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2.)
  • 작성일2021-03-12
  • 최종수정일2021-09-1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전략기획팀
  • 연락처043-719-9365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2.)


※ 붙임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5. ~ ’21.3.28.) 중 ④ 일상 및 사회경제적 활동-'마스크 착용 의무화' 설명 중 일부 수정(3.15., 16:40)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3월 12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67명, 해외유입 사례는 21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94,686명(해외유입 7,267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5,679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8,386건(확진자 75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64,065건, 신규 확진자는 총 488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1,068명으로 총 85,743명(90.56%)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7,28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26명, 사망자는 1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662명(치명률 1.76%)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3.12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467

138

14

4

29

2

0

4

2

157

12

27

3

4

4

9

56

2

누계

87,419

28,740

3,250

8,549

4,424

2,036

1,148

994

218

24,067

1,914

1,852

2,358

1,154

830

3,178

2,136

571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3.12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21

0

10

2

6

3

0

6

15

9

12

누계

7,267

40

3,239

1,249

2,360

356

23

3,037

4,230

3,915

3,352

(0.6%)

(44.5%)

(17.2%)

(32.5%)

(4.9%)

(0.3%)

(41.8%)

(58.2%)

(53.9%)

(46.1%)

*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2명(2명), 인도 1명, 인도네시아 2명(1명), 바레인 1명, 베트남 1명, 파키스탄 1명(1명), 방글라데시 2명(1명), 유럽 : 터키 1명(1명), 우크라이나 1명(1명), 아메리카 : 미국 6명(3명), 아프리카 : 이집트 1명(1명), 나이지리아 1명(1명), 카메룬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3.11.() 0시 기준

84,675

7,871

127

1,652

3.12.() 0시 기준

85,743

7,281

126

1,662

변동

(+)1,068

(-)590

(-)1

(+)10

* 3.110시부터 3.12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3월 12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3월 1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67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418.3명), 수도권에서 324명(69.4%) 비수도권에서는 143명(30.6%)이 발생하였다.


(주간 : 3.6~3.12, 단위 :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3.12(0시 기준)

467

324

32

10

13

74

12

2

주간 일 평균

418.3

312.9

26.9

16.9

11.4

32.9

14.6

2.9

주간 총 확진자 수

2,928

2,190

188

118

80

230

102

20


 ○ 수도권


(주간 : 3.6~3.12, 단위 : )

구분

3.6.

3.7.

3.8.

3.9.

3.10.

3.11.

3.12.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수도권

317

323

240

299

354

333

324

312.9

2,190

서울

126

127

97

98

132

137

138

122.1

855

인천

19

27

15

20

23

18

29

21.6

151

경기

172

169

128

181

199

178

157

169.1

1,184


  - (서울 도봉구 아동시설 관련) 3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가족 7명(지표포함), 종사자 5명, 이용자 4명, 지인 1명


  - (서울 성동구 교회 관련) 3월 8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4명*이다.


    * (구분) 교인 8명(지표포함), 가족 3명, 지인 2명, 기타 1명


  - (서울 강동구 고등학교 관련) 3월 10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2명*이다.


    * (구분) 학생 17명(지표포함, +1), 가족 5명(+4)


  - (서울 은평구 학원 관련) 3월 2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4명*이다.


    * (구분) 지인 1명(지표환자), 종사자 1명, 원생 10명, 가족 2명 


  - (경기 안성시 축산물공판장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3명*이다.


    * (구분) 직원 85명(지표포함, +2), 가족 및 지인 28명(+4)


  - (경기 동두천시 외국인집단발생 관련) 임시선별검사를 통해 3명의 외국인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67명*이다.


구분

2.28.

3.1.~7

3.8

3.9

3.10

3.11

동두천시 검사건

4,292

509

2,484

281

373

306

339

외국인 확진자*

167

-

151

3

6

4

3


    * 확진일 기준 분류로 전일 검사자 다수 포함


  - (경기 김포시 접착제제조업 관련) 접촉자 조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직원 13명(지표포함, +2)


  - (경기 하남시 운동시설2 관련) 3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이용자 10명(지표포함), 가족 2명, 지인 1명


  - (경기 화성시 댄스교습학원 관련) 접촉자 조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이용자 11명(지표포함, +1), 가족 5명(+1), 지인 1명(+1)


  - (경기 성남시 중원구 운동시설 관련) 3월 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이용자 8명(지표포함), 가족 2명, 지인 2명


  - (경기 성남시 화장품제조업 관련) 3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직원 8명(지표포함), 가족 3명


 ○ 충청권


(주간 : 3.6~3.12, 단위 : )

구분

3.6.

3.7.

3.8.

3.9.

3.10.

3.11.

3.12.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충청권

30

17

35

36

27

11

32

26.9

188

대전

-

1

-

1

3

1

-

0.9

6

세종

1

2

1

-

-

-

2

0.9

6

충북

22

8

20

21

18

6

27

17.4

122

충남

7

6

14

14

6

4

3

7.7

54


  - (충북 음성군 유리제조업 관련) 3월 9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8명*이다.


    * (구분) 종사자 28명(지표포함, +4)


 ○ 호남권


(주간 : 3.6~3.12, 단위 : )

구분

3.6.

3.7.

3.8.

3.9.

3.10.

3.11.

3.12.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호남권

8

15

24

41

9

11

10

16.9

118

광주

1

4

14

32

1

1

2

7.9

55

전북

4

5

4

7

5

7

4

5.1

36

전남

3

6

6

2

3

3

4

3.9

27


  - (전북 전주시 피트니스 관련) 3월 9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79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피트니스 관련

63(+7)

종사자 2(지표포함), 이용자 47(+3), 지인 3, 가족 6(+4), 기타 5

주점 관련

9(+1)

이용자 6, 지인 1, 기타 1, 동료 1(+1)

지인모임 관련

7

지인 7


 ○ 경북권


(주간 : 3.6~3.12, 단위 : )

구분

3.6.

3.7.

3.8.

3.9.

3.10.

3.11.

3.12.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북권

16

19

8

5

5

14

13

11.4

80

대구

3

8

6

3

1

4

4

4.1

29

경북

13

11

2

2

4

10

9

7.3

51


  - (대구 중구 가족/체육시설 관련) 3월 9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가족 관련

4

가족 4(지표포함)

체육시설 관련

9(+2)

종사자 2, 방문자 6(+2), 가족 1


  - (경북 고령 제조업 관련) 3월 11일 외국인근로자 선제검사로 총 6명*이 확진되었다.


    * (구분) 종사자 6명(지표포함)


 ○ 경남권


(주간 : 3.6~3.12, 단위 : )

구분

3.6.

3.7.

3.8.

3.9.

3.10.

3.11.

3.12.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남권

21

11

15

31

35

43

74

32.9

230

부산

12

6

12

19

7

13

14

11.9

83

울산

4

2

3

11

21

23

4

9.7

68

경남

5

3

-

1

7

7

56

11.3

79


  - (부산 서구 종합병원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7명*이다.


    * (구분) 환자 12명(지표포함, +2), 종사자 2명, 보호자 1명, 가족 4명(+2), 지인 2명, 기타 6명(+1)


  - (부산 서구 항운노조2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종사자 11명(지표포함), 가족 3명(+1), 지인 1명, 기타 2명


  - (울산 북구 목욕탕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45명*이다.


    * (구분) 이용객 27명(지표포함, +2), 가족 13명(+3), 기타 5명


  - (경남 진주시 골프장/목욕탕 관련) 3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4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45명*이다.


    * (구분) 종사자 4명, 방문자 31명, 가족 9명(지표포함), 지인 1명


  - (경남 진주/사천시 가족모임 관련) 3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 (구분) 가족 10명(지표포함), 지인 1명, 기타 2명


 ○ 강원권


(주간 : 3.6~3.12, 단위 : )

구분

3.6.

3.7.

3.8.

3.9.

3.10.

3.11.

3.12.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강원권

7

10

10

13

20

30

12

14.6

102


  - (강원 평창군 숙박시설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4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숙박시설 관련

7

종사자 4(지표포함), 가족 3

직장 관련

5

가족의 지인 1, 동료 4

기타

12(+2)

가족의 지인 및 기타 12(+2)


    * (추정감염경로) 숙박시설 종사자 → 직장 동료/가족 → 지인 및 기타


  - (강원 평창군 가족모임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0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가족모임 관련

13

가족 12(지표포함), 지인 1

기타

7(+2)

지인의 가족 4(+2), 기타 3


 ○ 제주권


(주간 : 3.6~3.12, 단위 : )

구분

3.6.

3.7.

3.8.

3.9.

3.10.

3.11.

3.12.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제주권

5

4

3

2

2

2

2

2.9

20


  - (제주 제주시 볼링장2 관련) 접촉자 조사 중 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8명*이다.


    * (구분) 방문자 4명(지표포함), 가족 3명, 지인 1명(+1)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춤무도장, 피트니스 센터 등 실내체육시설에서의 집단발생 사례 보고가 지속됨에 따라 세부 상황 설명과 감염 예방을 위해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21년 1월 이후 21건(수도권 11건, 비수도권 10건)의 실내체육시설관련 집단사례를 통해 총 644명의 확진자가 발생했고, 평균 확진자 발생기간*은 20.4일(최장 47일)이었다. 


    * 발생기간 : 지표환자 확진일부터 마지막 환자 확진일까지


   - 시설별로는 △헬스장 8건, △무도장 4건, △복합체육시설·태권도장·볼링장·골프연습장 각 2건, △탁구장 1건 발생하였으며,


   - 지역별로는 △경기 7건, △서울 4건, △대구 3건, △제주 2건, △울산·강원·충남·전북·경북 각 1건 발생하였다.


   - 주요 전파경로는 실내체육시설 내 운동‧춤추기 등의 활동을 통해 종사자와 이용자에게 1차 전파(332명/644명)가 이루어졌고, 이후 가족 및 지인에게 추가 전파되면서 발생규모가 확대되었다.


     * 전체 발생의 약 48.4%(312명/644명), 다양한 장소(가정‧식당‧주점‧직장 등)에서 추가 전파 


   -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증상 발생 후 시설 방문·이용, △격렬한 호흡, 구령외치기 등 비말발생 많은 활동, △이용자 간 거리두기 미준수,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 불량, △환기 불충분, △공용공간 관리 미흡, △운동 전후 시설 인근에서 함께 음식 섭취 등이 있었다.
 
 ○ 대표적인 사례로는 ‘전북 전주시 피트니스 관련’으로 운동시설 종사자 및 이용자의 감염 이후 가족‧지인‧주점 방문자까지 추가 전파가 되어 총 79명이 확진(3.12일 기준)되었다.
 
 ○ 방역당국은 실내체육시설의 경우 환기가 불충분한 공간에서 다수가 이용하고, 비말발생 많은 활동을 함께 진행함에 따라 감염 및 전파 위험이 증가하므로 감염 예방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며,


   - 이용자와 종사자에게는 △의심 증상 시 시설 방문 자제, △운동 시 올바른 마스크 착용, △시설 이용 중 수시 손 소독, △물‧음료 이외 음식물 섭취 자제, △시설 내 거리두기 준수,  △운동 후 사적모임 자제 등을 당부하였으며,


   - 시설 운영자에게는 △의심증상자 출입제한, △이용자의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에 대한 철저한 관리, △시설 이용자 밀도 완화(4㎡당 1명), △공용공간‧물품에 대한 주기적인 소독 및 환기 준수 등을 요청하였다.


【‘21년 1월 이후 실내체육시설 집단감염(3.12일 0시 기준)】


구분

주요 집단명

확진자 수 ()

최초확진일

(발생기간)

시설 내

추가전파

(21)

644

332

312

평균 20.4

헬스장

(8)

전북 전주시 피트니스 관련

79

49

30

2.24. (16~)

서울 구로구 체육시설 관련

60

32

28

2.9. (31~)

경기 용인시 운동선수/운동시설 관련

39

24

15

2.19. (21~)

대구 동구 체육시설 관련

23

10

13

1.27. (22)

경기 하남시 운동시설 관련

11

8

3

3.6. (6~)

서울 송파구 실내 체육시설 관련

8

4

4

2.23. (17~)

대구 중구 가족 관련_체육시설 관련

9

8

1

3.3 (9~)

강원 원주시 헬스장 관련

6

5

1

3.2. (10~)

무도장

(4)

경기 성남시 춤무도장 관련

98

45

53

2.13. (27~)

경기 고양시 춤무도장 관련

89

51

38

2.3. (37~)

경기 의정부시 무도장 관련

13

10

3

2.16. (24~)

경기 화성시 댄스교습학원 관련

16

11

5

3.6. (6)~

체육센터

(2)

서울 성북구 체육시설 관련

24

9

15

2.9. (31~)

충남 보령시 체육센터 관련

7

2

5

1.24. (47)

태권도장

(2)

경북 안동시 태권도장 관련

58

30

28

1.26. (19)

경기 수원시 태권도장/어린이집 관련

10

2

8

2.27. (13~)

볼링장

(2)

제주 제주시 볼링장 관련

8

5

3

2.28. (12~)

제주 제주시 볼링장2 관련

8

4

4

3.6. (6~)

골프연습장

(2)

대구 북구 스크린골프장 관련

33

7

26

1.19. (33)

부산 북구 장례식장/울산골프연습장 관련

21

3

18

2.12. (28~)

탁구장(1)

서울 서대문구 체육시설 관련

24

13

11

2.4. (14)


* 역학조사 결과 변동 가능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3월 12일 0시 기준 신규로 42,527명이 추가 접종받아 546,277명*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이 69.4%였다고 밝혔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526,414명, 화이자 백신 19,863명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현황(3.12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42,527

10,940

2,620

1,795

2,303

1,439

1,482

429

201

9,534

2,319

770

1,246

1,050

2,202

2,197

1,452

548

누계

546,277

84,663

42,808

27,263

28,841

23,953

15,971

9,678

1,081

116,720

17,373

16,248

25,467

26,278

28,530

30,670

45,355

5,378

* 226, 227, 32310일 접종자 3,115명이 311일 추가로 등록되어 누계에 포함됨(신규 현황은 당일접종(3.11)을 의미함)

상기 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은 176,177명(86.3%), 요양시설은 80,756명(74.4%), 1차 대응요원은 34,775명(46.2%),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234,706명(68.7%),


  - 코로나19 환자치료병원은 19,863명(34.5%)이 예방접종을 받았다.


【접종기관ㆍ대상자별 예방접종 현황(3.12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대상자

787,302

139,330

62,057

41,017

44,412

29,702

24,916

14,827

2,264

169,291

24,870

23,194

32,453

32,623

37,999

43,178

56,228

8,941

접종자

546,277

84,663

42,808

27,263

28,841

23,953

15,971

9,678

1,081

116,720

17,373

16,248

25,467

26,278

28,530

30,670

45,355

5,378

접종률

69.4

60.8

69.0

66.5

64.9

80.6

64.1

65.3

47.7

68.9

69.9

70.1

78.5

80.6

75.1

71.0

80.7

60.1

요양병원

대상자

204,188

17,162

21,283

8,752

10,825

8,897

6,090

4,774

342

47,435

3,985

6,203

9,350

9,827

12,248

15,169

20,958

888

접종자

176,177

13,614

18,966

7,419

9,252

8,050

5,375

4,194

325

39,618

3,255

5,555

8,408

8,980

10,949

12,653

18,796

768

접종률

86.3

79.3

89.1

84.8

85.5

90.5

88.3

87.9

95.0

83.5

81.7

89.6

89.9

91.4

89.4

83.4

89.7

86.5

요양시설

대상자

108,609

7,741

3,727

4,608

7,614

2,083

3,795

1,248

368

32,424

5,639

5,508

6,203

5,070

5,707

7,664

6,721

2,489

접종자

80,756

6,408

3,211

3,687

5,274

1,983

2,212

860

197

20,066

4,120

4,157

5,627

4,539

4,912

5,469

5,980

2,054

접종률

74.4

82.8

86.2

80.0

69.3

95.2

58.3

68.9

53.5

61.9

73.1

75.5

90.7

89.5

86.1

71.4

89.0

82.5

1차 대응요원

대상자

75,294

10,166

4,017

1,970

4,717

1,555

1,473

1,250

584

12,400

4,409

3,437

6,212

4,404

6,357

6,005

4,917

1,421

접종자

34,775

3,838

1,994

880

1,349

940

792

745

368

4,280

1,863

1,811

4,101

2,706

2,279

2,710

3,500

619

접종률

46.2

37.8

49.6

44.7

28.6

60.5

53.8

59.6

63.0

34.5

42.3

52.7

66.0

61.4

35.9

45.1

71.2

43.6

병원급이상의료기관

대상자

341,633

91,072

29,041

22,769

12,975

16,077

10,153

5,119

223

67,851

9,635

5,449

9,197

12,219

12,906

12,469

22,128

2,350

접종자

234,706

51,804

18,392

14,478

10,488

12,356

7,592

3,847

191

49,940

6,973

4,622

6,295

9,960

10,035

9,468

16,328

1,937

접종률

68.7

56.9

63.3

63.6

80.8

76.9

74.8

75.2

85.7

73.6

72.4

84.8

68.4

81.5

77.8

75.9

73.8

82.4

코로나치료병원

대상자

57,578

13,189

3,989

2,918

8,281

1,090

3,405

2,436

747

9,181

1,202

2,597

1,491

1,103

781

1,871

1,504

1,793

접종자

19,863

8,999

245

799

2,478

624

0

32

0

2,816

1,162

103

1,036

93

355

370

751

0

접종률

34.5

68.2

6.1

27.4

29.9

57.2

0.0

1.3

0.0

30.7

96.7

4.0

69.5

8.4

45.5

19.8

49.9

0.0

* 접종대상 : (아스트라제네카) 요양병원·요양시설 등의 만 65세 미만 입소자·종사자, 1차 대응요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화이자)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 정신의료기관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정신 의료기관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환자를 포함함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3.12일 0시 기준)는 총 7,648건*(신규 789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 되더라도 1명으로 분류


  - 7,567건(신규 785건)은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였으며,


  - 61건(신규 4건)의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경련 등 5건의 중증 의심 사례, 15건의 사망 사례가 보고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아나필락시스 반응으로 구분


【코로나19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신고현황(3.12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구분

접종자수

(누계)

합계

일반1)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2)

중증
의심사례3)

사망사례

전체

신규

546,277

789

785

4

0

0

누계

7,648

7,567

61

5

15

아스트라제네카

신규

526,414

765

762

3

0

0

누계

7,567

7,489

58

5

15

화이자

신규

19,863

24

23

1

-

-

누계

81

78

3

-

-

1) 근육통, 두통, 발열, 메스꺼움 등의 사례

2) 아나필락시스양 반응(60)* 및 아나필락시스 쇼크(1) 의심사례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사례

* 예방접종 후 2시간 이내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로 아나필락시스와는 다름

3) 경련 등 신경계(2), 중환자실 입원(3) 포함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이며,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등의 중증사례에 한해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인과성을 평가함


□ 추진단은 유럽의 일부 국가들에서 발생하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접종 중단 동향과 관련하여 동일한 일련번호(batch ABV 5300)의 백신이 국내에 수입된 바 없다고 밝혔다.


 ○ 3월 12일 0시 기준으로, 현재까지 총 546,277명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에 혈전색전증 등 유사한 이상반응으로 신고된 건은 없으며,


 ○ 앞으로도 국외의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는 한편, 국내에 유사한 상황이 인지되면 신속히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국외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접종 중단 동향】


오스트리아에서는 비슷한 시기동일한 지역에서, 동일한 일련번호(batch ABV 5300)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기저질환이 없는 젊은 여성 2에서, 유사한 이상반응(혈전색전증 등)이 나타나, 1명이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한 바 있었음

 

오스트리아 당국은 이상징후에 대한 심층조사와 함께 해당 일련번호의 백신에 대해 예방접종을 중단하였음

 

이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또는 해당 일련번호의 백신에 대해 당분간 접종을 중단하는 결정을 하였음

 

이에 대해 유럽의약품청(EMA)은 사망의 원인과 백신과는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발표하였으며(310), 백신의 임상시험에서도 혈전색전증은 이상반응으로 확인된 바가 없다고 설명하였음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5.∼’21.3.28.)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5.∼’21.3.28.)
           5. 전북 전주시 피트니스 관련 세부현황(’21.3.12. 0시 기준)
           6.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7.「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2.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시 행동요령 점검표
           3.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4.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5.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6.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7.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8.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9.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10.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1.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2.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3.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4.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0.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1.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