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로 알기
  • 작성일2024-11-12
  • 최종수정일2024-11-13
  • 작성자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 연락처043-719-7178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바로알기 질병관리청 대한수의사회 글/그림 최아름수의사(인천sky동물의료센터 응급과장)

어느날 산책길.../바스락.../이상하다... 왜 이렇게 기운이 없지.../헉!! 이게 뭐야!/친구: 그거 진드기 아냐? 빨리 동물병원에 가봐/OO동물병원/(병원 안)/진드기 물렸다고 연락주신 보호자님이세요?/네 맞아요

아이는 저희한테 맡기시구요./언제 진드기 물린 것 같으세요? 증상은 언제부터 있었나요?/지난주 주말에 산책갔을 때..증상은 어제부터요../(격리실)SFTS라고 알고 계신가요? 살인진드기로 유명한 거 말이에요./들어본 듯 한데 잘 모르겠어요.../*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SFTS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서 감염되는데, 주로 4~11월까지 발생하고 혈액이나 체액에 직/간접적으로 접촉하면 2차 감염도 가능해요./그냥 항시 조심해야겠네요.../사람에서는 연간 200명 내외로 발생하고 치명률이 약 20%정도로 상당히 높아요./반려동물이 감염되면 발열, 식욕부진, 구토, 백혈구감소, 혈소판감소, 황달 등의 임상증상이 나타나는데, 잠복기가 5~14일이기 때문에 물리고 바로 문제가 생기지 않더라도 안심할 수 없어요.

진드기 노출을 줄이기 위해서 반려동물과 야외활동 할 때 진드기가 많이 있는 산이나 풀밭에 들어가는 것을 주의하고, 매달 외부구충제로 꼭 예방해주어야 해요. 야외활동 전에 기피제를 뿌려주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산책 후, 반려동물 몸에서 진드기를 발견했을 때, 억지로 쥐어짜면 진드기 입 부위가 피부에 남아서 감염을 일으키거나 진드기가 터져서 SFTS2차 감염이 될 수 있으니 가급적 동물병원에 내원해서 진드기를 제거해야 한답니다./맨손 주의/만약 이미 진드기에 물린 상황이라면 2주동안 발열, 식욕부진, 구토, 설사, 황달 등 증상이 보이는지 자주 체크해봐야 해요./증상이 보인다면 우선 반려동물을 격리시키고 눈물, 콧물, 대소변 등 모든 분비물의 접촉을 피하고 동물병원에 신속히 내원해야 해요. 반려동물이 머물렀던 공간이나 장난감 등은 반드시 소독해야겠죠?(락스 20배 희석, 알코올)/동물병원에 내원할 예정이라면 다른 동물과의 격리를 위해 미리 전화하고, 케이지에 넣어서 접촉을 최소화해야 해요. 그리고 동물병원에서는 병원의 지침에 따라 행동해주세요./문진할 때는 언제 어디서 진드기에 물렸는지, 증상은 어떤지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의료진이 진단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될거예요./

SFTS에 감염된 동물과 가장 가까운 보호자들이 2차감염 위험이 가장 높기 때문에 제대로 된 대처가 필요해요/(선정)제일 중요한 인물/반려동물과 마지막 접촉일로부터 14일까지 SFTS의심증상이 나타나는지 체크하고,(*의심증상: 고열, 근육통, 오심, 소화기증상(설사, 구토 등), 출혈 등)/의심증상이 보이면 의료기관(감염내과)에 내원하여 SFTS에 감염된 반려동물과의 접촉력이 있음을 알리고 진료를 꼭 받아야 합니다. /미안해..설마 나도..?/*보호자 중 사람-동물 간 SFTS감시사업에 개인정보 동의를 했다면, SFTS의심증상 발현 시 대한수의사회에도 꼭 알려주세요./단순 진다ㅡ기라고 무시할 게 아니라 우리도 SFTS에 감염될 수 있으니 사전에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해요./그리고, 반려동물이 SFTS에 감염됐을 경우에도 침착하게 잘 대응해서 2차감염을 최소화해야겠죠?/우리 강아지가 좋아하는 풀숲... 풀숲에는 무조건 진드기가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됩니다!/진드기 물리면 안돼!/더 자세한 내용이나 궁금한 내용은 질병관리청이나 대한수의사회에 문의하면 구체적인 상황에 맞게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질병관리청: 043-719-7179/7167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1339 질병관리청 콜센터/대한수의사회: 070-4907-0024 반려동물 SFTS신고전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