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8.,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1-03-18
  • 최종수정일2021-09-24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전략기획팀
  • 연락처043-719-9365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3.18., 정례브리핑)       11쪽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 설명 전체 수정(14:55)


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3월 18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27명, 해외유입 사례는 18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97,294명(해외유입 7,371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46,577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9,906건(확진자 6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6,483건, 신규 확진자는 총 445명이다.


 ○ 신규 격리해제자는 364명으로 총 89,178명(91.66%)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6,428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00명,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1,688명(치명률 1.73%)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3.18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427

124

7

13

20

0

2

5

1

155

23

8

13

15

0

5

35

1

누계

89,923

29,417

3,307

8,596

4,542

2,041

1,155

1,008

223

25,070

2,003

1,907

2,396

1,207

834

3,213

2,424

580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3.18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18

0

7

6

5

0

0

9

9

8

10

누계

7,371

41

3,293

1,270

2,386

358

23

3,081

4,290

3,966

3,405

(0.6%)

(44.6%)

(17.2%)

(32.4%)

(4.9%)

(0.3%)

(41.8%)

(58.2%)

(53.8%)

(46.2%)

* 아시아(중국 외): 필리핀 2명(1명), 러시아 1명(1명), 인도네시아 1명, 카자흐스탄 2명(2명), 파키스탄 1명(1명), 유럽: 프랑스 1명(1명), 헝가리 2명, 루마니아 2명(2명), 몬테네그로 1명, 아메리카: 미국 4명(2명), 멕시코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3.17.() 0시 기준

88,814

6,349

100

1,686

3.18.() 0시 기준

89,178

6,428

100

1,688

변동

(+)364

(+)79

0

(+)2

* 3.170시부터 3.18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3월 18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3월 18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27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424.4명), 수도권에서 299명(70.0%) 비수도권에서는 128명(30.0%)이 발생하였다.


(주간 : 3.12~3.18, 단위 :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3.18(0시 기준)

427

299

24

15

18

47

23

1

주간 일 평균

424.4

303.1

19.6

10.3

13.6

61.9

14.4

1.6

주간 총 확진자 수

2,971

2,122

137

72

95

433

101

11


 ○ 수도권


(주간 : 3.12~3.18, 단위 : )

구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수도권

324

324

326

291

235

323

299

303.1

2,122

서울

138

138

108

112

75

120

124

116.4

815

인천

29

26

19

18

14

21

20

21.0

147

경기

157

160

199

161

146

182

155

165.7

1,160


  - (수도권 지인 모임2 관련) 3월 4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모임 관련

8

모임참석자 4(지표포함), 가족 4

스크린골프장 관련

4

이용자 1, 기타 3


    * (추정감염경로) 모임참석자(스크린골프장 종사자) → 스크린골프장


  - (서울 송파구 병원 관련) 3월 13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2명*이다.


    * (구분) 종사자 5명(지표포함), 가족 4명, 기타 3명


  - (서울 강동구 고등학교 관련) 3월 14일 이후 격리 중 5명이 추가 확진 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2명*이다.


    * (구분) 학생 24명(지표포함, +2), 가족 8명(+3)


  - (경기 간판 제조업/재활용 의류수출업 관련) 3월 13일 외국인 근로자 선제검사 후 접촉자 조사 중 1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업체 1 관련

7

직원 7

업체 2 관련

12

직원 12


    * (추정감염경로) 업체 1 직원 → 가족(업체 2)


 ○ 충청권


(주간 : 3.12~3.18, 단위 : )

구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충청권

32

26

8

18

8

21

24

19.6

137

대전

-

1

-

2

1

1

2

1.0

7

세종

2

-

-

2

-

2

1

1.0

7

충북

27

16

7

9

3

12

8

11.7

82

충남

3

9

1

5

4

6

13

5.9

41


  - (충북 제천시 사우나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1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사우나 관련

27(+5)

지표환자, 가족 7(+2), 종사자 5, 이용자 11(+3), 지인 3

학원 관련

10

가족 3, 학생 7

주유소 관련

14

종사자 4, 가족 5, 지인 5


  - (세종시 보험회사 관련)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1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직장 관련

8(+2)

가족 4(지표포함, +2), 동료 2, 동료가족 2

보험회사 관련

13(+9)

종사자 3, 지인 4(+3), 가족 5(+5), 동료 1(+1)


 ○ 호남권


(주간 : 3.12~3.18, 단위 : )

구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호남권

10

5

8

5

8

21

15

10.3

72

광주

2

2

1

1

1

-

-

1.0

7

전북

4

2

5

4

6

21

15

8.1

57

전남

4

1

2

-

1

-

-

1.1

8


  - (전북 완주군 제약회사 관련) 접촉자 조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6명*이다.


    * (구분) 종사자 11명, 가족 11명(+5), 지인 4명(지표포함, +2)


  - (전북 전주시 대학교 관련) 3월 15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9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0명*이다.


    * (구분) 학생 7명(지표포함), 가족 3명


 ○ 경북권


(주간 : 3.12~3.18, 단위 : )

구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북권

13

21

11

7

7

18

18

13.6

95

대구

4

9

4

4

3

14

13

7.3

51

경북

9

12

7

3

4

4

5

6.3

44


  - (대구 중구 사업장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7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명*이다.


    * (구분) 종사자 16명(지표포함, +5), 가족 2명(+1), 지인 1명(+1)


  - (경북 포항시 교회 관련) 3월 8일 이후 접촉자 추적관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21명*이다.


    * (구분) 교인 7명(지표포함, +1), 지인 1명, 가족 9명(+4), 기타 4명(+3)


 ○ 경남권


(주간 : 3.12~3.18, 단위 : )

구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경남권

74

79

66

36

73

58

47

61.9

433

부산

14

17

13

4

6

10

7

10.1

71

울산

4

1

1

1

3

3

5

2.6

18

경남

56

61

52

31

64

45

35

49.1

344


  - (울산 북구 목욕탕 관련) 3월 13일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9명*이다.


    * (구분) 이용객 27명(지표포함), 가족 19명(+4), 지인 1명(+1), 기타 12명(+6)


  - (경남 진주시 회사 관련) 3월 16일 이후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8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회사 관련

9

종사자 5(지표포함), 가족 2, 지인 1, 기타 1

목욕탕3 관련

9(+5)

방문자 8(+5), 종사자 1


  - (경남 진주시 목욕탕2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199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목욕탕2 관련

195

(+8)

방문자 126(+3), 종사자 4, 가족 22(+1), 동료 14, 지인 6, 기타 23(+4)

골프장 관련

4

동행자 2(지표포함), 가족 1, 지인 1


    * (추정감염경로) 목욕탕 → 가족/친척(골프장)/동료 → 직장/가족


  - (경남 거제시 유흥시설 관련) 접촉자 추적관리 중 10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58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목욕탕 관련

3

종사자 1(지표포함), 방문자 1, 가족 1

유흥시설 관련

55

(+10)

종사자 24(+4), 이용자 12, 가족 10(+4), 지인 2(-1), 동료 1(+1), 기타 6(+2)


   * (추정감염경로) 유흥시설 종사자 → 목욕탕 방문


 ○ 강원권


(주간 : 3.12~3.18, 단위 : )

구분

3.12.

3.13.

3.14.

3.15.

3.16.

3.17.

3.18.

주간 일 평균

주간 누계

강원권

12

18

16

10

12

10

23

14.4

101


  - (강원 속초시 체조원* 관련) 접촉자 조사 중 11명이 추가 확진되어 누적 확진자는 총 33명**이다.


구분

환자 구분

체조원 관련

24(+2)

이용자 6(지표포함), 지인 7, 기타 11(+2)

어린이집 관련

9(+9)

원생 4(+4), 교사 5(+5)


    * (업종) 자세교정 및 운동시설


    ** (추정감염경로) 체조원 이용자의 지인 → 어린이집 교사 접촉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삼성서울병원 등 10개 의료기관*과 함께 추진 중인 코로나19 백신접종자의 면역항체보유율 조사 추진 현황을 소개하였다.


   * 연구책임자 : 삼성서울병원 백경란 교수


 ○ 현재 접종 진행 중인 백신 2종(화이자, 아스트라제네카)의 항체보유율 조사 모집 인원은 421명(의료기관 종사자)으로,


   - 접종시기를 고려하여 각 백신접종자별로 7회씩 혈청을 수집하여 항체보유율 및 지속기간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 또한, 예방접종 후 1주일간 발열, 오한, 근육통, 관절통 등 경증을 포함한 이상반응 조사도 함께 진행 중이다.


 ○ 방역당국은 향후 접종되는 3종의 백신에 대해서도 항체보유율 및 이상반응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치료제 투약 등을 안내하였다.


 ○ 먼저, 코로나19 치료제인 ‘베클루리주(렘데시비르)’는 현재까지(3.17일 0시 기준)* 122개 병원 5,099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주(레그단비맙)’는 현재까지(3.17일 0시 기준) 47개 병원 541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혈장치료제의 경우 임상시험 목적 이외의 치료목적*으로 41건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아 사용 중이다(3.17일 기준, 지난주와 동일).


    * 다른 수단이 없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해 허가되지 않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이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 코로나19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 실무추진위원회(위원장 :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는 지난 3월 9일(화), 3월 12일(금) 각 분야별 전문위원회 회의*를 개최하였다고 설명하였다.


  * (3.9) 제10차 백신, 제1차 mRNA백신 / (3.12) 제11차 치료제, 제13차 방역물품·기기 


 ○ 각 전문위원회에서는 △코로나19 백신 면역대리지표(ICP) 연구동향, △mRNA백신 사업단 운영 방안, △치료제 개발 동향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국내·외 동향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먼저, “백신 전문위원회”에서는 범부처 협업을 통한 정부·민간 합동 ICP 확립 T/F(Task Force)를 구성(보건복지부)하여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 현황을 지속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 “mRNA백신 전문위원회” 후속조치로, mRNA 백신 개발전략 및 로드맵 마련을 위한 국내 기업별 개발 현황 및 개발 기술 수요에 대한 설문조사(3.18~3.25)를 진행할 예정이다.


   - “치료제 전문위원회”에서는 국내·외 치료제 개발현황을 공유하고, 변이바이러스 대비 광범위 효능 치료제 개발 추진 등 ’21년도 치료제 개발 및 신속 현장 적용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의 코로나19 바이러스 분양 현황(’21.3.18일 0시 기준)을 설명하였다.


 ○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총 246개 기관*에 1,041건(바이러스 329주, 핵산 712건)이 분양(’20.2.17일~’21.3.18일)**되었으며,


    * 기관 분양목적 : 백신 및 치료제 연구(82), 진단기술 연구(157), 정도관리(2), 기타(5)


   ** 자원 유전형별 : S(584), L(107), V(45), GR(52), G(50), GH(58), GV(26), GR영국(59), GH남아공(60)


   - 변이바이러스*의 경우 백신・치료제 연구와 진단기술개발 목적으로, 28개 기관에 총 119주(영국 59주, 남아공 60주)가 분양(’21.2.8일~3.18일)되었다.


    * 영국변이주(NCCP 43381, SARS-CoV-2 (hCoV-19/Korea/KDCA51463/2021; GR: B.1.1.7)


    * 남아공변이주(NCCP 43382, SARS-CoV-2 (hCoV-19/Korea/KDCA55905/2021; GH: B.1.351)

   
 [영국 및 남아공 변이바이러스 분양 현황(’21.3.18일 0시 기준)]


자원

목적

기관수

분양 건수

변이바이러스(계통형)

영국발(GR: B.1.1.7)

남아공발(GH: B.1.351)

백신·치료제 연구

10

46

23

23

진단기술연구

17

71

35

36

기타(융합연구)

1

2

1

1

28

119

59

60


 ○ 아울러, 방역당국은 추가로 확보된 브라질 변이바이러스*의 경우에도 품질확인 및 자원화가 완료되어 3월 17일(수)부터 분양 신청을 받고 있다고 밝히며,


    * 브라질변이주(NCCP 43383, SARS-CoV-2 (hCoV-19/Korea/KDCA72731/2021; GR Clade/P.2lineage)


   - 앞으로도 유관부처 및 연구기관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백신 및 치료제 개발, 진단제제 개발 등에 원천물질로 적극 활용 될 수 있도록 분양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분양 관련 문의(국립보건연구원 병원체자원관리과)- (병원체자원 분양) 043-719-6875, 6881- (온라인분양데스크 가입 및 권한 승인) 043-719-6879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행정안전부가 운영 중인 안전신문고의 신고 사례를 공유하고 방역수칙의 철저한 준수를 강조하였다.
 
    * (신고방법) 안전신문고 앱(안드로이드, IOS) 및 포털(www.safetyreport.go.kr)에서 코로나19 위반사항 등 신고 가능


 ○ 최근 스피닝, 에어로빅, 탁구장, 헬스장 등 실내 체육시설과 관련한 방역수칙 미준수 사례가 신고되었다.
 
  - △운동시설 내에서 다수가 모여 음식 섭취, △수십명이 3밀 환경‧마스크 미착용 상태로 비말발생 많은 운동 실시, △방역관리자 부재, 출입명부 및 발열체크 미실시, 환기‧소독 미흡, △운동강사 강습 시 마스크 미착용 등이 신고되었다.


 ○ 방역당국은 실내체육시설의 경우 밀폐된 실내공간을 다수가 이용하고, 격렬한 신체활동과 호흡 등 비말발생으로 코로나19 감염 및 전파의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고 강조하면서,


   - 이용자에게는 △의심증상 시 시설 방문 자제, △출입자 명부 작성, △운동 시 올바른 마스크 착용, △시설 이용 중 수시로 손 소독, △물‧음료 이외 음식물 섭취 자제, △시설 내 거리두기 준수 등을 당부하였으며,


   - 시설 책임자 및 종사자에게는 △이용자의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 관리 철저, △시설 이용자 밀도 조정(4㎡당 1명, 최소 1m거리두기), △공용공간‧물품에 대한 주기적인 소독 및 환기, △출입자 명부 관리 등 등을 요청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현재 수도권 지역 내 집단감염 다수발생, 정체된 환자 감소세 등 긴 시간 지속되고 있는 3차 유행 상황을 끝내기 위해 방역당국과 국민이 함께 방역 대응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 방역당국은 현재 유행 상황를 조속히 통제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환자를 발견하고, 집단감염 등 ▲추가 확산을 차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 ▲수도권 등 다발생 지역 중심으로 검사를 확대하고, ▲사업장‧다중이용시설 등 감염에 취약한 시설에 대한 집중 점검 및 관리를 추진하여 방역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 따라서, 국민들께서는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출근을 자제하고, ▲사우나‧실내체육시설 등 다중이용시설 이용은 금지하며, ▲선별검사소에서 즉시 검사를 받을 것을 당부하면서,


 ○ 아래의 세가지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 주실 것을 요청하였다. 
 
   - 첫째, 장소‧상황을 불문하고, 실내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한다.


    ▪실외에서도 2m이상 거리유지가 안되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상황(식사‧음주‧흡연)은 가급적 피한다.
 
   - 둘째, 5인 이상 집합금지 등 거리두기를 실천한다.


    ▪2주간 연장된 거리두기(3월 15일∼,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와 방역수칙을 충실히 이행한다.
 
   -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검사 받는다.


    ▪의료기관은 의심증상이 있는 환자가 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검사의뢰서를 적극 발급하고,


    ▪약국에서도 의심증상으로 약국을 방문한 환자에게 검사를 받도록 적극 독려할 것을 요청하였다.



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3월 18일 0시 기준 신규로 18,733명이 추가 접종받아 641,331명*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이 80.3%였다고 밝혔다.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598,353명, 화이자 백신 42,978명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현황(3.18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18,733

3,354

1,636

1,045

1,657

326

1,343

831

235

3,394

275

1,003

127

501

731

1,042

615

618

누계

641,331

108,173

51,017

31,069

34,322

26,309

19,951

12,121

1,640

139,213

20,327

18,419

27,008

28,151

32,457

35,270

48,605

7,279

* 3316일 접종자 864명이 317일 추가로 등록되어 누계에 포함됨(신규 현황은 당일접종(3.17)을 의미함)

상기 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접종기관 및 대상자별로는 요양병원은 177,463명(87.3%), 요양시설은 92,251명(85.2%), 1차 대응요원은 49,775명(66.1%),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278,864명(79.2%),


  - 코로나19 환자치료병원은 42,978명(72.0%)이 예방접종을 받았다.


【접종기관ㆍ대상자별 예방접종 현황(3.18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명, %)】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대상자

798,561

143,781

63,548

41,306

44,918

29,931

24,936

15,033

2,265

171,587

25,386

23,205

32,477

32,990

38,176

43,544

56,405

9,073

접종자

641,331

108,173

51,017

31,069

34,322

26,309

19,951

12,121

1,640

139,213

20,327

18,419

27,008

28,151

32,457

35,270

48,605

7,279

접종률

80.3

75.2

80.3

75.2

76.4

87.9

80.0

80.6

72.4

81.1

80.1

79.4

83.2

85.3

85.0

81.0

86.2

80.2

요양병원

대상자

203,287

17,084

21,233

8,740

10,811

8,889

6,042

4,681

342

47,183

3,922

6,176

9,341

9,812

12,069

15,154

20,920

888

접종자

177,463

13,664

19,041

7,496

9,266

8,054

5,383

4,204

325

40,324

3,267

5,580

8,423

9,000

10,975

12,850

18,830

781

접종률

87.3

80.0

89.7

85.8

85.7

90.6

89.1

89.8

95.0

85.5

83.3

90.3

90.2

91.7

90.9

84.8

90.0

88.0

요양시설

대상자

108,223

7,723

3,725

4,598

7,571

2,079

3,776

1,246

366

32,267

5,664

5,451

6,171

5,065

5,698

7,642

6,695

2,486

접종자

92,251

6,907

3,474

4,112

6,173

1,995

3,018

1,128

265

24,903

4,829

4,770

5,668

4,704

5,143

6,595

6,303

2,264

접종률

85.2

89.4

93.3

89.4

81.5

96.0

79.9

90.5

72.4

77.2

85.3

87.5

91.8

92.9

90.3

86.3

94.1

91.1

1차 대응요원

대상자

75,349

10,222

4,023

1,974

4,721

1,586

1,477

1,234

584

12,137

4,458

3,515

6,153

4,385

6,360

6,088

5,011

1,421

접종자

49,775

6,022

2,823

1,441

2,364

1,245

1,007

1,052

471

6,996

2,832

2,331

4,992

3,212

4,097

3,888

4,065

937

접종률

66.1

58.9

70.2

73.0

50.1

78.5

68.2

85.3

80.7

57.6

63.5

66.3

81.1

73.2

64.4

63.9

81.1

65.9

병원급이상의료기관

대상자

352,046

95,268

30,462

23,026

13,310

16,252

10,241

5,213

223

70,133

10,123

5,459

9,281

12,613

13,225

12,651

22,210

2,356

접종자

278,864

69,539

23,330

16,486

11,386

14,080

8,783

4,271

191

58,316

8,218

4,843

6,456

10,607

11,558

10,542

18,188

2,070

접종률

79.2

73.0

76.6

71.6

85.5

86.6

85.8

81.9

85.7

83.2

81.2

88.7

69.6

84.1

87.4

83.3

81.9

87.9

코로나치료병원

대상자

59,656

13,484

4,105

2,968

8,505

1,125

3,400

2,659

750

9,867

1,219

2,604

1,531

1,115

824

2,009

1,569

1,922

접종자

42,978

12,041

2,349

1,534

5,133

935

1,760

1,466

388

8,674

1,181

895

1,469

628

684

1,395

1,219

1,227

접종률

72.0

89.3

57.2

51.7

60.4

83.1

51.8

55.1

51.7

87.9

96.9

34.4

96.0

56.3

83.0

69.4

77.7

63.8

* 접종대상 : (아스트라제네카) 요양병원·요양시설 등의 만 65세 미만 입소자·종사자, 1차 대응요원,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화이자) 코로나19 환자 치료병원 종사자

** 정신의료기관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정신 의료기관은 정신건강의학과 폐쇄병동 입원환자를 포함함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3.18일 0시 기준)는 총 9,405건*(신규 402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 되더라도 1명으로 분류


  -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9,298건(신규 400건)으로 대부분이었으며,


  -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81건, 중증 의심 사례는 경련 등 10건(신규 2건), 사망 신고사례 16건이 보고되어 조사가 진행 중이다.


   * 아나필락시스 쇼크, 아나필락시스양, 아나필락시스 반응으로 구분


【코로나19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신고현황(3.18일 0시 기준, ’21.2.26일 이후 누계, 단위: 건, (%)】


구분

접종자수

(누계)

합계

신고율

(누계)

일반1)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2)

중증
의심사례3)

사망사례

전체

신규

641,331

402

1.47%

400

0

2

0

누계

9,405

9,298

81

10

16

아스트라제네카

신규

598,353

369

1.55%

367

0

2

0

누계

9,245

9,144

75

10

16

화이자

신규

42,978

33

0.37%

33

0

0

0

누계

160

154

6

0

0

1) 근육통, 두통, 발열, 메스꺼움 등의 사례

* 318일 특이사항 : 20대 남자 혈전으로 신고

2) 아나필락시스양 반응(78)* 및 아나필락시스 쇼크(3) 의심사례로 의료기관에서 신고된 사례

* 예방접종 후 2시간 이내 호흡곤란, 두드러기 등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로 아나필락시스와는 다름

3) 경련 등 신경계 반응(3), 중환자실 입원(7) 포함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은 사례이며, 사망이나 아나필락시스 등의 중증사례에 한해 역학조사를 실시하여 인과성을 평가하고 주간단위로 신고현황 검증을 통해 업데이트함


 ○ 세계보건기구(WHO) 보고(3.17)에 따르면,


  - 유럽연합(EU) 일부 국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혈액 응고 이상반응 보고에 따른 예방조치 차원에서 사용을 잠정 중단한 것으로, 이것이 백신과의 관련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 현재로선 백신의 이점이 위험보다 크므로 예방 접종을 계속할 것을 권장한다고 밝혔다.


□ 추진단은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신뢰 확보를 위해 과학적 근거 기반의 투명한 소통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백신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해 국민들께 올바른 백신정보를 정확히 전달하고,


  - 정기적 브리핑을 통해 대상별 접종 시기와 백신의 안전성 등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예방접종 관련 안내(카드뉴스, 동영상 등)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 백신 누리집(코로나19예방접종.kr) 및 SNS 등을 통한 디지털 소통 추진


 ○ 특히, 고령층 대상으로 정기적 브리핑을 통한 뉴스채널 보도, TV 등 전통매체 광고 및 다양한 방송(뉴스, 교양·시사프로그램 등)을 통한 홍보를 추진하고 있으며,


  - 젊은층 대상으로는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디지털 소통채널을 통한 정보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


 ○ 또한, 백신의 안정성과 효과성에 대해서도 국민들께 쉽고 충분하게 설명하고, 과학적 근거기반의 구체적이고 투명한 소통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5.∼’21.3.28.)
           4.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1.3.15.∼’21.3.28.)
           5.「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3.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시 행동요령 점검표
           4. 새로운 생활 속 거리 두기 수칙 웹포스터 2종
           5. 코로나19 일상적인 소독방법 바로 알기 카드뉴스
           6.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7.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8.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안전 사용을 위한 홍보자료 목록(환경부)
           9.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10.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11.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12.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13.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4.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15.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16.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17.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20.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21.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22.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