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6.,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1-03-16
  • 최종수정일2021-09-17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전략기획팀
  • 연락처043-719-9365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6., 정례브리핑)     ※ 21쪽 날짜 수정(19:30)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3월 16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45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96,380명(해외유입 7,336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1,137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1,737건(확진자 45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2,874건, 신규 확진자는 총 363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501명으로 총 88,255명(91.57%)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6,447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03명, 사망자는 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678명(치명률 1.74%)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3.16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345

75

6

3

14

1

1

3

0

146

12

3

4

6

1

4

64

2

누계

89,044

29,173

3,290

8,569

4,501

2,041

1,152

1,000

220

24,733

1,970

1,887

2,377

1,171

834

3,204

2,344

578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3.16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18

0

12

1

4

1

0

7

11

10

8

누계

7,336

41

3,277

1,258

2,379

358

23

3,063

4,273

3,949

3,387

(0.6%)

(44.7%)

(17.1%)

(32.4%)

(4.9%)

(0.3%)

(41.8%)

(58.2%)

(53.8%)

(46.2%)

*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1명(1명), 인도 2명, 인도네시아 3명(3명), 아랍에미리트 1명(1명), 태국 1명, 요르단 1명, 파키스탄 1명(1명), 카자흐스탄 1명, 방글라데시 1명(1명), 유럽 : 네덜란드 1명, 아메리카 : 미국 1명, 멕시코 2명, 브라질 1명(1명), 아프리카 : 이집트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3.15.() 0시 기준

87,754

6,588

99

1,675

3.16.() 0시 기준

88,255

6,447

103

1,678

변동

(+)501

(-)141

(+)4

(+)3

* 3.150시부터 3.16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3월 16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3월 16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345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426.9명), 수도권에서 235명(68.1%) 비수도권에서는 110명(31.9%)이 발생하였다.


(주간 : 3.10~3.16, 단위 :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3.16(0시 기준)

345

235

8

8

7

73

12

2

주간 일 평균

426.9

312.4

18.6

8.0

11.1

58.0

16.9

1.9

주간 총 확진자 수

2,988

2,187

130

56

78

406

118

13


 ○ 수도권


(주간 : 3.10~3.16, 단위 : )

구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수도권

354

333

324

324

326

291

235

312.4

2,187

서울

132

137

138

138

108

112

75

120.0

840

인천

23

18

29

26

19

18

14

21.0

147

경기

199

178

157

160

199

161

146

171.4

1,200


  - (서울 관악구 미용업/중구 의원 관련) 3월 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2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3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관악구 미용업 관련

18

1(지표환자), 종사자 1, 이용자 2, 가족 3, 기타 11

중구 의원 관련

5

종사자 4, 이용자 1


  - (서울 성동구 직장/양천구 교회 관련) 3월 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4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성동구 직장 관련

2

종사자 2(지표포함)

양천구 교회 관련

12

교인 6, 가족 6


  - (경기 부천시 화장품 제조업 관련) 3월 12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1명*이다.


    * (구분) 직원 7명(지표포함), 가족 4명


 ○ 충청권


(주간 : 3.10~3.16, 단위 : )

구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충청권

27

11

32

26

8

18

8

18.6

130

대전

3

1

-

1

-

2

1

1.1

8

세종

-

-

2

-

-

2

-

0.6

4

충북

18

6

27

16

7

9

3

12.3

86

충남

6

4

3

9

1

5

4

4.6

32


  - (세종시 보험회사 관련) 3월 11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직장 관련

6

가족 2(지표포함), 동료 2, 동료가족 2

보험회사 관련

4

종사자 3, 지인 1


  - (충북 제천시 사우나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41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사우나 관련

18(+1)

지표환자 1, 가족 4, 종사자 3, 이용자 7(+1), 지인 3

학원 관련

9(-1)

가족 2(-1)* , 학생 7

주유소 관련

14(+14)

종사자 4, 가족 5, 지인 5


    * 역학조사 결과 관계 재분류(가족 1명을 이용자로 재분류함)


 ○ 경북권


(주간 : 3.10~3.16, 단위 : )

구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북권

5

14

13

21

11

7

7

11.1

78

대구

1

4

4

9

4

4

3

4.1

29

경북

4

10

9

12

7

3

4

7.0

49


  - (경북 예천군 요양병원 관련) 3월 6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명*이다.


    * (구분) 종사자 2명(지표포함), 환자 2명, 가족 1명


  - (경북 고령군 사업장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7명*이다.


    * (구분) 종사자 17명(지표포함, +5**)


    ** 역학조사 결과 관계 재분류(가족 2명을 종사자로 재분류함)


 ○ 경남권


(주간 : 3.10~3.16, 단위 : )

구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남권

35

43

74

79

66

36

73

58.0

406

부산

7

13

14

17

13

4

6

10.6

74

울산

21

23

4

1

1

1

3

7.7

54

경남

7

7

56

61

52

31

64

39.7

278


  - (경남 진주시 목욕탕2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26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76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목욕탕2 관련

172

(+26**)

방문자 118, 종사자 4, 가족 22, 동료 12, 지인 5, 기타 11

골프장 관련

4

동행자 2(지표포함), 가족 1, 지인 1


    * (추정감염경로) 목욕탕 → 가족/친척(골프장)/동료 → 직장/가족


    ** 역학조사 결과 관계 재분류 중


  - (경남 진주시 회사 관련) 3월 1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3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회사 관련

9

종사자 5(지표포함), 가족 2, 지인 1, 기타 1

목욕탕3 관련

4

방문자 3, 종사자 1


  - (경남 거제시 유흥시설 관련) 3월 1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3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4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목욕탕 관련

3

종사자 1(지표포함), 방문자 1, 가족 1

유흥시설 관련

31

종사자 17, 이용자 7, 지인 2, 가족 4, 기타 1


   * (추정감염경로) 유흥시설 종사자 → 목욕탕 방문


 ○ 강원권


(주간 : 3.10~3.16, 단위 : )

구분

3.10.

3.11.

3.12.

3.13.

3.14.

3.15.

3.16.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강원권

20

30

12

18

16

10

12

16.9

118


  - (강원 속초시 체조원* 관련) 3월 1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4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5명**이다.


    * (업종) 자세교정 및 운동시설


    ** (구분) 가족 2명(지표포함), 지인 4명, 이용자 3명, 기타 6명


  - (강원 동해시 마트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가족 5명(지표포함), 동료 4명, 동료가족 3명(+3)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울산·경남지역에서 목욕탕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감염 확산 사례를 소개하면서, 감염 예방과 추가 전파 최소화를 위해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울산광역시 목욕탕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3월 7일 지표환자 확진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를 통해 총 53명이 확진되었고,


  - 진주시 목욕탕2 집단감염 사례는 3월 9일 지표환자 확진 이후 총 176명이 확진되었다.
 
 ○ 두 사례 모두 증상 발생 이후에도 자주 목욕탕을 이용하면서 시설 이용자(특히, 정기회원)와 종사자들이 1차 감염된 후,


  - 가족, 동료들을 통해 지역사회 직장, 학원, 어린이집, 다중이용시설에 추가 전파가 이루어졌다.


【울산/경남 진주 목욕탕 관련 집단사례 관련 일반현황(3.16일 0시 기준)】


구분

추정노출

확진자

기간

노출상황

1차전파자

추가전파

울산시

목욕탕

2.263.8

5층 건물 : 1층 편의점, 2/3층 목욕탕, 4층 헬스장(스피닝, 요가프로그램)

1400명대 이용(회원 500)

목욕탕/헬스장(스피닝/요가) 이용

방문자 24

가족 18

편의점 4

기타 7

진주시

진주시 목욕탕

2.263.10

4층 건물: 2/3층 목욕탕, 4층 헬스장

회원 290, 3~4회 방문

목욕탕/헬스장 이용

방문자 118

종사자 4

가족 22

동료 12

지인 5

기타 11

골프장 3

3.4.

3.5.

3.9.

가족/친척 4, 지인2 이용

동행자 2

가족 1

지인 1


 ○ 위험요인으로는 지역사회 주거지역(주택가) 목욕탕의 특성상,


  - 주로 지역주민이 정기회원으로 등록하고 주 2~3회 이상 목욕탕과 헬스장을 이용하면서 회원간 모임의 장소 기능도 하여 서로간의 노출 기회가 증가하였다.


  - 특히, 감기·몸살 등 증상이 있는 경우, 목욕탕에서 ‘몸을 풀기 위해’ 빈번하게 방문하면서 해당 장소에서 반복, 지속적인 노출이 발생하였으며,


  - 그 밖에도 △환기 불충분한 환경, △시설 내 공용공간(탈의실, 사우나, 헬스장 등)에 장시간 체류, △마스크 지속 착용이 어려운 여건, △정기회원 간 빈번한 접촉·모임 등이 확인되었다.


 ○ 방역당국은 목욕탕 관리자에게는 △발열 이외 의심증상(몸살, 호흡기 증상)이 있는 이용자 출입금지, △이용자 인원 제한(시설 면적 4㎡당 1명 미만), △주기적인 환기 등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 목욕탕 이용자들에게 △감기·몸살 증상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을 우선 방문할 것을 강조하고, △목욕탕, 헬스장과 같은 실내 다중이용시설 이용 시 타인과의 대화 자제, △필요한 활동만 하면서 가능하면 체류 시간을 줄여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수도권 집단감염 사례에서 유증상자 이용에 따른 사업장·다중이용시설 내 감염 전파 사례가 빈번하다고 밝히며, 국민들께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외출을 자제하고, 신속하게 검사를 받아줄 것을 요청하였다.


 ○ 국내 코로나19 발생의 70~80%를 차지하는 수도권 유행에 대한 분석 결과, 최근 사업장ㆍ다중이용시설 중심(약 60%)으로 집단감염이 증가하였다고 설명하면서,
 
   - 특히, 유증상자의 근무 또는 시설 이용을 통해 감염 및 전파된 사례가 전체 집단감염 관련 사례의 23%이었으며,
 
   -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집단생활 내 방역관리 미흡, ▲실내 과밀환경, ▲마스크 미착용 등이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 방역당국은 환자 조기 발견 및 추가 확산 차단을 위해서는 ▲유증상자 즉시 검사 및 ▲거리두기 적극 참여 등 개인 및 관련업체(기관)의 자발적인 방역대응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 국민들께 조금이라도 의심증상이 있으면, ▲출근을 자제하고, ▲사우나, 실내체육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방문·이용은 금지하며, ▲선별검사소에서 즉시 검사를 받을 것도 재차 당부하였다.


 ○ 아울러, 아래의 세가지 수칙 준수를 요청하였다. 
 
   - 첫째, 장소‧상황을 불문하고, 실내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한다.


    ▪실외에서도 2m이상 거리유지가 안되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상황(식사‧음주‧흡연)은 가급적 피한다.
 
   - 둘째, 5인 이상 집합금지 등 거리두기를 실천한다.


    ▪2주간 연장된 거리두기(3월 15일∼,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와 방역수칙을 충실히 이행한다.
 
   -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검사 받는다.


    ▪의료기관은 의심증상이 있는 환자가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사의뢰서를 적극 발급하고,


    ▪약국에서도 의심증상으로 약국을 방문한 환자에게 검사를 받도록 적극 독려할 것을 요청하였다.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3월 16일 0시 기준 신규로 11,922명이 추가 접종받아 602,150명*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이 75.8%였다고 밝혔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575,289명, 화이자 백신 26,861명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현황(3.16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11,922

3,216

878

358

501

339

429

130

20

2,875

654

228

247

246

563

671

454

113

누계

602,150

101,090

46,843

29,421

31,562

25,489

17,786

10,320

1,186

130,984

19,438

17,096

26,531

27,217

31,026

33,096

47,215

5,850

* 22627, 326, 38314일 접종자 1,270명이 315일 추가로 등록되어 누계에 포함됨(신규현황은 당일접종(3.15)을 의미함)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은 176,954명(86.8%), 요양시설은 86,520명(79.7%), 1차 대응요원은 44,594명(59.2%),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267,221명(76.6%),


  - 코로나19 환자치료병원은 26,861명(46.2%)이 예방접종을 받았다.


【접종기관ㆍ대상자별 예방접종 현황(3.16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대상자

794,588

142,028

62,875

41,278

44,725

29,906

25,000

14,843

2,262

171,012

25,258

23,192

32,604

32,975

38,112

43,306

56,271

8,941

접종자

602,150

101,090

46,843

29,421

31,562

25,489

17,786

10,320

1,186

130,984

19,438

17,096

26,531

27,217

31,026

33,096

47,215

5,850

접종률

75.8

71.2

74.5

71.3

70.6

85.2

71.1

69.5

52.4

76.6

77.0

73.7

81.4

82.5

81.4

76.4

83.9

65.4

요양병원

대상자

203,798

17,139

21,274

8,753

10,808

8,897

6,081

4,759

342

47,332

3,920

6,186

9,350

9,827

12,119

15,173

20,950

888

접종자

176,954

13,654

19,025

7,438

9,255

8,054

5,376

4,200

325

39,991

3,260

5,572

8,411

8,999

10,959

12,832

18,822

781

접종률

86.8

79.7

89.4

85.0

85.6

90.5

88.4

88.3

95.0

84.5

83.2

90.1

90.0

91.6

90.4

84.6

89.8

88.0

요양시설

대상자

108,566

7,752

3,726

4,605

7,610

2,081

3,798

1,246

368

32,374

5,652

5,495

6,218

5,071

5,703

7,664

6,713

2,490

접종자

86,520

6,728

3,398

3,852

5,731

1,995

2,633

1,000

217

22,382

4,529

4,404

5,663

4,600

4,969

6,074

6,168

2,177

접종률

79.7

86.8

91.2

83.6

75.3

95.9

69.3

80.3

59.0

69.1

80.1

80.1

91.1

90.7

87.1

79.3

91.9

87.4

1차 대응요원

대상자

75,309

10,206

4,050

1,984

4,727

1,580

1,472

1,233

583

12,216

4,392

3,459

6,220

4,381

6,377

6,010

5,003

1,416

접종자

44,594

5,403

2,525

1,195

2,031

1,093

988

1,008

453

6,055

2,405

2,214

4,762

2,972

3,423

3,322

3,881

864

접종률

59.2

52.9

62.3

60.2

43.0

69.2

67.1

81.8

77.7

49.6

54.8

64.0

76.6

67.8

53.7

55.3

77.6

61.0

병원급이상의료기관

대상자

348,759

93,621

29,839

23,013

13,174

16,269

10,249

5,169

223

69,624

10,094

5,456

9,286

12,594

13,130

12,560

22,104

2,354

접종자

267,221

64,429

21,650

16,018

11,336

13,597

8,617

4,080

191

56,450

8,082

4,803

6,446

10,553

11,280

10,163

17,498

2,028

접종률

76.6

68.8

72.6

69.6

86.0

83.6

84.1

78.9

85.7

81.1

80.1

88.0

69.4

83.8

85.9

80.9

79.2

86.2

코로나치료병원

대상자

58,156

13,310

3,986

2,923

8,406

1,079

3,400

2,436

746

9,466

1,200

2,596

1,530

1,102

783

1,899

1,501

1,793

접종자

26,861

10,876

245

918

3,209

750

172

32

0

6,106

1,162

103

1,249

93

395

705

846

0

접종률

46.2

81.7

6.1

31.4

38.2

69.5

5.1

1.3

0.0

64.5

96.8

4.0

81.6

8.4

50.4

37.1

56.4

0.0

* 접종대상 : (아스트라제네카) 요양병원·요양시설 등의 만 65세 미만 입소자·종사자, 1차 대응요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화이자)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 정신의료기관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정신 의료기관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환자를 포함함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3.16일 0시 기준)는 총 8,751건*(신규 404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 되더라도 1명으로 분류


  -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8,650건(신규 402건)으로 대부분이었으며,


  -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77건(신규 1건), 중증 의심 사례는 경련 등 8건(신규 1건), 사망 신고사례 16건이 보고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아나필락시스 반응으로 구분


【코로나19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신고현황(3.16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건, (%)】


구분

접종자수

(누계)

합계

신고율

(누계)

일반1)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2)

중증
의심사례3)

사망사례

전체

신규

602,150

404

1.45%

402

1

1

0

누계

8,751

8,650

77

8

16

아스트라제네카

신규

575,289

392

1.50%

391

0

1

0

누계

8,638

8,543

71

8

16

화이자

신규

26,861

12

0.42%

11

1

0

0

누계

113

107

6

0

0

1) 근육통, 두통, 발열, 메스꺼움 등의 사례

2) 아나필락시스양 반응(75)* 및 아나필락시스 쇼크(2) 의심사례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사례

* 예방접종 후 2시간 이내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로 아나필락시스와는 다름

3) 경련(1), 중환자실 입원(7) 포함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이며,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등의 중증사례에 한해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인과성을 평가하고 주간단위로 신고현황 검증을 통해 업데이트함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5.∼’21.3.28.)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5.∼’21.3.28.)
            5. 울산·경남 진주시 목욕탕 집단발생 관련 유행곡선/전파관계도
            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3.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시 행동요령 점검표
           4.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5.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6.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7.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8.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9.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10.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11.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2.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3.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4.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5.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20.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1.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2.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