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민원·정보공개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국립보건연구원 에이즈 치료제 개발 기여 기대 : 새로운 HIV 증식 조절인자 발견
  • 작성일2014-10-15
  • 최종수정일2019-01-27
  • 담당부서감염병관리과
  • 연락처043-719-7127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HIV 바이러스 증식을 조절하는 유전인자를 발견함으로서 새로운 에이즈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발표 하였다.

□ 윤철희 박사와 공동연구진은 Tat 단백질과 직접 결합하여 HIV 바이러스 증식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세포내 단백질 NUCKS1을 발견하고, 이에 의한 Tat 기능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 Tat 단백질: HIV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전사 활성화 단백질

□ 세포내 NUCKS1은 HIV 바이러스 LTR 프로모터 부위에 Tat 단백질을 축적시킴으로서 전사 활성 및 바이러스 복제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프로모터: 전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사인자가 결합하는 부위

□ 특히, HIV 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는 세포에서 NUCKS1 발현이 현저히 감소된 현상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바이러스 증식 억제를 통하여 세포내에서 오래도록 잠복하기 위한 전략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윤철희 박사는 본 연구결과는 “에이즈 바이러스의 전사과정을 이해하고 에이즈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표적물질의 작용 기전을 밝혀낸 것”으로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역전사 효소 억제제나 단백분해효소 억제제와는 전혀 다른 개념의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NUCKS1에 의한 HIV전사조절 작용기전 모식도]

□ 본 연구결과는 바이러스학분야 권위 있는 학술지 Retrovirology 최신호 온라인 판에 게재되었다.

붙임 1. 2014년 Retrovirology 저널 게재 원문

공개시기:10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