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신체활동 감소, 고콜레스테롤혈증 지속 증가
  • 작성일2020-12-30
  • 최종수정일2020-12-31
  • 담당부서건강영양조사분석과
  • 연락처043-719-7491

신체활동 감소, 고콜레스테롤혈증 지속 증가


-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주요결과 발표 -


남자 흡연 개선(’0947.0% ’1935.7%), 반면 여자 음주(’0922.2% ’1924.7%), 신체활동(’1454.7%’1942.7%) 악화

콜레스테롤혈증 지속 증가(남자 ’0910.8% ’1921.0%, 여자 ’0911.8% ’1923.1%)

과일류 섭취 감소(09175g ’19141g), 반면 음료류 섭취 증가(0994g ’19 247g)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9년) 결과발표를 통해 우리 국민의 건강행태와 주요 만성질환 유병에 대한 최근 통계를 공개하였다.


 ○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우리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에 대한 국가 통계 산출을 위해 실시하고 있다.


   - 이 조사를 통해 흡연, 음주, 영양, 만성질환 등 약 250여개 지표의 국가 건강통계가 산출되고 있으며, 조사 결과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등 건강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1

 

국민건강영양조사(2019) 주요 결과


만성질환


□ 성인(만30세 이상)의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지속적 증가, 비만과 고혈압은 ’18년에 비해 소폭 감소, 당뇨병은 큰 변화가 없었다.



<만성질환 유병률 추이(30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 남자 비만 유병률(만30세이상)은 ’19년 43.1%로 ’18년 대비(44.7%) 소폭 감소하였고, 여자는 27% 수준이었다.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19년 남자 21.0%, 여자 23.1%이며, 남녀 모두 ’05년 이후 증가 추이가 지속되고 있다.


 ○ 고혈압 유병률은 ’19년 남자 31.1%, 여자 22.8%이며, ’18년 대비(남자 33.2%, 여자 23.1%) 소폭 감소하였고, 남자에서 ’16년 이후 감소경향이 뚜렷하였다. 당뇨병 유병률은 남자 14.0%, 여자 9.5%로 ’11년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 질환으로 이행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한 전단계 분율은 고혈압의 경우 30-40대에서, 당뇨병의 경우 전 연령에서 유병률보다 높아 전단계 대상 중재가 필요하다.


<연령별 고혈압 및 당뇨병 전단계 현황(%)>

 

만성질환

연령()

고혈압

당뇨병

고혈압

고혈압 전단계

당뇨병

당뇨병 전단계

30-39

9.5

26.6

2.7

30.3

40-49

19.0

28.9

8.1

40.6

50-59

32.3

31.3

14.4

52.2

60-69

51.5

25.1

24.2

52.3

70+

67.2

20.4

31.0

49.9

* 자료원: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 고혈압: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 또는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는 분율

* 고혈압 전단계: 유병자가 아니면서 수축기혈압이 120-139mmHg 이거나 이완기혈압이 80-89mmHg인 분율

* 당뇨병: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의사진단을 받았거나 혈당강하제복용 또는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거나, 당화혈색소 6.5% 이상인 분율

* 당뇨병 전단계: 유병자가 아니면서 공복혈당이 100-125mg/dL 또는 당화혈색소가 5.7% 이상 6.4% 이하인 분율


 ○ 연령별로는 비만은 남자 30대, 고혈압과 당뇨병은 70대 이상, 고콜레스테롤혈증은 60대 이상에서 유병률이 가장 높고, ’09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연령별 만성질환 유병률(%)>

 

만성질환

연령()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09

’19

’19-’09

차이

’09

’19

’19-’09

차이

’11

’19

’19-’11

차이

’09

’19

’19-’09

차이

남자

30-39

38.5

46.4

7.9

11.5

15.1

3.6

4.2*

3.1*

-1.1

8.4

12.5

4.1

40-49

41.9

45.0

3.1

25.2

26.5

1.3

11.0

11.5

0.5

11.0

20.4

9.4

50-59

43.4

43.4

0.0

40.2

35.7

-4.5

20.7

18.9

-1.8

14.0

26.0

12.0

60-69

32.2

39.9

7.7

52.1

52.3

0.2

26.3

27.2

0.9

12.8

32.2

19.4

70+

19.9

30.4

10.5

58.5

59.5

1.0

23.6

30.0

6.4

8.5

25.0

16.5

여자

30-39

19.6

21.6

2.0

2.9

3.4

0.5

1.6*

2.3*

0.7

4.1

7.2

3.1

40-49

27.2

25.8

-1.4

11.0

11.1

0.1

5.7

4.7

-1.0

7.7

12.3

4.6

50-59

36.7

29.6

-7.1

30.5

28.8

-1.7

10.6

9.7

-0.9

21.0

36.4

15.4

60-69

41.4

34.9

-6.5

49.1

50.7

1.6

20.4

21.4

1.0

22.5

52.5

30.0

70+

38.1

37.0

-1.1

65.9

72.4

6.5

27.5

31.6

4.1

17.6

42.2

24.6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25-50%


 ○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모두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 등 관리지표가 개선되었으나, 30대와 40대에서는 여전히 50% 미만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만성질환 관리지표 추이(30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건강행태


□ 남자의 흡연은 소폭 개선되었으나 여자의 신체활동은 악화되고 있다.
 
○ 성인 남자의 현재흡연율(궐련 기준)은 ’19년 35.7%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역대 최저였다.


   - ‘19년 담배제품 종류별로 사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궐련형, 액상형 전자담배를 사용한 남자의 분율은 각각 10.3%, 5.1%이었으며 남녀 모두 40대 이하에서 높았다.


   -  담배제품을 하나라도 사용하는 담배제품 현재사용률은 남자 39.7%, 여자 7.5%이었다. 



<주요 건강행태 추이(19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 월간폭음률은 ‘19년 남자 52.6%, 여자 24.7%로 그간의 추세와 달리 ’18년에 비해 남자는 소폭 증가, 여자는 소폭 감소하였다.


  - 연령별로 남자는 30대(62.0%), 여자는 20대(44.1%)에서 가장 높았고, 여자 20대의 경우 ‘09년 대비 월간폭음률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19년 남자 52.6%, 여자 42.7%로 여자의 경우 ‘14년 이래 지속 감소하였고, 특히 30-40대의 감소폭이 컸다.



<주요 건강행태 추이(19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연령별 건강행태 추이(%)>


건강행태

연령()

현재흡연율

월간폭음률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

’09

’19

’19-’09

차이

’09

’19

’19-’09

차이

’14

’19

’19-’14

차이

남자

19세 이상1)

47.0

35.7

-11.3

57.6

52.6

-5.0

62.0

52.6

-9.4

19-292)

51.9

37.8

-14.1

62.6

51.6

-11.0

79.8

68.4

-11.4

30-39

56.2

39.2

-17.0

62.2

62.0

-0.2

58.2

58.5

0.3

40-49

48.9

37.9

-11.0

64.1

54.1

-10.0

57.5

47.8

-9.7

50-59

41.6

36.7

-4.9

58.5

50.9

-7.6

60.2

40.9

-19.3

60-69

33.8

30.1

-3.7

45.2

49.8

4.6

53.7

44.4

-9.3

70+

23.7

17.0

-6.7

22.3

27.1

4.8

48.2

32.9

-15.3

여자

19세 이상1)

7.1

6.7

-0.4

22.2

24.7

2.5

54.7

42.7

-12.0

19-29

11.1

10.2

-0.9

36.2

44.1

7.9

64.1

55.1

-9.0

30-39

7.9

7.2

-0.7

23.9

26.2

2.3

57.8

39.0

-18.8

40-49

5.5

6.5

1.0

23.8

22.8

-1.0

56.9

42.9

-14.0

50-59

4.1

4.2

0.1

14.7

17.9

3.2

52.6

41.9

-10.7

60-69

4.5

4.4*

-0.1

7.9

8.0

0.1

42.7

34.5

-8.2

70+

6.8

2.5

-4.3

1.4*

2.1*

0.7

29.1

28.6

-0.5

*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25-50%, **:변동계수 50%이상

1)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

2) 조율


<담배종류별 현재사용률(%)>


담배 종류별

연령()

담배제품

현재사용률

일반담배

(궐련)

궐련형

전자담배

액상형

전자담배

기타담배

남자

19세 이상1)

39.7

35.7

10.3

5.1

1.3

19-292)

40.0

37.8

10.7

8.6

2.8*

30-39

45.0

39.2

16.2

7.9

1.4*

40-49

45.7

37.9

14.7

4.5

0.8*

50-59

38.0

36.7

3.7*

0.8**

0.4**

60-69

31.3

30.1

1.4*

1.3*

0.9*

70+

17.3

17.0

0.4**

0.1**

0.5**

여자

19세 이상

7.5

6.7

1.9

1.4

0.4

19-29

10.9

10.2

2.9*

3.7*

1.2**

30-39

9.5

7.2

3.3*

1.9*

0.4**

40-49

6.8

6.5

1.7*

0.6**

0.1**

50-59

4.5

4.2

0.8*

0.1**

0.1**

60-69

4.4*

4.4

0.0

0.0

0.0

70+

2.5

2.5

0.0

0.0

0.0


식생활과 영양


□ 과일류, 채소류 섭취 감소, 육류, 음료류 섭취 증가 추세는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20, 30대 젊은 연령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 과일류, 채소류 섭취량은 ‘19년 141g, 284g으로 전년(과일류 134g, 채소류 276g)과 유사하였고,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과일 및 채소의 권고 섭취 기준인 1일 500g 이상을 섭취하는 분율은 30% 수준이었다.


 ○ 반면, 당 과잉 섭취 우려로 섭취를 제한하는 음료류 섭취량은 성별, 연령과 무관하게 증가 추이(‘09년 94g → ’19년 247g)가 지속되고 있다.


 ○ 20대의 경우 다른 연령에 비해 과일류, 채소류 섭취량은 적고, 음료류 섭취량은 많았고, 과일, 채소류를 주요 급원으로 하는 비타민 C의 섭취량은 적고, 당 섭취량은 많았다.



<식품군별 섭취량 추이(19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 에너지 섭취량은 ‘19년 남자 2,338kcal, 여자 1,634kcal로 큰 변화 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에너지를 적정으로 섭취하고 있는 분율(에너지 필요추정량의 75% 이상 125% 미만 범위 내 섭취)은 감소하고 있다.


 ○ 남자의 경우 20, 30대에서 적정 섭취 분율이 낮았으며, 비만 유병률이 높은 30대의 경우 과잉 섭취 분율(27.6%)이 다른 연령에 비해 높았다.


 ○ 저체중 유병률이 높은 여자 20대의 경우 40% 이상이 에너지를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었고, 다른 연령에 비해 적정 섭취 분율이 낮았다.


 ○ 지방의 에너지 섭취 분율은 전년대비 1%p 증가하여 ‘19년 23%이었다.



<에너지 섭취량 및 급원별 섭취 분율 추이(19세 이상) 관련 그림 붙임 참조>



<에너지 부족/적정/과잉 섭취 분율(19세 이상)>


연령()

부족 섭취 분율

적정 섭취 분율

과잉 섭취 분율

’09

’19

’19-’09

차이

’09

’19

’19-’09

차이

’09

’19

’19-’09

차이

남자

19세 이상1)

29.9

30.9

1.0

51.5

47.4

-4.1

18.6

21.7

3.1

19-292)

42.1

39.2

-2.9

41.0

40.4

-0.6

16.9

20.4

3.5

30-39

21.7

26.6

4.9

57.0

45.8

-11.2

21.3

27.6

6.3

40-49

26.6

29.7

3.1

53.1

50.0

-3.1

20.3

20.3

0.0

50-59

24.3

24.9

0.6

55.1

54.5

-0.6

20.6

20.6

0.0

60-69

28.0

27.4

-0.6

55.7

48.9

-6.8

16.3

23.6

7.3

70+

42.7

38.8

-3.9

48.6

50.4

1.8

8.6

10.8

2.2

여자

19세 이상

41.1

41.5

0.4

48.1

45.7

-2.4

10.8

12.8

2.0

19-29

51.5

45.8

-5.7

39.6

40.6

1.0

8.9

13.6

4.7

30-39

39.7

41.9

2.2

47.8

43.3

-4.5

12.5

14.7

2.2

40-49

36.0

38.0

2.0

54.0

50.7

-3.3

9.9

11.4

1.5

50-59

34.9

38.2

3.3

51.8

48.0

-3.8

13.2

13.8

0.6

60-69

36.7

37.5

0.8

51.8

49.9

-1.9

11.5

12.5

1.0

70+

46.9

49.4

2.5

44.6

43.9

-0.7

8.5

6.7

-1.8


* 자료원: 국민건강영양조사
* 부족 섭취 분율 :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 섭취
* 적정 섭취 분율 :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75% 이상 125% 미만 범위 내 섭취
* 과잉 섭취 분율 :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125% 이상 섭취
1) 2005년 추계 인구로 연령표준화
2) 조율


□ 영양소 섭취 기준 마련,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의 위험요인 발굴 등을 위해 엽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엽산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 만 19세 이상 성인의 엽산 섭취량은 남자 345㎍DFE, 여자 282㎍DFE로 남자 51.1%, 여자 68.1%가 2015 영양소섭취기준의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 남녀 모두 20대에서 섭취량(남자 296㎍DFE, 여자 239㎍DFE)이 가장 적었다.


2

 

조사 결과의 의의


□ 보건복지부 이스란 건강정책국장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관련 중점과제를 수립하고 있으며,


 ○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건강 수준 향상과 소득‧지역‧성별 등의 격차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사회경제적 부담을 고려할 때 만성질환은 감염병 만큼 건강정책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며,


 ○ “그런 의미에서 우리 국민들에게 필요한 건강정책 개발을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와 같은 건강감시체계의 건강문제 발굴 및 선제적 대응을 위한 지표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조사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엄격하게 관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아울러 “우리 국민의 생활습관 개선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통계 생산 및 공개 방법을 다양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 보고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http://knhanes.kdca.go.kr)을 통해 12월 공개할 예정이다.


 ○ 올해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발표는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주요 결과에 대해 영상으로 제작하여 상세 보고서와 함께 공개 예정이다.


<붙임> 국민건강영양조사 개요
<별첨>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 주요결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