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폭염관련 감시체계 운영 및 예방수칙
  • 작성일2013-07-19
  • 최종수정일2013-07-19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9
폭염관련 감시체계 운영 및 예방수칙
Surveillance system of heat-related illness and Health tips for prevention of health impacts due to heat-waves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기후변화대응 TF팀
조수남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 간 패널(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은 전 지구의 평균기온이 백년 후에는 현재보다 1.8℃-6.4℃ 더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였고[1],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는 더 심각하여 현재 추세로 온실가스가 배출될 경우에 2050년에는 3.2℃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2]. 기후변화로 인한 문제 중 하나가 극한기상의 발생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것인데 그 중에도 폭염이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인체가 폭염에 노출되면 일정 범위 내에서 기온이 상승할 때에는 땀을 배출하는 등의 체온조절기전이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극심한 폭염에 노출되거나 장기간 노출이 지속되면 체온조절중추의 장애로 열사병(heat stroke)등이 발생하게 되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3]. 한편, 65세 이상 노인이나 5세 이하의 어린이, 고혈압·심장병·당뇨병·정신질환 등 만성질환자, 알코올에 중독된 사람, 저소득층, 독거노인 등 사회적·경제적으로 열악한 사람들은 폭염이 발생할 경우에 건강피해를 많이 받을 수 있는 취약계층으로 알려져 있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감시체계를 가동하고, 건강피해 예방과 관리, 교육 및 홍보를 하는 등 다양한 보건서비스를 시행할 경우 예방이 가능하다. 1995년 미국 시카고에서 극심한 폭염이 발생하였을 때 약 7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는데[4], 폭염피해에 대한 예방정책을 실시한 결과, 1999년 동일 지역에 더욱 심한 폭염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116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여[5] 1995년에 비해 약 1/6로 감소시킨 것으로 보고되어 폭염 건강피해에 대한 예방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부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폭염대비종합대책을 수립하였으나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에 대한 집계가 되지 않아 피해현황을 파악할 수 없었다.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부터 폭염 건강피해 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감시체계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된 약 460개 응급의료기관에서 폭염과 관련된 온열질환인 열사병(heat stroke), 열탈진(heat exhaustion), 열실신(heat syncope), 열경련(heat cramp)의 발생현황을 보고하고 있으며, 우리본부는 온열질환자수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결과를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제공하고 있다. 온열질환자는 2011년(7.1-9.3.) 443명에서 2012년(6.1-9.6.)은 984명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2012년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인구 백만 명당 온열질환자는 전남이 81.0명으로 가장 높았고 제주 39.7명, 충남 39명 순이었다(Figure 1).

  올해는 7월 16일 현재 284명이 보고되어 작년 동기간과 비교할 때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는 일상생활에서 작은 실천으로도 상당부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겨울을 지나면서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의 위험을 잊게 되기 때문에 더욱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기후변화대응 TF팀에서는 2011년 폭염 건강피해 예방 건강수칙 초안을 개발하고 응급의학회의 감수를 거쳤으며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로 공개하고 있다.


<참고문헌>


1.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Impacts, Adaptation & Vulnerability, 2007.
2.기상청.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서. 2011.
3.송경준. 기후변화건강포럼 7차 월례포럼 자료집. 2009, pp 51-60.
4.Whitman S, Glenn G, Edmund RD et al.. Mortality in Chicago Attributed to the July 1995 Heat Wave. Am J Public Health. 1997;87:1515-1518.
5.Michael AP, Stanley AC, Kenneth EK. The Nature and Impacts of the July 1999 Heat Wave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Learning from the Lessons of 1995.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1;82(7):1353-1367.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