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3월 26일,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0-03-26
  • 최종수정일2021-04-15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팀
  • 연락처043-719-906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3월 26일,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는 3월 26일 0시 현재, 총 누적 확진자수는 9,241명(해외유입 284명*(외국인 31명))이며, 이 중 4,144명이 격리해제 되었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104명이고, 격리해제는 414명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격리 중 환자는 감소하였다.


    * 조사가 완료되어 해외유입으로 확인된 사례


< 국내 신고 및 검사 현황 (3.26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


구분

총계

결과 양성

검사 중

결과 음성

확진자

격리해제

격리 중

사망

3. 25.()

0시 기준

357,896

9,137

3,730

5,281

126

14,278

334,481

3. 26.()

0시 기준

364,942

9,241

4,144

4,966

131

14,369

341,332

변동

7,046

104

414

-315

5

91

6,851


   ○ 지역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지역별 확진자 현황 (3.26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


구분

합계

서울

부산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남

검역

격리중

4,966

280

35

3,349

32

8

24

17

36

275

12

25

56

3

5

643

33

2

131

격리해제

4,144

80

75

3,039

11

11

6

20

8

122

18

14

68

7

3

601

57

4

0

사망

131

0

2

94

0

0

0

0

0

4

1

0

0

0

0

30

0

0

0

합계*

 

(전일대비)

9,241

360

112

6,482

43

19

30

37

44

401

31

39

124

10

8

1,274

90

6

131

(104)

(13)

-

(26)

(1)

-

(6)

-

-

(14)

-

(1)

(1)

-

-

(12)

-

-

(30)

3250시부터 3260시 사이에 질병관리본부로 신고, 기초조사서 접수, 1차 분류 등이 된 사례 기준임

초기 신고 이후 소관지역이 변경된 경우에는 이전 발표된 통계수치와 상이할 수 있음


□ 전국적으로 약 82.2%는 집단발생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기타 조사·분류중인 사례는 약 14.7%이다.


지역

확진환자

주요 집단 발생 사례

누계

해외 유입

집단 발생 관련

기타*

신규

소계

신천지 관련

집단

발병

확진자 접촉자

해외 유입 관련

서울

360

68

266

7

197

37

25

26

13

구로구 콜센터 관련(96), 동대문구 동안교회-PC방 관련(20)

부산

112

2

76

11

49

16

0

34

0

온천교회 관련(32), 수영구 유치원 관련(5)

대구

6,482

2

5,463

4,391

347

725

0

1,017

26

한사랑요양병원 관련(101), 대실요양병원(78), 김신요양병원 관련(32), 대구파티마병원 관련(19)

인천

43

7

34

2

27

3

2

2

1

구로구 콜센터 관련(20)

광주

19

4

14

9

0

2

3

1

0

 

대전

30

1

18

2

10

6

0

11

6

산림기술연구원 관련(3)

울산

37

6

24

16

1

4

3

7

0

 

세종

44

0

42

1

38

3

0

2

0

해양수산부 관련(29), 운동시설 관련(8)

경기

401

47

309

29

210

57

13

45

14

성남 은혜의강 교회 관련(68), 구로구 콜센터-부천 생명수교회 관련(44)

강원

31

2

22

17

5

0

0

7

0

원주시 아파트 관련(3)

충북

39

0

26

6

11

9

0

13

1

괴산군 장연면 관련(11)

충남

124

5

112

0

112

0

0

7

1

천안시 등 운동시설 관련(103), 서산시 연구소 관련(8)

전북

10

3

1

1

0

0

0

6

0

 

전남

8

1

4

1

0

2

1

3

0

 

경북

1,274

1

1,115

554

388

172

1

158

12

청도 대남병원 관련(120), 봉화 푸른요양원(68), 성지순례 관련(49), 경산 서요양병원 관련(36)

경남

90

2

72

32

35

5

0

16

0

거창교회 관련(10), 거창군 웅양면 관련(8)

제주

6

2

0

0

0

0

0

4

0

 

검역

131

131

0

0

0

0

0

0

30

 

합계

9,241

284

7,598

5,079

1,430

1,041

48

1,359

104

 

(3.1%)

(82.2%)

(55.0%)

(15.5%)

(11.3%)

(0.5%)

(14.7%)

신고사항 및 질병관리본부 관리시스템에서 관리번호가 부여된 자료를 기준으로 함. 이에 따라, 특정 시점에 시도단위에서 자체 집계한 수치와는 상이할 수 있고, 이후 역학조사 진행 등에 따라 변경 가능

* 기타는 개별사례, 조사 후 연관성 분류가 진행 중인 사례, 조사 중인 사례 등을 포함


 ○ 서울시 구로구 소재 콜센터 관련, 전일 대비 2명이 자가격리 중 추가로 확진되어(접촉자 2명) 3월 8일부터 현재까지 160명*의 확진자가 확인되었다.


    * 동일 건물 직원 97명(11층 94명, 10층 2명, 9층 1명), 접촉자 63명


 ○ 경기에서는 시흥시 소재 어린이집에서 교사 1명이 확진되어 접촉자 48명*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하였고, 모두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 원아 33명, 교사 14명, 학부모 1명


 ○ 대구에서는 사회복지시설, 요양병원에 대한 전수조사가 완료되었으며, 3만 3,256명 중 224명(0.7%)이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 또한 정신병원 종사자 1,007명에 대한 전수조사가 완료되었으며, 검사 결과가 확인된 847명 중 1명(0.1%)이 양성으로 확인되어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역학조사가 진행 중이다.


  - 대구 동구 소재 의료기관(대구파티마병원)에서 3월 17일부터 현재까지 1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였다. 확진자들은 대부분 71병동과 72병동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어, 해당 병동에 대해서는 동일집단 격리(코호트 격리) 중이다.


    * 19명 중 환자 10명, 직원 5명, 보호자 4명


□ 최근 해외유입 환자 비율이 높아지고 있어, 효과적인 해외유입 차단을 위해 입국 단계에서의 검역과 지역사회에서 자가격리를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 3.26. 0시 기준 신규확진자 104명 중 해외유입 관련 사례 39건(37.5%)


     ㆍ유럽 25, 미주 11, 중국 외 아시아 3 / 내국인 34, 외국인 5 / 검역 30, 지역사회 9


    * 기존 확진자 중 18명 해외유입으로 추가 확인


□ 정부는 3.22일부터 유럽발 입국자 전수에 대해 진단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3월 27일(금) 0시부터 미국발(發) 입국자에 대한 검역을 강화한다.


 ○ 이에 따라 미국발 입국자 중 유증상자는 내외국인에 관계 없이 공항검역소에서 시설 대기하면서 진단검사를 실시하게 되며,


   - 검사 결과 양성으로 판정이 되면 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로 이송하여 치료를 받게 되고, 음성으로 나타나면 14일간 자가격리를 하게 된다.


 ○ 입국 시 증상이 없는 내국인 및 장기체류 외국인은 14일간 자가격리에 들어가며, 증상 발생 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 앞으로 미국의 코로나19 확산 상황과 미국발 국내 입국자 중 코로나19 확진자 추이를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전수 진단검사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일정한 거소가 없어 자가격리가 불가능한 단기 방문 외국인은 임시검사시설에서 진단검사를 실시하며, 음성이 확인 되어 입국 후에는 강화된 능동감시가 적용된다.


 ○ 해외 입국자 중 자가격리 대상자는 ‘자가격리자 안전보호 앱’을 입국단계에서 의무 설치하여 발열 등 의심 증상 진단과 위치 확인을 통한 생활수칙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등 관리를 강화한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해외입국자에게 주의사항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 유럽 및 미국 지역 입국자는 검역 및 방역당국의 조치에 협조하면서 지인·직장 동료 등에게 전파를 막기 위해 자가격리를 해주시고, 가족 간 전파 차단을 위해 자가격리지침을 준수(별첨4)해 줄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였다.


 ○ 유럽과 미국 이외 지역 입국자도 14일간 가급적 자택에 머무르고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외출, 출근을 하지말고, 가족간 감염을 막기 위해 손씻기, 기침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하면서,


  - 의심증상(발열, 기침, 인후통, 근육통, 호흡곤란 등) 모니터링하여 발생시 관할보건소, 지역콜센터(☎지역번호+120) 또는 질병관리본부상담센터(1339의를 통해 선별진료소에서 진료를 받되, 마스크를 착용하고 자차로 이동하며, 의료진에게 해외여행력을 알릴 것을 당부하였다.


  - 회사에서도 해외출장자는 귀국 후 2주간 출근하지 않도록 하여 감염 예방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특히 집단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에서는 해외 여행력 있는 직원의 출근 금지 및 재택근무로의 전환을 권고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을 오늘부터 정식 운영한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역학조사 지원시스템은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감염병예방법)」에 따른 역학조사 절차를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 확진자 면접조사 결과를 보완, 빅데이터의 실시간 분석이 가능해져 확진자 이동동선과 시간대별 체류지점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대규모 발병지역(핫스팟)을 분석하여 지역 내 감염원 파악 등 다양한 통계분석도 가능해진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국내에서도 종교시설과 사업장 등에서 집단감염이 지속되고 있어 3.22일부터 4.5일까지 15일간의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천을 당부하였다.


 ○ 국민 여러분들께는 최대한 집안에 머무르시면서, 꼭 필요한 생필품 구매, 의료기관 방문, 출퇴근시를 제외하고는 외출을 하지 말아줄 것을 요청하였다.


   - 직장에서 식사 시에도 일정 거리를 유지하고 휴게실 등 다중이용공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손씻기 등 개인 위생도 철저히 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 사업주들께는 직원 좌석 간격을 확대하거나, 재택근무, 유연근무 등을 통해 직원끼리의 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줄 것을 권고했다.


   - 또한 유증상자는 출근하지 않도록 하고 매일 발열체크 등을 통해 근무 중에도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퇴근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정부는 감염 위험이 높은 종교시설, 일부 실내 체육시설*, 유흥시설 등 일부 시설과 업종의 운영을 제한하는 조치를 함께 시행하고 있다.


     * 무도장, 무도학원, 체력단련장, 체육도장


   - 불가피하게 운영 시에는 소독 및 환기, 사용자 간 거리 유지, 마스크 착용 등 방역당국이 정한 준수사항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증상으로 의료기관 방문 전에는 ① 콜센터 (☎1339, ☎지역번호+120) 또는 관할 보건소로 문의하거나 ② 선별진료소*를 우선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했다.


   * 보건복지부 누리집 (www.mohw.go.kr, 상단배너 '선별진료소 운영 의료기관 명단보기'), 질병관리본부 누리집 (www.kdca.go.kr, 상단배너 ‘선별진료소’)


  - 선별진료소를 방문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자기 차량을 이용하여 방문할 것을 당부했다.


 ○ 감염을 걱정하는 일반 국민을 위한 병원으로서, 비호흡기질환 진료구역을 호흡기질환 전용 진료구역(외래·입원)과 구분하여 운영하는 「국민안심병원」을 이용해 줄 것도 당부했다.


 ※ ①「코로나19 대응지침」에 따른 의사환자나 조사대상유증상자는 선별진료소 ② 단순 경미한 호흡기 증상자는 가까운 의원이나 국민안심병원 호흡기 외래 ③ 고혈압ㆍ심장질환 등 비호흡기 증상자는 국민안심병원 일반외래 이용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보도 준칙 [한국기자협회]
           4. 코로나19 심각단계 행동수칙


<별첨> 1. 코로나19 예방수칙 홍보자료
           2. 코로나19 의료기관 수칙 홍보자료
           3. <입국자> 코로나19 예방주의 안내
           4.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홍보자료
           5. 자가격리환자 생활수칙 홍보자료
           6. 코로나19 스트레스 대처방법 카드뉴스
           7. 감염병 스트레스 정신건강 대처법
           8. <일반국민> 코로나19 스트레스 대처방법 홍보자료
           9. <확진자> 코로나19 스트레스 대처방법 홍보자료
           10. <격리자> 코로나19 스트레스 대처방법 홍보자료
           11. 마스크 착용방법 홍보자료
           12. ‘여행력 알리기’ 의료기관 안내 홍보자료
           13. 손씻기 및 기침예절 홍보자료
           14.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 두기 홍보자료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