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방역관리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
  • 작성일2015-02-05
  • 최종수정일2015-02-0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66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방역관리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ector Control Management System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질병매개곤충과
신이현, 주영란

Abstract


The Division of Medical Entomology, Korea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KNIH), and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have developed a Vector Control System utiliz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This system shows on a personal computer an insecticide spray vehicle route including the exact time, date, and treatment rate at any given location. Also, this system supports mosquito population densities automatically by remote automatic traps, and managing of obligatory disinfection facilities and used insecticides. Currently, the system is built at 17 public health centers. KCDC is planning to build the system in public health centers on a national network to make use of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 by vectors.


말라리아, 일본뇌염 그리고 사충충증 등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중요한 매개질환이다[1]. 이러한 매개체 전파질환을 관리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경우 매개질환별로 관리지침을 발간하여 방제 및 관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2, 3, 4]. 대부분의 지침에 의하면 실제적인 매개체 방제 업무는 각 시·도마다 있는 보건소에서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말라리아와 같은 매개체 전파질환이 발생하고 있는 지역의 보건소 방역담당 직원은 매개체 감시, 방역업무량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벌레에 대한 불쾌감이나 혐오감 등이 높아져 벌레로 인한 단순 불편해소 민원도 증가하고 있어서 앞으로 방역에 대한 업무량은 점차로 증가할 것이다. 매개체는 분포 범위가 넓기 때문에 감시 범위 또한 넓어야 한다. 최근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지리정보, 위성영상 등 다양한 정보기술을 이용한 감염병 감시·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미국의 웨스트나일열의 관리를 위해 매개질환 감시체계인 “Disease maps"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5]. 또한 중요한 매개체인 모기에 대한 방제관리도 지리정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의 Virginia주 Norfolk County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모기방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6].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질병매개곤충과는 보건소의 효율적인 감염병 매개체 방제관리를 위해 2006년부터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매개체 방제 관리 프로그램인 방역지리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대부분의 보건소가 모기와 같은 감염병 매개체에 대한 방역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매개체 방제를 위해 운영되고 있는 방역차량의 실제적인 방역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감독이 어렵고, 방역 담당자의 잦은 교체로 인해 방제 업무수행 시 생산된 다양한 방역정보가 확보 보관되어 있지 못하여 후임자의 자료 활용이 어려워 효율적인 감염병 매개체 방역업무 수행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보건소의 업무현실을 감안하여 개발하였다. 현재 보건소에 구축된 시스템은 질병관리본부 서버에 연결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향후 구축되는 모든 시스템도 이와 같이 운영될 것이다. 방역지리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방역차량 궤적 관리
  본 프로그램은 방역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스마트폰에 앱(App.)을 다운받은 후 앱 화면의 시작버튼을 누르고 방역차량에 탑승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종료시점에 종료 버튼을 누른 다음 보건소 담당자에 전송하면 방역차량의 모든 작업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방역차량의 이동경로, 속도, 시간 등이 관할 지역의 고해상도 지도에 표현되도록 되어있고 작업자의 정보 및 살포한 살충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경우 모든 자료가 DB형태로 저장된다(Figure 2).

실시간 감염병 매개체 감시 및 통계자료 제공
  매개체 감시는 주로 매개체로 인한 감염병이 많이 발생하는 곳, 모기 민원발생이 많은 곳, 그리고 오염으로 매개체의 발생이 우려되는 취약지역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모기의 발생감시를 위해 최근 개발된 자동 모기 원격 계측기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경우 모기를 직접 채집하여 개체수를 확인해야 하는 과정 없이 계측기에서 측정된 모기의 채집수가 실시간으로 무선 송출되어 모기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전과 같이 유문등을 이용하여 채집한 모기의 개체수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으로도 모기 발생을 표현할 수 있다(Figure 3). 이와 같이 획득된 모든 결과는 DB형태로 저장되며 그 결과를 토대로 모기발생 밀도를 선, 막대 및 파이형태 등의 그래프로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감시 자료는 해당 지역의 방제 실시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로 활용된다.


소독 의무시설 및 방역약품 관리
  이 프로그램은 각 보건소의 관할구역 내에 있는 소독의무 시설의 위치, 감염병 매개체 발생 취약 지역의 위치와 그에 따른 관리 이력을 지원하고, 해마다 각 보건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역용 살충제의 종류와 양을 입력하여 살충제 사용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이다(Figure 4).
이렇게 생산되어 저장된 정보를 근거로 소독 의무시설을 관리할 수 있고, 방역 담당자가 수시로 바뀌어도 소독 의무시설의 위치나 관리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검색으로 살충제의 사용기간 및 종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을 통해 살충제 종류의 변경 시기를 확인하고 제시할 수 있어 방제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살충제 저항성 발달을 줄일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질병관리본부는 전국 보건소에서 생산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전국적인 살충제 사용량과 종류를 파악하여 방역 정책에 반영할 수 있으며, 분석된 자료를 보건소와 공유하여 상호 협력적인 감염병 매개체 방제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시스템은 방역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위치정보와 함께 기록 할 수 있어 방역업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민원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를 계속해서 표시해 두게 되면 민원 발생빈도에 적절한 방제계획 및 전략을 세울 수 있으므로 민원해소에 도움이 되며, 특정 감염병의 발생지역을 표시해 두면 감염병의 발생현항을 파악할 수 있어 감염병을 대응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방역지리정보시스템은 보건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감염병 매개체의 방제, 감시 및 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리정보와 전산정보 기술을 접목시켜 개발한 방역시스템이다. 이렇게 개발된 시스템은 현재 전국 255개 보건소 중 17개 보건소에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다.
향후 본 시스템을 전국 보건소에 구축 운영함으로써 각 보건소의 감염병 매개체 방제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질병관리본부에서 방제현황을 종합적으로 관제하고 상호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인 국가 감염병 매개체 방제 관리에 활용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1. 이한일. 2012. [의용절지동물학] 위생곤충학. 고문사. p.475.
2. 질병관리본부. 2013. 2013 말라리아관리지침.
3. 질병관리본부. 2014 주요 감염병 매개모기 방제관리지침.
4. 질병관리본부. 2014. 2014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 감염병 관리지침.
5.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ttp://diseasemaps.usgs.gov/index.html.
6. CDC. Disease Map 2014. http://www.norfolkcountymosquito.org/GIS.html.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