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일반인의 에이즈에 대한 행태감시조사
  • 작성일2008-06-20
  • 최종수정일2012-08-2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일반인의 에이즈에 대한 행태감시조사

HIV/AIDS related behavioral surveillance survey in Korea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에이즈결핵관리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학교실   


Ⅰ. 들어가는 말
  에이즈에 대한 효과적인 보건학적 중재를 수행하기 위해 UNAIDS와 세계보건기구는 행태감시체계(behavioral surveillance system)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1]. 에이즈에 대한 행태감시체계란 성매개성 감염 발생 관련 행태자료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이다[2]. 따라서 행태감시자료는 HIV 감염률의 변화를 설명하고 에이즈 유행에 대한 조기경보체계 구축에 활용될 수 있으며, 효과적인 에이즈 예방프로그램의 설계와 방향을 제시하는 근거가 되고, 에이즈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1].
 우리나라도 에이즈와 관련한 행태감시를 주목적으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일반인 대상의 실태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3-6]. 이 중 2005년과 2007년 에이즈에 대한 조사는 질병관리본부 에이즈결핵관리팀에서 수행하였다. 에이즈에 대한 행태학적 감시체계는 성위험행동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예방대책을 세우며 그 효과를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연구는 2007년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 조사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시행된 국내외 에이즈 행태조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에이즈에 대한 국내외 행태 조사들은 조사방법과 문항에서 다소간의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이 연구의 자료인 2007년 에이즈 행태조사는 전화설문조사방식을 이용한 반면 그 이전 국내 행태조사는 면접조사방식으로 시행되었고, 각 조사마다 설문문항이 차이가 있다. 또한 외국의 행태조사의 경우에도 설문문항 구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화설문을 조사한 국내의 행태조사 결과를 같은 방식으로 조사된 국외의 행태조사 결과와 비교 고찰하고자 하였다.

 


Ⅱ. 몸 말
   1. 조사대상
  본 조사는 19세 이상 59세까지의 성인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대상자 수는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 이내를 만족하는 대상자 수(약 1,067명)를 감안하여 약 1,100명으로 설정하였다. 각 시도별 표집수는 전국의 인구 분포를 기준(2006년 12월 31일 기준, 통계청)으로 16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표본 할당의 10배수 전화번호를 Random Digit Dialing 방식으로 생성하였다. 16개 권역은 서울특별시, 6개 광역시(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9개 도(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로 구분하였다. 조사는 2007년 9월에 일주일간 실시되었고, 전화설문조사를 완전하게 마친 1,087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Table 1).

 


  2. 조사도구
  문항은 질병관리본부에서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조사를 수행하기 위해 2005년 사용한 설문을 토대로 구성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외에서 전화조사방식으로 실시하고 있는 에이즈에 대한 행태감시 문항들 중 전문가 의견 조사 결과 우선순위가 높은 문항을 채택 조사하였다. 이들을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 이해도가 낮은 문항은 내용을 수정하고 응답 거부율이 높아 전화설문조사 방식으로는 조사하기 어려운 문항은 배열을 바꾸는 등의 수정과정을 거쳐 조사 문항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문항은 에이즈에 대한 지식 4문항, 태도 4문항, 민감성 관련 1문항, 정보 획득 및 교육 관련 2문항, 에이즈 검사 관련 6문항, 성행태 관련 4문항, 콘돔 사용행태 관련 4문항, 콘돔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관련 4문항,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정부지원 필요여부 관련 1문항 및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에이즈에 대한 지식은 에이즈 예후, 감염경로 및 예방법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태도는 가족이나 직장 동료로서 함께 지낼 수 있는지, 격리수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자녀와 학교에 같이 다니도록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에이즈에 대한 정보 획득 및 교육은 예방교육 수강 여부 및 에이즈 예방 광고 인지도를, 성행태에 대한 문항으로는 지난 1년 동안 성 경험 여부, 성매개 질환 이환 여부, 외도 여부, 성적 취향에 대해 물었다. 에이즈 검사 관련 문항으로는 평생 수검률과 지난 1년 동안의 수검률 및 수검 장소와 수검 이유를, 콘돔 사용행태는 배우자 및 외도상대자와의 콘돔사용 빈도 및 구입장소를 조사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는 연령, 성별, 교육 수준, 종교, 결혼 상태, 가구 수입 및 직업으로 구성하였다. 응답형식은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에이즈 검사, 성행태 등의 경우에 ‘예’ 또는 ‘아니오’로, 콘돔 사용행태 등의 경우에는 빈도를 묻는 방식이었다.

 

 3. 조사 및 분석방법
 이 연구의 설문 내용이 개인적으로 민감한 내용인 점을 감안하여 조사방법론, 보안교육 및 연구의 특수성을 감안한 면접기술을 별도로 교육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원은 대상자에게 조사에 들어가기에 앞서 조사에 참여할 것인지에 대해 구두로 동의를 구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의사에 따라 조사 도중 언제라도 특정 질문에 대해 응답하지 않을 수 있고 조사를 중단할 수도 있음을 설명하였으며, 응답자가 동성의 조사원을 원하는 경우 동성으로 배치하였다. 무응답 비뚤림의 개입 소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사 시간대는 저녁시간(저녁 9시까지)과 주말을 포함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한 번 전화조사를 한 연구대상자와는 추가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재접촉하지 않았고, 조사기관은 조사 기간 동안 전화설문이 끝나는 대로 전화번호를 코드화하여 관리하였으며, 연구진은 전화번호를 삭제한 채로 조사기관으로부터 자료를 구득하였다. 설문조사 문항 중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하도록 요청한 문항임에도 불구하고 ‘모르겠다’로 응답한 경우는 ‘예’ 또는 ‘아니오’와 별도로 ‘모르겠다’로 처리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4. 분석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총 4,208여 건의 전화통화를 시도하였고, 이 중 1,389건이 성공하여 응답 시작률은 33.0%였다. 응답시작 전화 건수(1,389건) 중 설문 도중에 응답을 거부하여 중단한 경우가 302건이었으며, 통화자 중 설문을 완전하게 마친 경우는 1,087건으로 설문 완료율은 77.3%였다. 설문소요시간은 조사 대상자 1인당 약 5-7분이 소요되었고, 연령이 높을수록 응답 성공률이 낮았다. 응답자는 성별, 연령별로 고르게 분포하였고, 교육수준은 고졸 이하인 경우가 44.1%였고, 종교가 없는 경우가 49.0%였으며, 결혼 상태는 미혼이 27.9%, 기혼인 경우가 71.5%였다. 직업은 생산직 종사자가 30.0%, 사무직 종사자 21.3%, 가정주부 26.2%로 직업군이 고르게 포함되었다. 이 연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97%였다(Table 2).


 

2)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태
 에이즈에 대한 예후, 감염 경로 및 예방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의 정답률은 67.0% 이상이었다. 에이즈에 대한 지식을 묻는 4개 문항 모두 이전 행태감시조사보다 정답률이 약 10-20%p 향상되었다. 그러나 외국의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에이즈에 대한 지식수준은 여전히 낮은 편이었다. 키스 또는 변기를 공동으로 사용한 경우에 에이즈에 감염될 수 있다는 문항의 경우 미국[7], 영국[8] 홍콩[9]의 전국민 조사결과 각각 82.9%, 94.0%, 45.7%(이상 키스), 66.0%, 98.0%, 76.4%(이상 공동 변기 사용)의 정답률을 보였으나 우리나라는 67.0%(키스), 73.7%(공동 변기 사용)에 그치고 있다.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태도를 묻는 문항에서 가족 중 에이즈 감염자가 생겼을 때 집에서 함께 지낼 수 있느냐는 물음 24.3%가 그럴 수 없다고 응답하였고, 에이즈에 감염되면 직장에서 사표를 내도록 해야 하느냐는 문항에 26.7%가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며, 자녀가 에이즈 감염자와 같은 학교에 다니도록 허용하겠냐는 문항에 44.4%가 허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에이즈 감염자를 격리시켜야 하느냐는 문항에 대해 36.5%가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연도별 변화를 보면, 에이즈 감염인의 직장생활에 대한 항목을 제외하고는 차별의식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에이즈 감염인과 함께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지를 묻는 문항의 경우 2005년에는 ‘에이즈 감염인이 같은 직장에 다닌다면 쫓아내야 합니까?’라고 물었다. 이에 반해 2007년 조사 문항은 좀더 완화된 표현으로 동일한 내용을 묻고 있어 차별의식이 더 높게 나타났을 수 있다. 2005년과 동일한 문항(가족에서 추방, 자녀와 같은 학교 불허, 사회적으로 격리)에서는 차별의식이 모두 약간 감소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태도는 선진국에 비해 부정적이었다. 에이즈 감염인과 함께 직장에서 일할 수 없다는 문항의 경우 미국[7], 영국[8]의 일반인 대상 조사결과 각각 18.6%, 8.0%만이 그렇다고 응답하였으나, 우리나라는 26.7%가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자녀를 에이즈 감염인과 같은 학교에 다니도록 허용하지 않겠다는 응답 또한 미국[7]과 터키[10]의 일반인 대상 조사결과 각각 8.5%, 33.0%인 반면 이 연구에서는 44.4%였고, 에이즈 감염인은 격리수용해야 한다는 응답도 터키[10]와 프랑스[11]의 조사결과 각각 17.8%, 21.9%인 반면 우리나라는 36.5%였다.
 본인도 에이즈에 걸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61.5%가 그렇다고 응답하여 2005년 결과(41.5%)보다 에이즈에 대한 민감성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즈 감염인을 위한 정부 예산을 늘릴 필요가 있는지 질문한 결과 88.5%(962명)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이 같은 결과는 에이즈 감염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함께 감염인은 사회적인 배려가 필요한 약자라고 인식하는 일반인의 이중적인 시각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나 직장 등에서 에이즈를 비롯한 성병예방교육을 받아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31.4%(341명)였고, 에이즈 예방 캠페인 또는 공익광고를 본 적이 있는 경우는 72.2%(785명)였다. 에이즈에 대한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는 TV 또는 신문이 67.1%(729명), 인터넷이 15.8%(172명)로 대부분 대중매체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의 조사에서도 건강 관련 이슈의 경우 일반인은 대부분 대중매체를 통해 가장 먼저 정보를 접하고[12], 에이즈에 대한 정보도 주로 TV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일반인에게 전달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평생 동안 에이즈 검사를 받아 본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14.7%(160명)였고, 지난 1년 동안 에이즈 검사를 받아 본 비율은 6.9%(75명)였다. 지난 1년 동안 성관계 경험이 있는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에이즈 검사 수검률이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에이즈 검사 수검률은 이전 조사결과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대상과 조사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존의 조사는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자가 기입 면접조사방식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이번 조사는 전국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전화설문조사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기존의 면접조사는 본인이 직접 설문을 ���성한 후 밀봉하여 결과를 제출한 반면, 이번 조사는 전화설문의 특성상 짧은 시간 동안에 설문응답을 해야 했기 때문에 과거 에이즈 검사 수검 경험에 대한 회상이 덜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설문 응답자 중에서 지난 1년 동안 성관계 경험이 있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한 에이즈 검사 수검률은 평생 수검률이 16.3%, 지난 1년 동안의 수검률이 7.8%로 전체 설문 응답자 대상 수검률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외국의 에이즈 검사 수검률은 우리나라 보다 현저히 높은 수준이다. 미국[14], 영국[15], 캐나다[16]에서 조사한 에이즈 검사 평생 수검률은 남녀 각각 45.2%/27.8%, 32.4%/31.7%, 40.4%/30.4% 수준에 이르고 있다. 지난 1년 사이에 에이즈 검사를 받은 이유의 60.0%는 직장에서 시행하는 단체 건강검진을 통해서였으며, 치료나 수술 때문에 검사를 받은 비율이 9.3%였다. 외국의 조사결과에서도 정기검진이나 수술로 검사를 받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번 조사결과와 일치한다[17]. 이에 반해 본인이 원해서 자발적으로 에이즈 검사를 받은 비율은 26.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즈 검사 수검률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추진되는 에이즈 익명 검사를 알고 있는 비율은 설문 응답자의 25.2%에 불과했다. 그리고 익명 에이즈 검사기관이 있다면 에이즈 검사를 받아볼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35.8%에 이르렀다. 이런 결과를 볼 때, 에이즈 익명 검사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지난 1년 동안 성관계 경험률과 성 매개성 질환 치료 경험률 및 외도 경험률은 각각 77.9%, 2.7%, 9.8%였다. 이번 조사 결과 성관계 경험률과 외도 경험률은 2005년 조사결과보다 각각 약 10%p, 20%p 낮게 나타났다(Table 5).

 

 지난 1년 동안 고정적인 성 상대자와의 성행위시에는 전체 26.3%(남자 29.5%, 여자 23.1%)가 콘돔을 사용했고, 고정적인 성 상대자와의 콘돔 사용률은 외도 상대자와의 콘돔 사용률보다 낮았다. 외국의 콘돔 사용률과 비교해도 영국의 전국민 조사결과 46.0%가 항상 콘돔을 사용한다고 응답하였고, 콘돔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15%에 그친 것에 비해[8], 우리나라의 경우 콘돔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44.6%로 여전히 콘돔 사용률이 저조한 상태이다. 지난 1년 동안 배우자(미혼일 경우 애인) 이외에 외도 상대자와의 성 관계시 콘돔을 사용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전체 55.4%(남자 53.5%, 여자 66.7%)가 콘돔을 사용했으며, 여자가 더 많이 사용한다고 응답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Table 6).

 


 지난 1년간 고정적인 성 상대자와의 콘돔 사용률은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고연령일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더 낮게 나타났다(P<0.01)(Figure 1). 이는 2005년 조사 결과와 유사한 추세를 보였다. 외국의 경우도 연령이 높아질수록 콘돔 사용률은 낮은데 이는 연령이 낮을수록 성과 생식보건에 대한 정보의 접근성이 높으며, 연령이 높은 세대에 비해 성 매개성 질병과 콘돔사용을 포함한 예방적 행위에 대한 지식이 더 많고, 콘돔사용에 대한 거부감이 적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결혼상태에 따라서도 미혼자가 기혼자에 비해 지속적인 콘돔 사용률이 높은데 이 또한 외국의 조사결과와 유사하다[16]. 미혼자의 대부분은 임신을 원치 않으므로 피임의 목적과 성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콘돔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콘돔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대부분 피임이 필요 없거나(31.8%, 269명), 다른 피임법을 사용하거나(23.0%, 195명),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22.1%, 187명)이었고, 남자의 경우 본인이 좋아하지 않아서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8.4%, 36명)가 여자(1.9%, 8명)보다 더 많았다. 콘돔을 구입하는 장소도 2005년 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약국에서 가장 많이 구입(37.3%, 316명)하고 그 외 대형 할인매장(5.1%. 43명), 인터넷 쇼핑몰(4.1%, 35명) 순이었다. 


 

Ⅲ. 맺음말

  에이즈를 포함한 몇 가지 질병에 대한 행태를 3가지 조사방식(웹, 우편, 전화)으로 시행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보정해도 조사방식 간 조사결과의 차이는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9]. 예를 들면, 에이즈 검사 경험률에 대한 응답에서 전화설문조사 방식은 웹 또는 우편 조사보다 경험률이 낮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전화설문조사의 경우 응답자가 설문에 대해 갖고 있는 심리적 불안을 덜어 줄 수 있고, 조사 기간이 방문면접조사나 우편조사 보다 더 짧기 때문에 ‘예’ 또는 ‘아니오’로 응답할 수 있는 짧은 질문의 경우 우편조사나 면접조사보다 용의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전화설문조사 방식의 조사 결과를 축적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태의 추세를 파악하는 동시에 다른 조사방식과의 비교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에이즈 검사수검률, 성 경험률 및 외도 경험률이 지난 조사 결과보다 낮았다는 사실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개인적이고 민감한 조사 문항에 대해서는 전화조사방식의 신뢰성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적이고 민감한 문항의 경우 전화설문조사 보다 비밀보장이 더 확실한 조사방식에서 산출되는 결과와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번 조사결과 결과, 에이즈에 대한 지식 및 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는 향상되는 추세를 보였고, 에이즈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외국에 비해 에이즈에 대한 지식수준은 여전히 낮은 반면 차별의식은 높고 에이즈를 예방하기 위한 활동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에이즈 예방에 필수적인 3가지 요인은 첫째 정보와 교육, 둘째 보건과 사회서비스의 제공, 셋째 지지적 사회 환경의 조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따라서 에이즈에 대한 행태조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우리나라 일반인구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성행태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효과적인 개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UNAIDS. Guidelines for second generation HIV surveillance. 2000.
 2. McGarrigle CA, Fenton KA, Gill ON, et al. Behavioural surveillance: the value of national coordination. Sex Transm Infect 2002;78: 398-405.
 3. 한국에이즈퇴치연맹. 2002년 전국민 성행태 및 에이즈 의식연구.
 4. 한국에이즈퇴치연맹. 2003년 전국민 성행태 및 에이즈 의식연구.
 5. 질병관리본부. 2005년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조사.
 6. 질병관리본부. 2007년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조사.
 7. Herek GM, Capitanio JP, Widaman KF. HIV-related stigma and knowledge in the United States: Prevalence and trends, 1991-1999. Am J Public
     Health 2002; 92(3): 371-7.
 8. National AIDS Trust. Public attitudes towards HIV. 2006.
 9. Lau JTF, Tsui HY. Surveillance of HIV/AIDS-related attitudes and perceptions among the general public in Hong Kong from 1994 to 2000. AIDS
     Edu Prev 2002; 14(5): 419-31.
 10. Ayranci U. AIDS knowledge and attitudes in a Turkish population: an epidemiological study 2005;5:95.
 11. Moatti JP, Manesse L, Le Gales C, Pages JP, Fagnani F. Social perception of AIDS in the general public: a French study. Health Policy
       1998;9:1-8.
 12. Joffe H. Social representations and health psychology. Soc Sci Inform 2002; 41(4): 559-80.
 13. Serlo KL, Aavarinne H.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s HIV/AIDS. J Adv Nurs 1999; 29(2): 463-70.
 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IV testing-United states, 2001. MMWR 2003; 52:540-5.
 15. McGarrigle CA, Mercer CH, Fenton KA, et al.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V testing and risk behaviour in Britain: National survey
       of sexual attitudes and lifestyles 2000. AIDS 2005; 19: 77-84.
 16. Houston S, Archibald CP, Strike C, Sutherland D. Factors associated with HIV testing among Canadians: results of a population-based
       survey. Int J STD AIDS 1998; 9: 341-6.
 17. San Francisco BRFTS. 1998.
 18. 질병관리본부. 2005년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 조사
 19. Link MW, Mokdad AH. Alternative modes for health surveillance survey: an experiment with web, mail, and telephone. Epidemiology 2005;16
       (5):701-4.
 20. 김정순. 에이즈유행의 보건학적 의의와 효과적 예방전략. 보건학논집 1997;34(1):85-93.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