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2013년 학교감염병 표본감시 현황 분석
  • 작성일2014-03-14
  • 최종수정일2014-03-14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66
2013년 학교감염병 표본감시 현황 분석
Results of school-based on infectious disease surveillance in Republic of Korea, 2013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감염병감시과
권민정
Ⅰ. 들어가는 말

  학교는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이 하루 중 장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감염병의 발생이 쉽고 전파 또한 빠르다. 학교 내에서 감염병이 발생하게 되면, 학생, 교사, 학부모 등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전파를 막기 위해서 학교 내에 감염병 발생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학교감염병 표본감시체계에서는 학생들에게 흔히 발생하고 있는 7가지 질병을 선정하여 보건교사와 담임교사의 협조를 받는 자발감시체계로 매주 그 발생을 감시하고 있으며, 단기간에 동일증상을 갖거나 연관성을 보이는 환자가 집단으로 발생하면 감염병 유행을 의심한다.
이 글은 2013년도 학교감염병 표본감시체계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감염병의 발생 빈도 및 그 유행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Ⅱ. 몸 말

  2013년도 학교감염병 표본감시는 전국 409개 학교(초등학교 242, 중학교 104, 고등학교 60, 특수학교 3)가 참여하였다. 학교별 지정비율은 초등학교 4.1%, 중학교 3.3%, 고등학교 2.6%, 특수학교 1.9%으로 전체 학교 수 11,570개 대비 3.6%이었다. 감시대상 감염병으로는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에게 주로 발생하기 쉬운 감기/인플루엔자, 수두, 뇌막염, 유행성이하선염, 결막염, 폐렴, 홍역 등 7개 질병의 결석생과 감기증상으로 보건실을 방문한 자가 포함되어 있다.

7가지 질병의 경우, 의사가 해당 질병으로 진단한 결석생의 수를 파악하고 감기증상 보건실 방문자는 학생들이 보건실을 방문하였을 때 보건교사가 감기증상이라고 판단되는 학생 수를 집계한 것이다. 학생들에게 발병하는 대부분의 감염병 주 증세로는 발열 등의 증세를 나타내기 때문에 진단 받은 질병 외에 보건실 감기방문자를 별도로 집계한다. 또한 단순 감기로 방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병·의원 방문 전 1차적으로 보건교사가 학생들의 건강상태를 파악한다.

학교감염병 발생 신고방법은 보건교사가 1주일간 감염병 별 결석자 수와 보건실 감기방문자를 파악하여 매주 월요일마다 질병보건통합관리 시스템, 유선보고, 팩스 전송을 통하여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에 신고 한다. 이러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주간소식지, 1학기 결과보고서 및 연간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그 결과물을 홈페이지, 인쇄물, 메일링 등을 통하여 환류하고 있다(Table 1-3).

전체 학생들에게 가장 흔한 감염병은 감기/인플루엔자로 전체 학생 1,000명당 39.81명이었고, 그 다음으로 수두(4.59명/1,000명), 유행성이하선염(3.69명/1,000명), 결막염(3.69명/1,000명), 뇌막염(0.34명/1,000명), 폐렴(0.33명/1,000명) 순으로 발생하였다. 감기/인플루엔자 및 수두는 초등학교에서, 결막염은 중학교에서, 유행성이하선염은 고등학교에서 비교적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Table 4).

계절적 특징으로는 수두와 유행성이하선염은 봄(4∼6월)과 가을(11월), 결막염은 9월에 발생률이 높았다(Table 5).

지역별로는 감기/인플루엔자는 서울(85.96명/1,000명)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였고, 수두는 울산(14.77명/1,000명)에서 발생률이 높았다. 뇌막염은 부산(1.28명/1,000명), 유행성이하선염은 대전(43.29명 /1,000명)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였으며, 결막염은 울산(9.48명/1,000명)지역에서 폐렴은 광주(0.76명/1,000명)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Table 6).

질환별 역학적 발생 특징을 살펴보면, 감기/인플루엔자의 경우는 발생률이39.81‰이었고, 3월에 비교적 많이 발생하였으며, 주별로는 13주(3/24∼3/30) 발생률이 3.13‰로 가장 높았다. 서울지역의 발생률이 85.9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강원, 대전 순으로 발생하였다. 학년별로는 초등학교 1학년의 발생률이 64.03‰로 가장 높았다(Figure 1). 수두의 경우는 발생률이 4.59‰이었고, 5월에 비교적 많이 발생하였으며, 주별로는 51주(12/15∼12/21) 발생률이 0.39‰로 가장 높았다. 울산지역의 발생률이 14.77‰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인천, 부산·경기 순으로 발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1학년의 발생률이 17.94‰로 가장 높았다(Figure 2).
뇌막염의 경우는 발생률이 0.34‰이었고, 6월에 비교적 많이 발생하였으며, 주별로는 33주(8/11∼8/17) 발생률이 0.08‰로 가장 높았다. 부산지역의 발생률이 1.28‰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강원, 광주 순으로 발생하였다. 학년별로는 초등학교 1학년의 발생률이 0.90‰로 가장 높았다(Figure 3).

유행성이하선염의 경우는 발생률이 3.79‰이었고, 7월에 비교적 많이 발생하였으며, 주별로는 29주(7/14∼7/20) 발생률이 0.40‰로 가장 높았다. 대전지역의 발생률이 43.29‰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부산, 제주 순으로 발생하였다. 학년별로는 고등학교 1학년의 발생률이 14.93‰로 가장 높았다(Figure 4).

결막염의 경우 발생률이 3.69‰이었고, 9월에 비교적 많이 발생하였으며, 주별로는 36주(9/1∼9/7) 발생률이 0.53‰로 가장 높았다. 울산지역의 발생률이 9.48‰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제주, 전남 순으로 발생하였다. 학년별로는 초등학교 2학년의 발생률이 5.88‰로 가장 높았다(Figure 5).
폐렴의 경우는 발생률이 0.33‰이었다. 5월에 비교적 많이 발생하였으며, 주별로는 35주(8/25∼8/31) 발생률이 0.25‰로 가장 높았다. 광주지역의 발생률이 0.7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전북, 부산 순으로 발생하였다. 학년별로는 초등학교 1학년의 발생률이 0.75‰로 가장 높았다(Figure 6).

홍역은 2013년도 학교감염병 감시체계를 통해 보고된 사례는 없었다.
그 동안 학교감염병 감시결과를 살펴보면 대체로 감기/인플루엔자, 수두, 결막염 또는 감기/인플루엔자, 결막염, 수두의 순으로 발생하였으나, 2013년에는 감기/인플루엔자,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결막염, 뇌막염, 폐렴 순으로 발생하여 유행성이하선염의 발생이 높았다. 이는 2013년도 국가 법정감염병 감시에서도 유행성이하선염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한 것이 반영된 결과이다.

Ⅲ. 맺는 말

  우리나라 인구의 25% 가량을 차지하는 학생들의 건강은 좁게는 학교, 넓게는 지역사회와 국가적인 손실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의 건강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학교감염병 관리에서 중점으로 삼을 것은 감염병 발생을 조기에 파악하여 전파를 차단하여 유행을 방지하는 것이다.

2013년도는 참여학교가 2012년에 비해 142%가 증가하여 어느 해 보다 참여율(3.6%)이 좋았다. 이는 학교감염병 감시의 중요도가 증대되면서 학교와 보건교사들의 적극적 관심과 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 볼 수 있다.
학교감염병 감시자료는 학생들에게 발생하는 감염병의 발생추이와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들 건강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학생, 학부모, 교사에게 감염병의 인식도 제고에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학교감염병 감시체계는 학교 현장과 보건당국의 원활한 소통의 채널로 감염병 관리에 적극 대처할 수 있는 발판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 학교는 현장학습과 재량휴일이 많아지면서 학생들의 활동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학생들이 감염병에 걸릴 환경이 더욱더 넓어지고 있어 감염병 예방교육이 중요한 시기이다. 학생들이 더욱 건강한 학교생활이 되도록 개인위생관리, 손씻기, 기침예절을 준수하도록 감염병 예방활동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줄 것을 학교당국에 당부한다.

Ⅳ.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2011. 학교전염병 표본감시 지침.
2. 질병관리본부. 2013. 2010년도∼2013년도 학교감염병 표본감시 결과보고서.
3. 질병관리본부. 2014. 학교감염병표본감시체계 활성화 방안 워크숍 자료집.
4.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웹통계 시스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