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0.)
  • 작성일2021-03-10
  • 최종수정일2021-09-09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전략기획팀
  • 연락처043-719-9365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0.)


※ 붙임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5. ~ ’21.3.28.) 중 ④ 일상 및 사회경제적 활동-'마스크 착용 의무화' 설명 중 일부 수정(3.15., 16:40)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3월 10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52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93,733명(해외유입 7,225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5,900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7,992건(확진자 7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3,892건, 신규 확진자는 총 470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412명으로 총 84,312명(89.95%)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7,773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23명, 사망자는 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648명(치명률 1.76%)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3.10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452

132

7

1

23

1

3

21

0

199

20

18

6

5

3

4

7

2

누계

86,508

28,465

3,223

8,541

4,377

2,033

1,147

967

216

23,732

1,872

1,819

2,351

1,143

823

3,159

2,073

567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3.10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18

0

8

1

8

1

0

5

13

9

9

누계

7,225

40

3,221

1,242

2,348

351

23

3,021

4,204

3,895

3,330

(0.6%)

(44.5%)

(17.2%)

(32.5%)

(4.9%)

(0.3%)

(41.8%)

(58.2%)

(53.9%)

(46.1%)

* 아시아(중국 외) : 인도네시아 3명(1명), 인도 2명(1명), 파키스탄 2명(2명), 카자흐스탄 1명(1명), 유럽 : 헝가리 1명, 아메리카 : 미국 8명(4명), 아프리카 : 가봉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3.9.() 0시 기준

83,900

7,718

128

1,645

3.10.() 0시 기준

84,312

7,773

123

1,648

변동

(+)412

(+)55

(-)5

(+)3

* 3.90시부터 3.10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3월 10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3월 10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52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399.9명), 수도권에서 354명(78.3%) 비수도권에서는 98명(21.7%)이 발생하였다.


(주간 : 3.4~3.10, 단위 :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3.10(0시 기준)

452

354

27

9

5

35

20

2

주간 일 평균

399.9

307.7

27.1

16.9

12.0

23.1

10.0

3.0

주간 총 확진자 수

2,799

2,154

190

118

84

162

70

21


 ○ 수도권


(주간 : 3.4~3.10, 단위 : )

구분

3.4.

3.5.

3.6.

3.7.

3.8.

3.9.

3.10.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수도권

312

309

317

323

240

299

354

307.7

2,154

서울

117

129

126

127

97

98

132

118.0

826

인천

18

12

19

27

15

20

23

19.1

134

경기

177

168

172

169

128

181

199

170.6

1,194


  - (서울 동대문구 요양병원 관련) 3월 8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명*이다.


    * (구분) 종사자 2명(지표포함), 간병인 1명, 환자 10명(+3), 가족 4명(+2), 지인 2명


  - (서울 강동구 고등학교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학생 16명(지표포함), 가족 1명(+1)


  - (수도권 지인모임) 3월 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모임참석자 4명(지표포함), 가족 1명, 지인 2명, 기타 2명


  - (경기 안성시 축산물공판장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2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97명*이다.


    * (구분) 직원 79명(지표포함, +10), 가족 및 지인 18명(+10)


  - (경기 의정부시 병원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명*이다.


    * (구분) 가족 7명(지표포함), 직원 6명, 환자 5명(+2), 기타 1명(+1)


  - (경기 동두천시 외국인집단발생 관련) 임시선별검사를 통해 6명의 외국인이 추가 확진되어 가족, 직장, 커뮤니티 접촉자에 대해 일제검사 등 추적관리가 진행 중이다.


구분

2.28.

3.1.

3.2.

3.3

3.4

3.5

3.6

3.7

3.8

3.9

동두천시 검사건

3,953

509

154

351

560

639

529

251

281

373

306

외국인 확진자*

160

-

81

15

7

11

18

14

5

3

6


    * 확진일 기준 분류로 전일 검사자 다수 포함


  - (경기 하남시 종교시설/운동시설 관련) 3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이용자 7명(지표포함), 지인 1명, 기타 1명, 교인 3명


  - (경기 화성시 댄스교습학원 관련) 3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이용자 8명(지표포함), 직원 1명, 가족 1명


 ○ 충청권


(주간 : 3.4~3.10, 단위 : )

구분

3.4.

3.5.

3.6.

3.7.

3.8.

3.9.

3.10.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충청권

17

28

30

17

35

36

27

27.1

190

대전

3

-

-

1

-

1

3

1.1

8

세종

-

1

1

2

1

-

-

0.7

5

충북

12

19

22

8

20

21

18

17.1

120

충남

2

8

7

6

14

14

6

8.1

57


  - (충남 천안시 일가족 관련)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가족 9명(지표포함, +2), 지인 2명(+1), 지인가족 1명(+1)


  - (충남 예산군 배터리제조업체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지인(지표환자), 종사자 9명(+1)


  - (충북 제천시 사우나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사우나 관련

11(+2)

지표환자, 가족 3(+1), 종사자 3(+2), 이용자 4(-1*)

학원 관련

8(+8)

종사자 1(+1), 학생 4(+4), 기타 3(+3)


    * 역학조사 결과에 따라 관계 재분류(이용자→학원)


  - (충북 음성군 육가공업체 관련) 3월 3일 외국인근로자 대상 일제검사에서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명*이다.


    * (구분) 종사자 5명(지표포함)


 ○ 호남권


(주간 : 3.4~3.10, 단위 : )

구분

3.4.

3.5.

3.6.

3.7.

3.8.

3.9.

3.10.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호남권

13

8

8

15

24

41

9

16.9

118

광주

6

5

1

4

14

32

1

9.0

63

전북

6

3

4

5

4

7

5

4.9

34

전남

1

-

3

6

6

2

3

3.0

21


  - (전북 익산시 한방병원 관련) 3월 8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환자 3명(지표포함), 보호자 1명, 간병인 2명, 가족 1명


 ○ 경남권


(주간 : 3.4~3.10, 단위 : )

구분

3.4.

3.5.

3.6.

3.7.

3.8.

3.9.

3.10.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남권

26

23

21

11

15

31

35

23.1

162

부산

17

20

12

6

12

19

7

13.3

93

울산

-

-

4

2

3

11

21

5.9

41

경남

9

3

5

3

-

1

7

4.0

28


  - (부산 서구 사업장 관련) 3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종사자 10명(지표포함), 가족 3명


  - (부산 서구 종합병원 관련) 접촉자 조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4명*이다.


    * (구분) 환자 9명(지표포함), 종사자 2명, 보호자 1명, 가족 2명(+2)


  - (울산 북구 목욕탕 관련) 접촉자 조사 중 1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5명*이다.


    * (구분) 이용객 16명(지표포함, +8), 가족 9명(+9)


 ○ 강원권


(주간 : 3.4~3.10, 단위 : )

구분

3.4.

3.5.

3.6.

3.7.

3.8.

3.9.

3.10.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강원권

6

4

7

10

10

13

20

10.0

70


  - (강원 평창군 가족모임 관련) 3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가족 11명(지표포함), 지인 1명, 기타 1명


  - (강원 삼척시 가족 관련) 3월 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명*이다.


    * (구분) 가족 3명(지표포함), 지인 2명


  - (강원 홍천군 가족 관련) 3월 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명*이다.


    * (구분) 가족 4명(지표포함), 지인 2명, 기타 1명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에서 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MIS-C)* 4번째 사례가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 ’20.4월 이후 유럽 및 미국에서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보고된 특이사례로, 코로나19 감염 수 주 후 발열, 발진, 다발성 장기기능 손상 등이 나타나는 전신성 염증반응


 ○ 3번째 사례가 확인되었던 지난 10월 이후 5건의 신고사례가 접수되었으며, 역학조사, 실험실적 검사 및 전문가 회의 등을 거쳐 1건이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부합 사례로 판정되었다. 


  - 이번 사례(15세/남)는 코로나19 확진자와의 접촉으로 감염되어,  생활치료센터 입소 후 퇴원(‘20.12.11~12.25)하였으며, 이후 발열·설사·두통 등 증상이 발생하여 의료기관 입원 후(’21.1.23.~2.3) 증상이 호전되어 회복 후 퇴원하였다.


  - 방역당국은 ’21.1.27일 신고를 접수하고 역학조사 및 실험실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 결과 부합사례로 판정하였다.


 ○ 방역당국은 앞으로도 국내 코로나19 연관 소아청소년 다기관염증증후군 사례에 대한 감시 및 조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 마스크착용, 손 씻기, 사회적 거리두기 등 코로나19 기본 예방수칙을 꾸준히 준수해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백신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3월 10일 0시 기준 신규로 60,662명이 추가 접종받아 446,941명*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이 57.6%였다고 밝혔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438,890명, 화이자 백신 8,051명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현황(3.10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60,662

10,514

5,081

3,202

1,951

2,891

2,028

1,077

12

10,800

3,072

1,267

2,752

3,327

3,640

3,724

4,597

727

누계

446,941

59,748

36,622

22,917

23,548

19,917

12,349

8,836

794

96,302

12,130

14,173

21,760

22,736

23,072

26,043

41,730

4,264

* 226, 3238일 접종자 2,933명이 39일 추가로 등록되어 누계에 포함됨(신규 현황은 당일접종(3.9)을 의미함)

상기 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은 173,537명(84.9%), 요양시설은 68,674명(63.3%), 1차 대응요원은 18,995명(25.1%),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177,684명(53.8%),


  - 코로나19 환자치료병원은 8,051명(14.2%)이 예방접종을 받았다.


【접종기관ㆍ대상자별 예방접종 현황(3.10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대상자

775,601

136,089

60,953

40,301

43,289

29,109

24,311

14,791

2,260

166,497

24,298

23,145

32,231

32,461

37,271

43,179

56,472

8,944

접종자

446,941

59,748

36,622

22,917

23,548

19,917

12,349

8,836

794

96,302

12,130

14,173

21,760

22,736

23,072

26,043

41,730

4,264

접종률

57.6

43.9

60.1

56.9

54.4

68.4

50.8

59.7

35.1

57.8

49.9

61.2

67.5

70.0

61.9

60.3

73.9

47.7

요양병원

대상자

204,388

17,187

21,299

8,747

10,829

8,898

6,134

4,774

342

47,436

3,981

6,198

9,395

9,830

12,246

15,176

21,028

888

접종자

173,537

13,448

18,725

7,367

9,202

8,046

5,307

4,151

324

38,597

3,134

5,526

8,313

8,915

10,926

12,196

18,607

753

접종률

84.9

78.2

87.9

84.2

85.0

90.4

86.5

87.0

94.7

81.4

78.7

89.2

88.5

90.7

89.2

80.4

88.5

84.8

요양시설

대상자

108,550

7,735

3,722

4,603

7,611

2,083

3,789

1,245

368

32,377

5,635

5,494

6,210

5,072

5,703

7,675

6,741

2,487

접종자

68,674

5,643

2,723

3,286

4,518

1,887

1,786

624

112

15,759

3,439

3,438

5,108

4,071

4,606

4,349

5,693

1,632

접종률

63.3

73.0

73.2

71.4

59.4

90.6

47.1

50.1

30.4

48.7

61.0

62.6

82.3

80.3

80.8

56.7

84.5

65.6

1차 대응요원

대상자

75,713

10,198

3,955

1,989

4,587

1,561

1,476

1,240

580

12,558

4,397

3,425

6,114

4,365

6,335

6,123

5,392

1,418

접종자

18,995

1,893

998

516

516

553

401

419

167

2,482

791

1,120

2,573

1,485

996

1,340

2,482

263

접종률

25.1

18.6

25.2

25.9

11.2

35.4

27.2

33.8

28.8

19.8

18.0

32.7

42.1

34.0

15.7

21.9

46.0

18.5

병원급이상의료기관

대상자

330,134

88,093

27,986

22,052

12,200

15,477

9,504

5,096

223

65,137

9,100

5,399

9,084

12,089

12,209

12,336

21,806

2,343

접종자

177,684

35,307

13,931

11,086

8,797

9,240

4,855

3,610

191

38,773

3,960

3,986

5,313

8,172

6,269

8,158

14,420

1,616

접종률

53.8

40.1

49.8

50.3

72.1

59.7

51.1

70.8

85.7

59.5

43.5

73.8

58.5

67.6

51.3

66.1

66.1

69.0

코로나치료병원

대상자

56,816

12,876

3,991

2,910

8,062

1,090

3,408

2,436

747

8,989

1,185

2,629

1,428

1,105

778

1,869

1,505

1,808

접종자

8,051

3,457

245

662

515

191

0

32

0

691

806

103

453

93

275

0

528

0

접종률

14.2

26.8

6.1

22.7

6.4

17.5

0.0

1.3

0.0

7.7

68.0

3.9

31.7

8.4

35.3

0.0

35.1

0.0

* 접종대상 : (아스트라제네카) 요양병원·요양시설 등의 만 65세 미만 입소자·종사자, 1차 대응요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화이자)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 정신의료기관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정신 의료기관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환자를 포함함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3.10일 0시 기준)는 총 5,786건*(신규 935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되더라도 1명으로 분류


  - 5,717건(신규 927건)은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두통, 발열, 메스꺼움, 구토 등 사례였으며,


  - 50건(신규 7건)의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경련 등 4건(신규 0건)의 중증 의심 사례, 15건(신규 1건, 중증의심사례 사망 1건)의 사망 사례가 보고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아나필락시스로 구분


【코로나19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신고현황(3.10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구분

접종자수

(누계)

합계

일반1)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2)

중증
의심사례3)

사망사례4)

전체

신규

446,941

935

927

7

0

1

누계

5,786

5,717

50

4

15(1)

아스트라제네카

신규

438,890

934

927

6

0

1

누계

5,755

5,687

49

4

15(1)

화이자

신규

8,051

1

-

1

-

-

누계

31

30

1

-

-

1) 근육통, 두통, 발열, 메스꺼움 등의 사례

2) 아나필락시스양 반응(49)* 및 아나필락시스 쇼크(1) 의심사례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사례

* 예방접종 후 2시간 이내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로 아나필락시스와는 다름

3) 경련(1), 중환자실 입원(4건에서 1건은 사망으로 변경되어 총 3건임) 포함

4) ( )는 중증 의심사례에서 사망으로 변경된 사례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이며,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등의 중증사례에 한해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인과성을 평가함


  - 사망 사례는 신규 신고사례 1건과 중증 의심사례에서 사망으로 변경된 1건으로 다음과 같으며, 해당 사례는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신규 사망 사례 현황】


연번

인적사항

접종대상

접종일

사망일

접종 후

사망까지 시간

기저

질환

1*

50/

요양병원 (입원환자)

‘21. 3. 3.

‘21. 3. 9.

522

2

50/

요양병원 (종사자)

‘21. 3. 3.

‘21. 3. 9.

62

조사중

* 중증 의심사례에서 사망으로 변경된 사례


□ 추진단은 필수 활동 목적으로 국외방문이 불가피한 경우 개인의 감염 예방과 바이러스 유입으로부터 지역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시행 절차를 마련하였다. 


 ○ 적용 대상은 국방·외교 등 국익과 직결되는 업무 수행*을 위한 출국과 중요한 경제활동, 공익목적**으로 3개월 내외의 단기국외방문자로,


   * 공무상 국외출장, 해외파병장병, 재외공관 파견 등,  ** 올림픽 참가 등


  - 국외 방문이 필요한 중대하거나 공익적인 사유가 있으면서, 방문예정국(또는 방문 기관)에서 백신접종 증명서를 요구하거나 코로나19 감염 및 전파 위험이 높은 지역, 변이바이러스 발생지역을 방문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 접종소요기간은 2차 접종까지 완료하여야 하는 코로나19 예방접종의 특성을 반영하면 신청부터 접종 완료까지 약 2개월 정도로 예상된다.


  - 신청인은 수시로 업무 소관 부처와 기업인 출입국 종합지원센터에 신청할 수 있고, 각 부처의 기준에 따라 심사(소관 부처) 후 질병관리청의 승인이 완료되면 신청인 거주지(또는 근무지) 관할 보건소 등에서 접종을 완료하면 된다.


 ○ 접종완료자는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 또는 정부24 시스템을 통해 국·영문으로 예방접종증명서를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으며, 예방접종을 완료하였더라도 마스크 착용, 입국 시 격리조치 이행 등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하여야한다.


 ○ 필수활동 목적 출국 시 코로나19 예방접종 절차에 대한 세부지침 등은 이번 주 내 관계부처에 공유하고, 질병관리청 누리집에 게시될 예정이며,


  - 일반 기업인 및 공무국외출장자의 경우 3.17일(수)부터 신청이 가능하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 ∼ ’21.3.14.)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 ∼ ’21.3.14.)
           5. 필수활동 목적 출국 시 코로나19 예방접종 절차
           6.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7.「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2.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시 행동요령 점검표
           3.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4.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5.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6.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7.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8.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9.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10.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1.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2.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3.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4.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0.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1.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