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국내외 일본뇌염 예방접종 및 백신개발 동향
  • 작성일2011-12-09
  • 최종수정일2012-08-24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국내외 일본뇌염 예방접종 및 백신개발 동향
The Global status of vaccine development regarding Japanese encephaliti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예방접종관리과             
권윤형             

  


 
  일본뇌염은 태평양 연안의 아시아와 호주의 일부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에서는 효과적인 일본뇌염 예방접종으로 연간 1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호주와 말레이시아에서는 일부 지역에서만 한정적으로 전파되고 있고, 중국, 태국, 베트남 등에서는 일본뇌염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아직까지 환자발생이 많은 국가들이다[1]. 인도, 네팔, 스리랑카에서는 최근 백신 도입으로 일본뇌염 발생이 감소하기 시작한 반면, 캄보디아, 라오스 등은 일본뇌염 토착지역이다[2]. 또한 부르나이, 필리핀, 파푸아뉴기니 등은 질병발생 보고체계가 없어 정확한 발생 현황을 알 수 없지만 토착지역으로 추정되고 있다[1, 2].
  일본뇌염 관리의 가장 비용효과적인 예방법은 일본뇌염 백신 예방접종이다[3]. 일본뇌염에 대한 예방접종사업을 정기접종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가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일본, 대만, 태국 등이 있다[2]. 북한과 말레이시아에서는 특정 일부지역에서만 접종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 인도, 네팔, 스리랑카, 베트남에서도 지속적으로 예방접종 사업을 확대 중에 있다[1]. 그러나 라오스, 방글라데시, 부탄, 파키스탄, 부르나이 및 파푸아뉴기니 등의 많은 국가에서는 접종프로그램이 없는 상태다[2].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본뇌염 백신으로는 크게 3종류가 있는데, 1) 쥐 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 2) 햄스터 신장세포 유래 약독화 생백신, 3) 베로세포(Vero cell) 배양 불활성화 백신이 그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이들 백신에 대한 생산 및 품질관리에 대한 권장사항을 제공하였으나, 일본뇌염 백신에 대해서는 WHO 권장사항에 준해서 사전인증을 받은 것이 없는 상황이다[4].
  쥐 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은 1954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1934년 일본에서 치명적인 인간 감염사례의 뇌에서 일본뇌염바이러스가 분리되었다.그것이 Nakayama 주이며, 그 이후 1949년 중국에서 모기와 치명적인 인간 감염사례에서 각각 P3와 Beijing-1주를 분리해낸 바 있다[5]. 이들 바이러스주로 쥐 뇌조직을 이용하여 불활성화 백신을 개발하게 되어 아직까지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백신은 고가의 생산비용 및 다회 접종, 이상반응에 대한 우려 등으로 곧 사라질 백신으로 인식되어져 오고 있다. 일본에서는 2005년 쥐 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 사용 중지를 권고하였고, 2009년에 Biken사의 베로세포 배양 불활성화 백신이 허가되어 2010년 4월부터 이 백신으로 기초접종을 시행하고 있다[1]. 또한 Kaketsuken사에서도 2011년 1월에 베로세포 배양 불활성화 백신을 허가받았다[6].
  중국에서 개발된 햄스터 신장세포 유래 약독화 생백신은 중국 외에 우리나라, 네팔, 인도, 스리랑카에서도 허가되어 사용되고 있다[2, 3]. 이 생백신은 안전성 및 면역원성이 사백신에 비해 뒤지지 않으며, 1회 접종만으로도 충분한 방어면역 획득 및 저비용의 장점으로 중국 뿐만 아니라 동남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도 사용이 증가될 것이라는 보고가 있다[3, 4]. 스리랑카의 경우, 현재 쥐 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과 생백신을 예방접종사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예방접종사업 확대를 위해 생백신으로의 전환을 계획 중에 있다고 한다[2]. 그러나 2006년 인도에서의 대규모 생백신 사용 접종 캠페인 후 이상반응 및 사망 보고[7]로 인한 생백신에 대한 불신과 임신부 및 면역저하자에서의 안전성 문제 및 햄스터 신장세포의 오염문제[8] 등이 남아 있다.
  이미 일본에서는 Biken 및 Kaketsuken사에서 베로세포 배양 불활성화 백신을 개발하여 생후 6개월 이상 소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미국, 캐나다 및 유럽, 호주 등에서도 Intercell사에서 개발한 베로세포 배양 불활성화 백신(IC51, IXIARO, JESPECT)이 허가되어 17세 이상 성인대상으로는 접종하고 있다[5, 9]. 소아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진행 중에 있는데, 인도에서 진행되던 임상시험은 완료되었으며, 2011년 필리핀에서 생후 2개월-17세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과 미국 및 비유행지역에서 가교시험이 진행 중에 있다[10]. 이 사백신은 비록 장기간의 백신효능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안전성과 면역원성에 대해서는 입증받은 상태로 쥐 뇌조직 유래 불활성화 백신의 대체 백신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태국, 베트남, 대만에서도 베로세포 배양 불활성화 백신을 개발 중에 있다.     현재 개발 중인 또 하나의 백신은 베로세포 유래 유전자 재조합 생백신(ChimeriVax-JE, JE-CV, IMOJEV)인데, 미국과 호주에서 성인대상의 3상 시험을 마쳤으며, 미국, 호주, 태국, 필리핀, 대만에서는 성인뿐만 아니라 소아대상 임상시험이 진행 중에 있다[1, 5]. 성인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쥐 뇌조직 사백신을 3회 접종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보였고, 소아는 1회 접종 1개월 후에 95%에서 항체 양성을 보였다.
  우리나라는 보건복지부 국책사업으로 Kaketsuken사의 베로세포 배양 불활성화 백신(KD-287)을 가지고 12-23개월 소아 대상으로 3회접종 스케줄의 임상시험을 하고 있고[5], 2012년 4분기에 임상시험이 완료될 계획이다. 그 후 식약청의 허가과정을 거쳐 2014년에 판매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Sanofi-Pasteur사에서는 유전자 재조합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2년 4분기에 임상시험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쥐 뇌조직 유래 사백신의 단점과 이에 대한 WHO 등의 국제적 반대의견 등을 고려하여 우리나라도 향후 일본뇌염 백신 예방접종의 변경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향후 개발 백신에 대한 임상시험 후 백신의 면역원성, 안전성에 대한 결과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국가예방접종사업으로의 도입을 결정하고 동시에 접종일정 및 기존 백신과의 교차접종에 대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WHO. Fourth Biregional meeting on the control of Japanese encephalitis(Report of the meeting). June, 2009.
2.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백신 개발현황 및 정책 현황 분석(인하대학교 홍영진교수). 2010.
3. WHO. Position paper: Japan encephalitis. Weekly Epid. Record. 2006,81:331-340.
4. Beasley DW, Lewthwaite P, Solomon T. Current use and development of vaccines for Japanese encephalitis. Expert Opin. Biol. Ther 2008,8(1):95-106.
5. McArthur MA and Holbrook MR.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J Bioterr Biodef 2011, S1.
6. Pmda. Products Approved in FY 2010: New Drugs. Available at http://www.pmda.go.jp/english/service/ pdf/list/NewdrugsFY2010.pdf.
7. WHO. Global Advisory Committee on Vaccine Safety 29-30 November 2006: Safety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ations in India. Weekly Epid. Record 2007,82;17-24.
8. WHO. WHO Expert Committee on Biological Standardization(fifty-first report). 2002.
9. CDC.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ACIP). MMWR March 12, 2010.
10. CDC. Update on JE vaccine for U.S. Children. 2011. Available at http://www.cdc.gov/ncidod/dybid/jencephalitis/children.htm.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