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9.,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1-03-09
  • 최종수정일2021-09-09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전략기획팀
  • 연락처043-719-9365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9., 정례브리핑)


※ 붙임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5. ~ ’21.3.28.) 중 ④ 일상 및 사회경제적 활동-'마스크 착용 의무화' 설명 중 일부 수정(3.15. 16:40)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3월 9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27명, 해외유입 사례는 19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93,263명(해외유입 7,207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1,17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8,227건(확진자 65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9,402건, 신규 확진자는 총 446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426명으로 총 83,900명(89.96%)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7,718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28명, 사망자는 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645명(치명률 1.76%)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3.9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427

98

19

3

20

32

1

11

0

181

13

21

14

7

2

2

1

2

누계

86,056

28,333

3,216

8,540

4,354

2,032

1,144

946

216

23,533

1,852

1,801

2,345

1,138

820

3,155

2,066

565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3.9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19

0

7

0

10

2

0

4

15

11

8

누계

7,207

40

3,213

1,241

2,340

350

23

3,016

4,191

3,886

3,321

(0.6%)

(44.5%)

(17.2%)

(32.5%)

(4.9%)

(0.3%)

(41.8%)

(58.2%)

(53.9%)

(46.1%)

*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1명, 러시아 1명, 인도네시아 3명, 아랍에미리트 1명(1명), 인도 1명 아메리카 : 미국 7명(6명), 멕시코 1명, 브라질 2명, 아프리카 : 이집트 1명(1명), 세네갈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3.8.() 0시 기준

83,474

7,701

128

1,642

3.9.() 0시 기준

83,900

7,718

128

1,645

변동

(+)426

(+)17

0

(+)3

* 3.80시부터 3.9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3월 9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3월 9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27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96.1명), 수도권에서 299명(70%) 비수도권에서는 128명(30%)이 발생하였다.


(주간 : 3.3~3.9, 단위 :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3.9(0시 기준)

427

299

36

41

5

31

13

2

주간 일 평균

396.1

307.6

27.4

17.1

12.7

20.0

8.0

3.3

주간 총 확진자 수

2,773

2,153

192

120

89

140

56

23



○ 수도권


(주간 : 3.3~3.9, 단위 : )

구분

3.3.

3.4.

3.5.

3.6.

3.7.

3.8.

3.9.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수도권

353

312

309

317

323

240

299

307.6

2,153

서울

116

117

129

126

127

97

98

115.7

810

인천

19

18

12

19

27

15

20

18.6

130

경기

218

177

168

172

169

128

181

173.3

1,213



  - (서울 강동구 고등학교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 (구분) 학생 16명(지표포함, +1)


  - (서울 동대문구 병원3 관련) 3월 6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환자 8명(지표포함, +2), 간병인 2명, 종사자 2명(+1), 가족 5명(+1)


  - (서울 구로구 의료기관 관련) 3월 2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4명*이다.


    * (구분) 종사자 7명(지표포함, +1), 가족 4명, 이용자 2명(+1), 기타 1명


  - (경기 안성시 축산물공판장 관련) 접촉자 조사 중 5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7명*이다.


    * (구분) 직원 69명(지표포함,+57), 직원의 가족 5명(지표포함,+1), 지인 2명(+1), 기타 1명


  - (경기 의정부시 병원 관련) 3월 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6명*이다.


    * (구분) 직원 6명, 환자 3명, 가족 7명(지표포함)


  - (경기 동두천시 외국인집단발생 관련) 동두천시 임시선별검사를 통해 3명의 외국인이 추가 확진되어 가족, 직장, 커뮤니티 접촉자에 대해 일제검사 등 추적관리가 진행 중이다.


구분

2.28.

3.1.

3.2.

3.3

3.4

3.5

3.6

3.7

3.8

동두천시 검사건

3,647

509

154

351

560

639

529

251

281

373

외국인 확진자*

154

-

81

15

7

11

18

14

5

3


   * 확진일 기준 분류로 전일 검사자 다수 포함


  - (경기 이천시 조기축구모임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4명*이다.


    * (구분) 회원 8명(지표포함, +1), 가족 3명(+1), 기타 3명(+1)


  - (경기 수원장안어린이집 관련) 3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직원 5명(지표포함), 원생 6명, 가족 1명


 ○ 충청권


(주간 : 3.3~3.9, 단위 : )

구분

3.3.

3.4.

3.5.

3.6.

3.7.

3.8.

3.9.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충청권

29

17

28

30

17

35

36

27.4

192

대전

2

3

-

-

1

-

1

1.0

7

세종

4

-

1

1

2

1

-

1.3

9

충북

19

12

19

22

8

20

21

17.3

121

충남

4

2

8

7

6

14

14

7.9

55



  - (충남 천안시 일가족 관련) 3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가족 7명(지표포함), 지인 1명


  - (충남 예산군 배터리제조업체 관련) 3월 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종사자의 지인(지표환자), 종사자 6명


  - (충북 제천시 사우나 관련) 3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가족 3명(지표포함), 종사자 1명, 이용자 5명


  - (충북 음성군 유리제조업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4명*이다.


    * (구분) 종사자 24명(지표포함, +6)


 ○ 호남권


(주간 : 3.3~3.9, 단위 : )

구분

3.3.

3.4.

3.5.

3.6.

3.7.

3.8.

3.9.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호남권

11

13

8

8

15

24

41

17.1

120

광주

3

6

5

1

4

14

32

9.3

65

전북

5

6

3

4

5

4

7

4.9

34

전남

3

1

-

3

6

6

2

3.0

21



  - (광주 서구 콜센터 관련) 접촉자 격리해제전 검사에서 3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8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콜센터 관련

113(+32)

종사자 93(지표포함, +30), 가족 15(+2), 지인 3, 기타 2

사우나 관련

5

방문자 4, 가족 1



  - (전북 전주시 피트니스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1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피트니스 관련

56(+3)

종사자 2(지표포함), 이용자 44(+3), 지인 3, 가족 2, 기타 5

주점 관련

8

이용자 6, 지인 1, 기타 1

지인모임 관련

7

지인 7



 ○ 경북권


(주간 : 3.3~3.9, 단위 : )

구분

3.3.

3.4.

3.5.

3.6.

3.7.

3.8.

3.9.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북권

10

24

7

16

19

8

5

12.7

89

대구

5

19

3

3

8

6

3

6.7

47

경북

5

5

4

13

11

2

2

6.0

42



  - (대구 중구 가족/체육시설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가족 관련

4

가족 4(지표포함)

체육시설 관련

7(+1)

종사자 2, 방문자 4(+1), 가족 1



 ○ 경남권


(주간 : 3.3~3.9, 단위 : )

구분

3.3.

3.4.

3.5.

3.6.

3.7.

3.8.

3.9.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남권

13

26

23

21

11

15

31

20.0

140

부산

8

17

20

12

6

12

19

13.4

94

울산

1

-

-

4

2

3

11

3.0

21

경남

4

9

3

5

3

-

1

3.6

25



  - (부산 서구 종합병원 관련)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환자 9명(지표포함, +3), 종사자 2명(+1), 보호자 1명(+1)


  - (울산 북구 목욕탕 관련) 3월 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이용자 8명(지표포함)


 ○ 강원권


(주간 : 3.3~3.9, 단위 : )

구분

3.3.

3.4.

3.5.

3.6.

3.7.

3.8.

3.9.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강원권

6

6

4

7

10

10

13

8.0

56


  - (강원 평창군 숙박시설 관련) 접촉자 조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동료 4명(지표포함), 가족 3명(+2)


 ○ 제주권

(주간 : 3.3~3.9, 단위 : )

구분

3.3.

3.4.

3.5.

3.6.

3.7.

3.8.

3.9.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제주권

4

3

2

5

4

3

2

3.3

23



  - (제주 제주시 볼링장2 관련) 접촉자 조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방문자 4명(지표포함, +1), 가족 3명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젊은층을 중심으로 지인‧가족 단위의 모임·다중이용시설 이용을 통한 집단발생 사례에 대해 설명하고, 감염 예방을 위해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21년 1월 이후 주점‧음식점 관련 집단감염 사례는 총 13건 (수도권 6건, 비수도권 7건)으로 관련 확진자는 총 286명이며, 평균 발생기간*은 10.3일이었다.


   * 발생기간 : 지표환자 확진일부터 마지막 환자 확진일까지


   - 주점‧음식점 집단감염의 주요 전파경로는 방문자 또는 종사자 감염 이후 가족, 지인 등으로 추가 전파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21년 1월 이후 주점ㆍ음식점 집단감염(3.9일 0시 기준)】


구분

주요 집단명

확진자 수 ()

최초확진일

(발생기간)

방문자/종사자

추가전파

(13)

286

169

117

평균 10.3

수도권

(6)

서울 광진구 음식점 관련

82

68

14

1.29. (18)

서울 서초구 음식점 관련

11

3

8

2.15. (15)

서울 영등포구 음식점 관련

41

17

24

2.25. (10)

서울 노원구 음식점 관련

24

15

9

3.3. (4)

인천 강화군 중식당 관련

11

7

4

2.17. (12)

경기 고양시 음식점 관련

19

8

11

2.4. (27)

비수도권

(7)

부산 부산진구 음식점 관련

8

3

5

1.18. (5)

대구 동구 지인모임 관련

12

6

6

1.13. (7)

대구 달서구 음식점 관련

9

4

5

2.1. (6)

대구 동구 음식점 관련

20

8

12

2.14. (15)

대구 북구 대학생지인모임2 관련

35

24

11

2.26. (9)

제주 제주시 참솔식당 관련

7

3

4

1.19. (2)

제주 제주시 주점 관련

7

3

4

3.1. (4)



 ○ 대표적 사례는 ‘서울 광진구 음식점 관련’과 ‘대구 북구 대학생 지인모임2’으로, 이용자 및 참석자의 가족이 확진되면서 처음으로 인지되었으며, 각각 82명과 35명이 확진되었다.


   -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마스크 미착용, △밀폐 또는 환기가 불충분한 실내 공간 내 장기간 체류, △식사‧음주‧춤‧노래 등 비말 발생이 많은 행동 등이 있었다.


 ○ 방역당국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고, 음식 섭취 시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주점 및 음식점은 방역수칙 준수가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 △식사‧음료를 섭취하는 경우 외 마스크 착용, △5명부터 사적 모임 금지 준수, △이용자 간 거리두기 준수,


   - △노래부르기‧소리지르기 등 비말 발생이 많은 행동 자제, △다중이 모이는 이벤트성 행사 자제, △주기적 실내 환기‧소독 철저 등을 당부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4차 유행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현재 수도권에 운영 중인 임시선별검사소를 비수도권까지 확대 운영하기로 하고 운영계획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 지난해 12월 14일부터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역 내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일반시민 누구나 검사받을 수 있는 임시선별검사소 총 98개소(3.9일 0시 기준)를 설치·운영 중에 있다.


   * 153개소 설치·운영을 시작으로, 3차례 운영 연장**하여 현재 98개 운영 중


   ** (당초) ’20.12.14∼’21.1.3(3주) → (1차연장) ’21.1.4∼’21.1.17(2주) → (2차연장) ’21.1.18∼’21.2.14(4주)→ (3차연장) ’21.2.15∼거리두기 2단계 종료 시까지


 ○ 약 3개월간의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운영을 통해 242만여건(일평균 28,476건)의 검체를 검사, 총 6,522명의 확진자(양성율 0.27%)를 발견하였으며,


   - 이는, 동 기간 발생한 전체 확진자(48,905명)의 13%정도로 임시선별검사소의 운영이 지역사회 내 숨은 감염원을 조기 확인하는 성과가 있어 이를 비수도권까지 확대하기로 하였다.


 ○ 검사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수도권 외 비수도권 지역에도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하고, 진단검사비(PCR)를 지원하기로 하였으며,


  - 증상 유무 등과 관계없이 누구나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지자체 수요조사(3.4일∼3.6일) 결과에 따라 수도권 외 6개 지자체에서 운영 예정이며, 2개월간(3∼4월) 운영기간 이후 평가를 통해 추가 운영 여부도 검토할 예정이다.


   * 부산, 울산, 광주, 대구, 천안, 아산 각 1개소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운영 지역】


연번

시도명

지자체

보건소

검사소(위치)

1

부산

부산광역시

시 주관(16개 구군 합동운영)

찾아가는 이동형 임시선별검사소

2

울산

울산광역시

시 주관

울산역

3

광주

광주광역시

시 주관

광주시청

4

대구

대구광역시

시 주관(8개 보건소 합동운영)

국채보상공원

5

충남

천안시

서북구보건소

천안시청

6

아산시

아산시보건소

이순신종합운동장



  ○ 방역당국은 국민들께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코로나19 검사가 가능하므로 적극적으로 검사에 참여할 것을 당부하였다.


     *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거나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경우는 효율적인 확진자 관리와 검사를 위해 선별진료소 방문하여 검사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가까운 가족·지인과의 모임, 음식점·주점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으로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하였다며, 나와 내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불필요한 모임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 특히, 개학·봄철을 맞아 가족‧지인과의 여행·모임, 대학가 등 젊은층 중심의 다중이용시설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 마스크 착용 등 기본 방역수칙의 철저한 준수로 감염이 추가 확산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하였다.


 ○ 이를 위해, 국민들께 아래의 세가지 수칙을 준수하여 주실 것을 거듭 요청하였다. 
 
   - 첫째, 장소‧상황을 불문하고, 실내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한다.


    ▪실외에서도 2m이상 거리유지가 안되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상황(식사‧음주‧흡연)은 가급적 피한다.
 
   - 둘째, 5인 이상 집합금지 등 거리두기를 실천한다.


    ▪2주간 연장된 거리두기(3월 1일∼,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와 방역수칙을 충실히 이행한다.
 
   -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검사 받는다.


    ▪의료기관은 환자가 선별진료소에서 문진 절차 없이 신속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는 환자 방문 시 검사의뢰서를 적극 발급한다.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3월 9일 0시 기준 신규로 64,111명이 추가 접종받아 383,346명*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이 49.8%였다고 밝혔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377,138명, 화이자 백신 6,208명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현황(3.9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64,111

11,465

4,784

4,020

2,215

3,099

2,327

1,271

195

11,819

2,200

1,572

2,960

3,732

3,058

3,396

5,275

723

누계

383,346

48,715

31,226

19,531

21,197

16,722

10,108

7,756

782

85,119

8,840

12,873

18,938

19,406

19,187

22,316

37,103

3,527

* 3237일 접종자 2,370명이 38일 추가로 등록되어 누계에 포함됨(신규 현황은 당일 접종(3.8)을 의미함)

상기 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은 170,662명(83.5%), 요양시설은 60,683명(55.9%), 1차 대응요원은 10,299명(13.5%),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135,494명(41.8%),


  - 코로나19 환자치료병원은 6,208명(11.0%)이 예방접종을 받았다.


【접종기관ㆍ대상자별 예방접종 현황(3.9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대상자

770,465

134,469

60,586

39,913

42,918

28,694

24,000

14,652

2,259

165,559

24,064

23,241

32,179

32,296

37,004

43,342

56,359

8,930

접종자

383,346

48,715

31,226

19,531

21,197

16,722

10,108

7,756

782

85,119

8,840

12,873

18,938

19,406

19,187

22,316

37,103

3,527

접종률

49.8

36.2

51.5

48.9

49.4

58.3

42.1

52.9

34.6

51.4

36.7

55.4

58.9

60.1

51.9

51.5

65.8

39.5

요양병원

대상자

204,401

17,172

21,314

8,752

10,829

8,899

6,147

4,771

342

47,427

3,979

6,197

9,394

9,828

12,246

15,176

21,035

893

접종자

170,662

13,310

18,427

7,315

9,111

8,042

5,218

4,140

324

37,498

3,091

5,506

8,149

8,847

10,877

11,801

18,263

743

접종률

83.5

77.5

86.5

83.6

84.1

90.4

84.9

86.8

94.7

79.1

77.7

88.8

86.7

90.0

88.8

77.8

86.8

83.2

요양시설

대상자

108,527

7,740

3,723

4,602

7,604

2,084

3,792

1,247

368

32,370

5,630

5,497

6,208

5,066

5,693

7,679

6,735

2,489

접종자

60,683

4,900

2,502

2,905

3,924

1,787

1,558

521

102

13,150

3,120

3,079

4,864

3,835

4,286

3,688

5,034

1,428

접종률

55.9

63.3

67.2

63.1

51.6

85.7

41.1

41.8

27.7

40.6

55.4

56.0

78.4

75.7

75.3

48.0

74.7

57.4

1차 대응요원

대상자

76,409

10,278

4,046

2,001

4,609

1,552

1,471

1,237

579

12,607

4,395

3,540

6,142

4,353

6,324

6,345

5,515

1,415

접종자

10,299

929

414

388

306

287

265

203

165

1,526

400

631

1,164

743

485

671

1,569

153

접종률

13.5

9.0

10.2

19.4

6.6

18.5

18.0

16.4

28.5

12.1

9.1

17.8

19.0

17.1

7.7

10.6

28.4

10.8

병원급이상의료기관

대상자

324,484

86,494

27,512

21,648

11,825

15,076

9,182

4,961

223

64,189

8,887

5,378

9,023

11,944

11,963

12,272

21,583

2,324

접종자

135,494

26,519

9,677

8,261

7,587

6,465

3,067

2,860

191

32,601

2,013

3,584

4,355

5,897

3,284

6,156

11,774

1,203

접종률

41.8

30.7

35.2

38.2

64.2

42.9

33.4

57.6

85.7

50.8

22.7

66.6

48.3

49.4

27.5

50.2

54.6

51.8

코로나치료병원

대상자

56,644

12,785

3,991

2,910

8,051

1,083

3,408

2,436

747

8,966

1,173

2,629

1,412

1,105

778

1,870

1,491

1,809

접종자

6,208

3,057

206

662

269

141

0

32

0

344

216

73

406

84

255

0

463

0

접종률

11.0

23.9

5.2

22.7

3.3

13.0

0.0

1.3

0.0

3.8

18.4

2.8

28.8

7.6

32.8

0.0

31.1

0.0

* 접종대상 : (아스트라제네카) 요양병원·요양시설 등의 만 65세 미만 입소자·종사자, 1차 대응요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화이자)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 정신의료기관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정신 의료기관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환자를 포함함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3.9일 0시 기준)는 총 4,851건*(신규 936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되더라도 1명으로 분류


  - 4,790건(신규 924건)은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메스꺼움, 구토 등 사례였으며,


  - 43건(신규 10건)의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경련 등 5건(신규 0건)의 중증 의심 사례, 13건(신규 2건)의 사망 사례가 보고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아나필락시스로 구분


【코로나19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신고현황(3.9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구분

접종자수

(누계)

합계

일반1)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2)

중증
의심사례3)

사망사례

전체

신규

383,346

936

924

10

0

2

누계

4,851

4,790

43

5

13

아스트라제네카

신규

377,138

925

913

10

0

2

누계

4,821

4,760

43

5

13

화이자

신규

6,208

11

11

-

-

-

누계

30

30

-

-

-

1) 근육통, 두통, 발열, 메스꺼움 등의 사례

2) 아나필락시스양 반응(42)* 및 아나필락시스 쇼크(1) 의심사례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사례

* 예방접종 후 2시간 이내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로 아나필락시스와는 다름

3) 경련(1), 중환자실 입원(4) 포함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이며,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등의 중증사례에 한해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인과성을 평가함



  - 신규로 신고된 2건의 사망 사례는 다음과 같다.


【신규 사망 신고 현황】


연번

인적사항

접종대상

접종일

사망일

접종 후

사망까지 시간

기저

질환

1

50/

요양병원 (입원환자)

‘21. 3. 3.

‘21. 3. 7.

317시간

2

50/

요양병원 (입원환자)

‘21. 3. 2.

‘21. 3. 7.

419시간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 ∼ ’21.3.14.)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 ∼ ’21.3.14.)
           5. 대구 북구 대학생지인모임2 관련 세부현황 (3.9. 0시 기준)
           6.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7.「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2.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시 행동요령 점검표
           3.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4.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5.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6.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7.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8.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9.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10.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1.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2.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3.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4.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0.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1.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