 6.58%  전체 6.33%    암  - 40-49세 2.02%  50-59세 2.86%  60-69세  4.46%  70-79세  6.75%  ≥80세  6.48%  전체 2.42% *건강보험공단, 15년 1월~22년 6월 기저질환 유병자 ·당뇨: 2015년 이후 주상병으로 1일 이상 입원 또는 3일 이상 외래방문 또는 2주 이상 외래처방 ·암: 2022년 6월 30일 암환자 등록 여부 ·심뇌혈관질환: 2015년 이후 주상병으로 1일 이상 입원 또는 3일 이상 외래방문 또는 2주 이상 외래처방(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등) ·만성간질환: 2015년 이후 주상병으로 1일 이상 입원 또는 3일 이상 외래방문 또는 2주 이상 외래처방 (알콜설 간질환, 기타 간질환)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력 2022년 7월 31일 기준4차접종 효과성 Q. 4차접종이 중증·사망 예방에 효과적인가요? 4차접종을 통해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높일 수 있습니다. 60세 이상의 코로나19 4차접종 효과 분석에서 중증화 예방효과 53.0%, 사망 예방효과 54.7%로 나타났습니다.   60세 이상의 3차접종 대비 4차접종 예방효과 - 감염: 15.9%(15.2%~16.5%) 중증화: 53.0%(48.9%~56.8%) 사망: 54.7%(50.2~58.9%) 1) 성, 연령대, 지역, 접종 대상군(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보정 (분석기간·대상) '22.2.16. ~ '22.5.28., 3차접종 후 4개월이 경과한 4차접종 대상자 - 60대 이상 10,025,954명 중 3차접종군 6,997,807(69.8%), 4차접종군 3,028,147(30.2%)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의 3차접종 대비 4차접종 예방효과 - 감염: 21.0%(20.1%~21.8%) 중증화 : 50.5%(44.0%~56.3%) 사망 : 54.1%(47.3%~60.0%) 중앙방역대책본부 2022년 6월 16일 보도참고자료4차접종 이상반응 신고율 Q. 4차접종, 이상반응이 걱정됩니다. 이상반응 신고율은 3차접종보다 4차접종에서 더 낮게 나타났습니다. 4차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 중 93.5%는 일반적인 이상반응이었습니다. 국내 50대 이상 연령의 차수별 이상반응 신고현황(7.31. 기준)       이상반응    접종차수- 1차 - 예방접종 : 20,514,590 이상반응 전체105,839(5.16) 일반 이상반응 100,014(4.88) 중대한 이상반응 5,825(0.28)   접종차수- 2차 - 예방접종 : 20,273,055 이상반응 전체72,063(3.55) 일반 이상반응 68,493(3.38) 중대한 이상반응 3.570(0.18)   접종차수- 3차 - 예방접종 : 18,776,045 이상반응 전체27,897(1.49) 일반 이상반응 26,199(1.40) 중대한 이상반응 1,698(0.09)   접종차수- 4차 - 예방접종 : 5,505,953 이상반응 전체3,345(0.61) 일반 이상반응 3,127(0.57) 중대한 이상반응 218(0.04)   (단위: 건(건/1,000건 접종))   4차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 93.5% 일반이상반응 6.5% 중대한 이상반응4차접종 동향 현재 4차접종 참여율은 증가하고 있습니다. 8월 1주 59만 건으로, 전 주(39만 건) 대비 1.5배 증가 8월 1주 접종건수 59만 건에서 50대가 32.7만 건으로 56.6% 차지 4차접종 연령별 접종 건수         7월2주 80대:15,423 70대:39,276 60대:67,404  50대:2,323   7월3주 80대:45,371 70대:109,492 60대:198,897  50대:148,956   7월4주 80대:36,717 70대:79,360 60대:147,084  50대:121,996   8월1주 80대:31,988 70대:70,850 60대:147,538  50대:326,978      4차접종 시 사망위험은 미접종군에 비해 96%, 3차접종군에 비해 75% 감소합니다.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에 꼭 참여해 주세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