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국가예방접종 정책 국민 인식 및 만족도 경향
  • 작성일2015-07-09
  • 최종수정일2015-07-09
  • 담당부서예방접종관리과
  • 연락처043-719-7166
국가예방접종 정책 국민 인식 및 만족도 경향
The Trend in the Public's Awareness and Policy Satisfaction on Immunization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예방접종관리과
고재영, 최유석, 홍정익

Abstract


The government has conducted various psychosocial studies to encourage immunization participants in order to ultimately increase the country’s immunization rate. The studies on consumers’ cognition and satisfaction analysis were used as base references for policy making and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development.
In this paper,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presented the results from representative immunization researches that have been implemented until this point in time. Based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out that the people’s perception about immunization as being difficult has been alleviated. Concurrently, there has been increased policy satisfaction regarding immunization. Furthermore, it was determined that threat awareness on contagious diseases increases as time goes by.
The KCDC will implement various studies involving policy recipients so that their concerns will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policy planning and implementation.



Ⅰ. 들어가는 말


  현대의학의 기적이라고도 불리는 ‘예방접종’은 감염병의 위협으로부터 인류를 구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과거 인류의 평균 수명을 낮추던 최악의 감염병 두창(천연두)은 예방접종을 통해 1980년 전 세계에서 완전히 박멸되었고, 어린이에게 발생해 무서운 마비장애를 일으키던 폴리오(소아마비)도 우리나라에서 이미 30년 전 근절되었다. 또 2000년대 초반까지 전국적으로 수만 명의 감염환자를 냈던 홍역도 2006년 퇴치선언을 했고, 2014년도에는 세계보건기구가 인정한 홍역퇴치국가에 한국의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는 1950년 ‘전염병예방법’ 제정 이후 예방접종 정책을 공공보건 향상의 핵심전략으로 삼은 성과라 하겠다. 이렇듯 공동체 전체의 면역력 향상이 질병퇴치로 가는 첫 걸음임은 분명하지만, 높은 의료비용과 여러 접종 횟수, 그리고 주사를 통해 인공 면역을 만드는 것에 대한 거부감 등 예방접종 정책추진에는 현실적인 어려움도 많이 있다.

2000년 이후 정부는 예방접종 시행 확대와 함께 접종불편을 덜어주는 지원 정책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실제로 국민인식조사 결과에서 영유아 예방접종률 향상에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접종비 부담과 부모의 관심 부족 등이 꼽혀, 정부는 예산지원과 접종 편의향상, 감염병에 대한 경각심 환기 등을 주요과제로 삼아 정책을 추진해 가고 있다. 특히 2014년도에는 병의원을 이용할 때도 완전한 접종비 지원을 목표로 한 정책이 시행돼 ‘어린이 무료 예방접종’ 시대가 열리기도 했다.

예방접종은 몸이 아픈 상태에서 치료받는 수동적 조치가 아니라, 건강한 상태에서 질병의 발병 이전에 행해지는 선제적 의료행위로 대상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예방접종이 개인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면역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국가 전체적의 높은 비용-편익적인 행위라 할지라도 개개인에게 강제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특히 예방접종이 필요한 대상자는 주로 영유아기의 어린이이며, 이 시기는 건강한 성장이 가장 중요한 관심사인 때로 예방접종을 포함한 보건정책 전반에 대해 보호자들과 충분한 의사소통을 통한 정보제공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간 정부는 예방접종률을 높이고 국민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사회심리학적 조사 분석을 실시해 정책 개발과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참고자료로 활용해 왔다. 이 글에서는 그동안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예방접종 관련 국민 인식도 및 정책 만족도 조사를 소개하고, 아울러 가장 최근에 실시한 전국 규모 인식조사(2014년)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병 예방과 퇴치를 위해 지속가능한 접종률 제고 방안과 시사점을 고민해보고자 한다.


Ⅱ. 몸 말


예방접종 국민인식 및 만족도 조사 경과
  질병관리본부는 예방접종 대상자의 인식, 여론을 분석해 향후 정책수립 등에 참고하고자 ‘국민 인식·만족도’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오고 있다. 2006년 최초로 시작한 예방접종 국민 인식조사는 4년을 주기로 진행하고 있고, 시행 정책에 대한 국민 만족도 조사는 정부지원이 늘어난 2013년 이후 매년 실시하고 있다.

본 조사는 예방접종 대상자(12세 이하 자녀를 둔 보호자)들이 평소 갖고 있는 특성을 지식-태도-행동(Knowledge-Attitude-Behavior) 기반의 평가틀로 분석해 행동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찾아보고, 앞으로의 사업 추진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건강행동을 설명하는 데 가장 대표적 평가모델인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이 활용되었다. 조사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해 인터넷, 면접, 전화 조사 등을 활용하였고, 표본구성은 인구통계 기준 비례 할당에 의한 층화표집법을 사용했다. 이 장에서는 그간 실시됐던 인식, 만족도 조사 개요와 우리나라 국민(자녀 보호자)들이 갖고 있는 감염병과 예방접종에 대한 건강신념, 정부 정책에 대한 만족도 등 대표적인 조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예방접종 인식 및 만족도 조사 개요
(1) 국민인식 조사
① 예방접종 안전성 및 정보교환에 관한 국민의식 조사(2006)[1]
- 조사대상: 전국 6개월-12세 이하 어린이 보호자 999명 (인터넷 설문조사)
- 조사기간: 2006년 8월 10일-20일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3.1%p (조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조사내용: 예방접종 실태 및 관련 지식 파악,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HBM) 변인 분석, 지각된 걱정·장애요인 분석, 예방접종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예방접종 관련 정보 습득 채널 및 공신력 파악 등
- 주요결과: 예방접종 지식 평균(M=4.9, 10점 만점), 건강신념 평균(‘지각된 개연성(M=3.84)',‘지각된 심각성(M=3.81),‘지각된 장애(M=3.27)',‘지각된 혜택(M=3.93)', ‘자기효능감(M=3.37)'), 예방접종 주요정보 습득 채널(‘아기수첩(3.91)'>‘병원 의사/간호사(M=3.28)'>‘가족/친구(M=3.28)'>‘팜플렛/포스터(M=3.21)'순으로 높게 나타남), 정보습득 채널 공신력(‘아기 수첩(M=3.93)', ‘병원 의사/간호사(M=3.76)', ‘보건소 의사/간호사(M=3.67)' 순)

② 예방접종 안전성 이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2010)[2]
- 조사대상: 전국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호자 1,004명(인터넷 설문조사)
- 조사기간: 2010년 8월 4-19일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 (조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조사내용: 예방접종 실태 및 관련 지식 파악,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HBM) 변인 분석, 지각된 걱정·장애요인 분석, 예방접종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예방접종 인식에 대한 신종인플루엔자A(H1N1)의 영향분석, 예방접종 반대의견에 대한 견해, 예방접종 관련 정보원에 대한 인식, 향후 예방접종 정책제안 등
- 주요결과: 예방접종 지식 평균(M=6.25, 10점 만점), 건강신념 평균(‘지각된 개연성(M=3.86)', ‘지각된 심각성(M=3.83)’,‘지각된 장애(M=3.34)',‘지각된 혜택(M=4.05)', ‘자기효능감(M=3.83)'), 신종인플루엔자A(H1N1) 이후 예방접종 인식 변화(‘정보탐색 노력 증가(M=3.65)', ‘예방접종 지식증가(M=3.53)', ‘정보노출증가(M=3.5)', ‘접종안전성 신뢰증가(M=3.24)’, ‘예방접종 행동증가(M=3.17)' 순), 정보원 인식(‘아기수첩>병원, 보건소 의료진>가족/친구' 순), 예방접종 정책제안 순위(‘선택접종 비용지원>비용지원 의료기관 확대>비용지원 사업 홍보>비용지원대상 확대>예방접종 일정관리 서비스 제공>비용지원 수준의 상향' 순)

③ 2014 국가예방접종 지원정책 만족도 및 보호자 인식조사[3]
- 조사대상: 전국 만 0-12세 이하 어린이 보호자 1,017명 (방문면접조사)
- 조사기간: 2014년 6월 17일-7월 4일
- 조사내용: 2014년 병의원 무료예방접종 정책 만족도 및 예방접종 인식 등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0%p (조사수행기관: ㈜리얼미터)
- 조사내용: 예방접종 실태 및 관련 지식 파악, 예방접종 관련 건강신념(HBM) 변인 분석, 예방접종 행동의도, 예방접종 관련 정보원에 대한 인식, 예방접종 지원정책에 대한 만족도 및 만족 이유, 성인예방접종 실태 및 행동의도, 향후 예방접종 정책제안 등
- 주요결과: 예방접종 지식 평균(M=5.92, 10점 만점), 예방접종 행동의도(‘아무리 바쁘더라도 제때에 예방접종 받을 수 있도록 할 것이다(96.2%)', ‘모든 예방접종을 받도록 할 것이다(85.8%)', ‘아이가 싫어하더라도 예방접종을 모두 받도록 할 것이다(92.4%)'), 예방접종 정보습득 경로(‘병원/보건소 의료진>아기수첩>가족/친구>예방접종 알림 문자>TV,라디오>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 순), 예방접종 지원정책 만족도 및 만족 이유(‘전반적 만족도(85.3%)', ‘양육비 부담감소(75.9%)', ‘접종 편의향상(77.1%)', ‘더 많은 접종 가능(76.8%)', ‘정부 신뢰 향상(80.2%)'), 향후 예방접종 정책 제안(‘선택접종 무료지원 확대>백신 및 접종과정 안전성 확보>예방접종 통합관리>접종 후 피해에 대한 보상>의료기관 교육을 통한 상세정보 제공’ 순)


(2) 국가지원정책 만족도 조사
① 2013 필수예방접종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4]
- 조사대상: 전국 만 0세(2012년 출생아) 어린이 보호자 1,700명(전화설문조사)
- 조사기간: 2013년 1월 17-24일
-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2.4%p (조사수행기관: ㈜한국리서치)
- 조사내용: 예방접종 지원정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및 만족 이유, 예방접종 사전안내 및 정보제공에 대한 보호자 의견 청취
- 주요결과: 예방접종 지원정책 만족도 및 만족이유(‘전반적 만족도(56.9%)', ‘접종기관 접근성 향상(74.7%)', ‘접종시간 편의 향상(70.5%)', '양육비 부담 감소(42.7%)', ‘의료기관 서비스 질 향상(33.9%) 등), 예방접종 사전안내 및 정보제공에 대한 의견(‘도움이 될 것 같다(97.4%)’), 정보제공 선호 수단(‘휴대폰(68.7%)>우편(25.4%)>이메일(5.9%)' 순)

② 2015 예방접종 홍보캠페인 평가 및 지원정책 만족도 조사[5]
- 조사대상: 예방접종 주간 행사 참여한 어린이 보호자 519명
- 조사기간: 2015년 4월 22일(조사수행기관: ㈜엔자임헬스)
- 조사내용: 예방접종 홍보캠페인 효과평가, 예방접종 인식, 예방접종 지원정책에 대한 만족도, 기타예방접종 지원 시 접종 의향, 어린이 대상 예방접종 호감도 등
- 주요결과: 캠페인 효과평가(효과적이다 M=4.3, 5점 만점), 예방접종 인식(‘과거 예방접종 기록 확인 의향(92.6%)', ‘빠진 접종 맞힐 의향(94.5%)’), 지원정책 만족도(‘전반적 만족도(90.2%)', ‘양육비 부담 감소(87.5%)', ‘접종 편의 향상(88.7%)', ‘더 많은 접종 가능(90.6%)', ‘정부 신뢰 향상(83.5%)'), 예방주사가 무섭지 않고 응답한 어린이 비율(86.6%)


2) 최근 국가예방접종 국민 인식 및 만족도 조사 주요결과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은 사람들이 개인의 건강을 위해 공중보건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권고되는 예방행동을 따르는 이유를 설명·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분석모델이다[6]. 이 모델은 환자역할행동, 질병예방행동, 건강증진행동 등 건강행동 영역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예방 행동에 초점을 둔 이론인 만큼 대표적인 예방 행동인 ‘예방접종 의도’를 예측하는 분석틀로도 국내외에서 널리 활용되어 왔다[7].

그간의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인식조사에서도 응답자의 건강신념과 행동의도를 검증하고자 HBM 변인을 활용하였다. 주요 측정 척도로는 특정 질병에 대해 얼마나 노출돼 있는지에 대한 자기평가인 ‘지각된 개연성', 질병의 위협에 대한 부정적 전망인 ‘지각된 심각성' 및 건강행동 실천으로 인해 발생하는 긍정적 결과(‘지각된 혜택’)와 이를 가로막는 장애요인(‘지각된 장애’), 그리고 스스로의 사고과정, 행동방식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인 ‘자기효능감' 변인을 측정해 우리 국민들의 예방접종 행동의도를 예측해 보았다. 이 글에서는 『2014 국가예방접종 지원정책 만족도 및 보호자 인식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예방접종 대상자(보호자)들이 최근에 갖고 있는 건강신념(HBM)과 그간의 경향성을 살펴보고자 하며, 아울러 예방접종 지원정책에 대해 국민들이 응답한 만족도 결과도 제시하고자 한다.

(1) 예방접종 건강신념 변인 조사 결과
Table 1은 2014년 조사의 주요 결과로, 먼저 ‘지각된 개연성' 질문에서 예방접종을 하지 않을 경우 ‘자녀가 감염병에 걸릴 수 있다'고 여기는 응답은 89.2%(그렇다 72.7%, 매우 그렇다 16.5%), ‘감염병에 더 노출되기 쉬울 것'이라는 응답도 87.5%(그렇다 51.5%, 매우 그렇다 36%)로 나타나 대다수의 응답자가 예방접종 대상 질병의 노출과 감염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지각된 심각성' 문항의 경우,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을 때 감염될 수 있는 감염병을 ‘매우 심각한 질병'이라고 여기는 응답자가 80.4%(그렇다 53.8%, 매우 그렇다 26.6%), 그러한 병으로 인해 ‘자녀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74.7%(그렇다 54.1%, 매우 그렇다 20.6%)로 나타나 감염병의 심각성을 크게 생각하는 사람의 비중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방접종의 ‘지각된 장애' 요인을 알아보는 문항에서 응답자 68.3%(그렇다 46.9%, 매우 그렇다 21.4%)가 예방접종 ‘비용이 비싸다'고 응답해 정부지원이 확대되었지만, 지원이 없는 일부 접종에 대해 여전히 비용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과거에는 대표적인 예방접종 장애요인이었던 ‘바빠서 아이의 예방접종 시기를 종종 놓치게 된다'라는 문항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49.1%(그렇지 않다 27.1%, 매우 그렇지 않다 22%)로 나타나 ‘바빠서 시기를 종종 놓친다(32.0%)'는 응답보다 오히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료기관 접근성 향상과 접종일 문자알림 등 편의서비스 원이 효과를 나타냈다고 예상해 볼 수 있다.

한편, 예방접종에 대한 ‘지각된 혜택’ 항목을 묻는 문항의 경우 예방접종이 ‘아이의 질병예방에 효과적’이라 생각하는 응답자는 89.2%(그렇다 61.4%, 매우 그렇다 27.8%), 예방접종이 ‘자녀의 건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기는 응답자도 90.2%(그렇다 56.1%, 매우 그렇다 34.1%)로 나타나 대부분의 보호자들이 예방접종이 건강증진에 도움을 준다는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 변인에 대한 조사결과, 자녀에게 예방접종을 ‘제때 맞힐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가 88.8%(그렇다 55%, 매우 그렇다 33.8%), 예방접종을 맞히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라고 답한 응답자가 77.6%(그렇다 50.5%, 매우 그렇다 27.1%)로 대체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접종에 대한 건강신념 조사에서 응답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던 문항은 ‘지각된 혜택’(M=4.20, SD=.64)이었고, 그 다음으로 지각된 개연성(M=4.13, SD=.64), 자기효능감(M=4.10, SD=.75), 지각된 심각성(M=3.96, SD=.79)순이었으며, 지각된 장애(M=3.21, SD=1.13)의 평균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1).

(2) 연도별 예방접종 건강신념 비교
Figure 1은 다음 2006년, 2010년, 2014년에 각각 실시했던 예방접종 국민인식 조사의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세 번의 인식조사방법론이 일부 달라 통계적으로 엄격한 비교는 어렵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또 정부지원이 확대되면서 변화되어가는 인식변화 추이를 알아보는 차원에서 단순 비교를 해보았다.

감염병에 대한 ‘지각된 개연성’은 2006년의 경우 평균점수가 3.84점이었던데 비해 2014년 조사에서는 4.13점으로 다소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해외유입 감염병 증가 등 국내외 감염병 위기가 고조되고, 환자 발생이 늘어난 것은 감염병에 대한 민감성을 높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각된 심각성’ 역시 2006년 3.81점에서 지난해 3.96점으로 소폭 높아졌다. 한편, 예방접종 행동에 대한 ‘장애인식’은 2014년 3.21점으로 세 번의 조사 중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2014년 1월부터 시행된 병의원 무료예방접종에 따른 비용부담 경감과 방문 편의성이 높아진 것 등을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예방접종의 긍정적 ‘혜택’에 대한 응답자들의 신념은 매번 높아져 2006년 3.93점에서 지난해 4.2점으로 높게 나타나 예방접종 확대와 그 효과에 대해 국민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고, 보호자 스스로 예방접종 행동을 통제하고 실천할 수 있는지 여부를 측정한 ‘자기효능감’ 항목 역시 2006년 3.37점에서 지난해 4.1점으로 꾸준히 높아져 향후에도 예방접종에 대한 국민들의 실천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 예측을 갖게 해주었다(Figure 1).

(3) 예방접종 정책 만족도 조사 결과
정부는 예방접종 관련 인지·행동예측 조사를 실시해 오면서, 당해 연도에 시행되고 있는 정책의 만족도 여부도 함께 측정하고 있다. 2013년 예방접종 지원정책이 ‘국정과제’로 지정된 이후 매해 지원 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와 구체적으로 만족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Figure 2는 최초로 전국 병의원에서 무료접종이 시행된 2014년도의 정책 만족도 결과이다.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정책’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보호자의 85.3%가 만족하고 있다고 응답했다(평균 4.19점, 5점 만점). 구체적인 만족의 이유로는, ‘가까운 병의원 이용으로 접종이 편해졌다’는 응답이 전체 보호자의 77.1%, ‘비용 부담이 줄어 아이에게 더 많은 예방접종을 맞히게 되었다’는 응답은 76.8%, ‘접종비 지원으로 양육비 부담이 일부 줄어들었다’는 응답도 75.9%로 나타나 대부분의 보호자들이 어린이 무료예방접종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대체로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어린이 무료접종이라는 국정과제(공약)의 실천으로 ‘어린이 건강 및 임신출산 지원정책에 대한 정부신뢰’를 높이는 데에도 일부 기여(‘정부신뢰도가 높아졌다’ 80.2%)한 것으로 조사되었다(Figure 2).

Figure 3은 2013년 이후 매년 실시한 국가예방접종 지원에 대한 국민 만족도 조사 추이다. 1회 접종 당 본인부담금이 5천원이었던 2013년도의 예방접종 정책의 만족도는 긍정적 평가가 56.9%였던 것에 비해 전국 병의원 무료예방접종 시행(2014)과 지원 백신이 점차 확대(2015)되면서 정책만족도 역시 85.3%, 90.2%로 동반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Figure 3). 실제로 비용 부담과 방문 불편이라는 가장 큰 장애요인이 사라짐에 따라 예방접종의 정책은 국민 체감도가 높은 대표적 보건복지 정책으로 손꼽히고 있다. 또 한편으로 예방접종 지원 확대는 우리나라 전체의 집단면역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공보건 강화'의 토대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4) 예방접종 완전접종률 연도별 추이
정부의 다양한 예방접종 활성화 프로그램과 무료접종이라는 뒷받침은 결국 접종 대상자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함이다. 과거 예방접종률 조사에 따르면 자녀가 자라남에 따라 예방접종에 대한 관심도 점차 낮아져 첫돌 이전 90%를 웃돌던 완전접종률이 만3세 이상 학령기 때는 80% 이하로 낮아져 완전접종률 유지는 보건당국의 커다란 숙제 중 하나였다. 실제로 만3세 이상 아동은 보육시설에서 단체생활을 처음 시작해 감염병 노출 위험이 높은 시기인데 반해, 기초접종으로 형성된 면역은 점차 감소해 예방접종의 강조가 중요한 시기이다.
다행히도 최근 질병관리본부의 접종률 조사 자료에 따르면[9], 우리나라 어린이의 완전접종률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기준으로 만 1세 때의 완전접종률은 94.7%로 양호한 수준이었고, 3세 때는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한 88.4%인 것으로 나타났다. 꾸준한 정부지원의 확대와 정책대상자에 대한 여론조사, 정책홍보 등의 노력이 주효했음을 알 수 있고, 이런 노력이 지속된다면 향후에도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완전접종률 향상을 기대하게 해주는 결과라 하겠다(Figure 4).


Ⅲ. 맺는 말


  예방접종은 감염병으로부터 어린이와 노약자 개개인의 건강을 지킬뿐 아니라, 함께 살고 있는 가족과 더 나아가 공동체 전체의 안전을 보장해주는 수단이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법과 제도로 예방접종을 강제할 수는 없다. 결국 보건당국의 노력은 예방접종이 감염병 차단에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국민들에게 인식시키고, 예방접종에 걸림돌을 없애는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정부는 예방접종 강화를 위해 지난 수년간 다양한 지원을 지속했고, 이런 노력의 결과 주요지표에서 본 것처럼 과거와는 다른 예방접종 정책 전반의 변화를 불러왔다.

2006, 2010, 2014년의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감염병에 대한 개연성, 심각성 인식은 과거보다 높아졌고, 예방접종의 긍정적 혜택에 대한 평가와 자기효능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 과거 접종률을 낮추던 예방접종의 장애요인에 대한 부담은 줄어드는 추세임을 볼 수 있다. 또 정부지원이 확대되고, 정책홍보도 강화되면서 국민들의 정책만족도 역시 동반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지표들이 ‘어린이 완전접종률’ 상승으로까지 이어진 것은 대단히 고무적인 정책성과라 하겠다.

하지만 해외 일부 국가에서는 부작용 우려로 낮아진 접종률로 퇴치됐던 감염병들이 재유행 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도 크고 작은 감염병이 실시간으로 넘나들어 우리의 예방접종 환경을 낙관할 수만은 없다. 지난해 국민 인식조사에서 국가예방접종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질문이 있었다. 이때 보호자들은 아직까지 정부지원이 없는 선택접종에 대한 지원확대와 접종과정의 안전성 확보를 가장 중요한 핵심과제로 꼽았다. 그리고 예방접종 정보의 통합관리와 접종 후에 발생한 피해보상에도 정부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 응답이 바로 국민보건 증진과 지속적인 접종률 향상을 위해 정부가 노력하고, 더 투자해야 할 지점임을 잘 설명해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정책 대상자의 의견을 청취하고, 이를 반영해 가는 국가예방접종 정책의 좋은 전통이 앞으로도 이어지기를 바란다.


Ⅳ. 참고문헌


1. 질병관리본부. 2006. 예방접종 안전성 및 정보교환에 관한 국민의식 조사.
2. 질병관리본부. 2010. 예방접종 안전성 이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3. 질병관리본부. 2013. 2013 필수예방접종 지원사업 만족도 조사.
4. 질병관리본부. 2014. 2014 국가예방접종 지원정책 만족도 및 보호자 인식조사.
5. 질병관리본부. 2015. 2015 예방접종 홍보캠페인 평가 및 지원정책 만족도 조사.
6. Janz, N. K., & Becker,M. H. 1984.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Health Education Quarterly, 11(1), 1–47.
7. 이병관, 오현정, 신경아, 고재영. 2008. 행위단서로서의 미디어 캠페인이 인플루엔자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 10-4호.
8. 질병관리본부. 2015. 국민공감정책 '국가예방접종' 광고모델을 찾습니다. 3월31일자 보도참고자료
9. 질병관리본부. 2015. 질병 예방 ‘청신호’, 국가예방접종 무료시행 확대, 완전접종률 상승. 4월21일자 보도자료.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