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지난 12월 이후 전연령 중증화율 및 치명률 지속 감소(2.24.,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2-24
  • 최종수정일2022-02-25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지난 12월 이후 전연령 중증화율 및 치명률 지속 감소(2.24., 정례브리핑)


- 3차접종 완료하면 중증 및 사망으로 진행할 위험이 80%이상 감소 -



코로나19 중증화율·치명률 분석 및 3차 접종 완료 시 오미크론 변이의 중증·사망 예방 효과

국내 주간 중증화율·치명률은 12월부터 감소 추세, 최근 오미크론으로 인한 발생 급증에도 위중증·사망은 주요국 대비 낮은 수준

오미크론 변이의 중증화율·치명률은 델타 변이의 1/3에서 1/4 수준, 예방접종 완료 시 중증화율 0.19%, 치명률 0.08%로 더욱 감소


18세 이상 미접종자, 노바백스 백신으로 접종 참여

(예약접종) 사전예약 진행 중, 예약일로부터 2주 후 접종일 선택 가능

(당일접종) 당일접종 위탁기관(1,200개소)에서 접종 가능(~3.6.), 전체 위탁의료기관(12,900개소) 보유 물량 등을 통해 당일접종 가능(3.7.~, 지속)


면역저하자 및 요양병원·시설에 대한 추가(4)접종 안내

(면역저하자) 현재 당일접종·사전예약 가능, 사전예약할 경우 예약일로부터 1주 후 접종일 선택 가능

(요양병원·시설) 방역상 필요(집단감염 발생우려 등)한 경우에 따라 3차접종 완료 3개월 이후부터 자체접종·방문접종 시행 중(2.14.~)


1. 코로나19 중증화율 및 치명률 및 오미크론 변이 특성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21.12월 이후 주간 단위의 중증화율 및 치명률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 전 연령 주간 중증화율 및 치명률은 12월부터 감소 중이며, 1월 첫 주까지 증가했던 60세 이상 연령대의 중증화율 및 치명률도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간 연령별 중증화율(위) 및 치명률(아래)(’21.12월2주~’22.1월4주, 2022.2.19. 0시 기준) 그림 붙임 참고>



구분

2021

2022

122

123

124

125

11

12

13

14

(12.5~ 12.11)

(12.12~12.18)

(12.19~12.25)

(12.26~'22.1.1)

(1.2~ 1.8)

(1.9~ 1.15)

(1.16~ 1.22)

(1.23~ 1.29)

중증화율(전연령)

2.26%

2.03%

1.80%

1.72%

1.66%

1.02%

0.65%

0.29%

19세 이하

0.02%

0.00%

0.01%

0.01%

0.03%

0.00%

0.03%

0.02%

20-30

0.21%

0.26%

0.18%

0.21%

0.26%

0.11%

0.09%

0.04%

40-50

0.89%

0.82%

0.77%

0.76%

0.81%

0.59%

0.23%

0.13%

60세 이상

5.94%

5.76%

6.13%

7.01%

8.29%

6.77%

5.76%

2.99%

치명률(전연령)

1.16%

1.10%

0.91%

0.82%

0.78%

0.48%

0.32%

0.15%

19세 이하

0.0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20-30

0.01%

0.04%

0.04%

0.05%

0.03%

0.01%

0.00%

0.00%

40-50

0.19%

0.22%

0.18%

0.15%

0.24%

0.15%

0.03%

0.02%

60세 이상

3.32%

3.41%

3.37%

3.71%

4.37%

3.60%

3.27%

1.78%


기간별 중증화율 해당 기간에 확진된 환자의 경과를 지속 관찰하여 위중증 및 사망 여부를 분석한 것으로, 후 변동 가능

* 중증화율 : (위중증 환자 수 및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

** 치명률: 사망자 수/확진자 수*100


□ ’21년 12월 이후 오미크론 변이의 연령표준화 중증화율은 0.38%~0.5%, 치명률은 0.18~0.21%로 델타 변이(연령표준화 중증화율 1.4%, 치명률 0.7%)에 비해 약 1/3에서 1/4 낮게 나타났다.


 ○ 60대 이상 연령군에서도 오미크론 변이 중증화율은 0.4%~9.6%, 치명률은 0.1%~5.7%로 델타 변이(중증화율 3.1%~17.2%, 치명률 1.2~14.0%)에 비해 낮아졌다.


 ○ 그러나, 고연령일수록 중증화율 및 치명률이 높아지므로 신속하게 접종 완료하고, 의심 증상이 있을 경우 조기에 검사하여 치료하는 것이 여전히 중요하다.


□ 델타 및 오미크론 변이 확정자를 대상으로 예방접종력에 따라 중증화율 및 치명률을 비교한 결과, 


 ○ 3차 접종을 완료한 경우에는 변이형과 관계없이 중증도는 감소하며, 델타변이에 비해 오미크론 변이의 중증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특히, 60세 이상 연령군에서 3차접종 완료자의 오미크론 치명률은 0.5%로 미접종자 5.39%의 1/10, 3차접종 완료자의 중증화율은 1.11%로 미접종자 9.09%의 1/8 낮은 수준이었다.


 ○ 60세 이상 연령군 미접종자의 델타 치명률은 10.19%로 오미크론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았다.



< 델타 및 오미크론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화율, 치명률 그림 붙임 참고>



□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오미크론 변이에서도 중증 및 사망으로 진행할 위험이 80% 이상 감소하므로 여전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중증으로 진행할 확률은 ‘3차접종 후 확진군’이 ‘미접종 후 확진군’보다, 델타 변이는 92.4%, 오미크론 변이는 81.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미접종 후 확진군’의 중증화율이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 중증화율에 비해 델타변이는 13배, 오미크론 변이는 5배 높은 것과 같은 의미로 해석된다.


 ○ 사망 예방효과도 ‘3차접종 후 확진군’이 ‘미접종 후 확진군’보다 델타 변이 87.2%, 오미크론 변이는 84.0%로 줄어들었다. 



<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 그림 붙임 참고>



□ 최근 우리나라와 주요국의 국가별 인구 대비 코로나19 일일 재원 중환자 수와 누적 사망자 수를 비교한 결과, 


 ○ 우리나라 인구 100만명 당 재원 중환자 수는 9.36명(’22.2.22. 기준), 누적 사망자 수는 148명(’22.2.22. 기준)으로, 최근 오미크론 확산으로 확진자가 급증하였거나 정점 이후 감소 추세인 국가 중에서 낮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주요 국가의 인구 100만 명당 재원 중환자 수(2.22. 기준)는 미국 31.4명(2.21. 기준), 이스라엘 31.3명, 독일 28.6명, 캐나다 18.9명, 일본 16.2명(2.16. 기준), 영국 4.6명이며,


 ○ 주요 국가의 인구 100만 명당 누적 사망자 수(2.22. 기준)는 미국 2,821명, 영국 2,360명, 독일 1,453명, 이스라엘 1,080명, 캐나다 949명, 일본 177명이다.



< 7개국 코로나 재원 중환자 수, 누적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 우리나라의 종합적인 유행 상황은 오미크론 변이의 높은 전파력에 따라 확진자는 급증하고 있으나, 위중증·사망 규모는 관리 가능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다만, 유행 지연을 위한 다양한 방역 정책 효과와 아직은 유행 정점 이전임을 고려한다면, 향후 발생 규모와 위증증 현황 등 유행 상황은 변동 가능하다.


□ 방역당국은 전파력은 높고 중증화율은 낮은 오미크론 특성에 따라, 방역대응의 핵심 목표를 고위험군 관리에 집중하는 것으로 체계 전환을 준비해왔고, 


 ○ 앞으로도 유행 정점을 대비하여 3차 접종, 병상 확충, 대응체계 개편 등 위중증·사망 최소화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현재 유행 정점 이전의 고비이며 정책 전환의 과도기임을 강조하면서


 ○ 국민들께는 3차 접종 신속 완료, 보건용 마스크 착용 및 대면 접촉 최소화 등 오미크론 대응 행동수칙 준수를, 사회 각 분야에서는 필수 기능 유지를 위한 자율 방역을 지속하여 주시기를 당부하였다.



2. 코로나19 예방접종 추진 현황


□ (개요) 2월 24일 0시 기준으로 4,482만 명(인구 대비 87.4%)이 1차접종을, 4,432만 명(인구 대비 86.4%)이 2차접종(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을 완료하였다.


    * (18세 이상 인구 대비) 1차접종률 97.0%, 2차접종률 96.1%


 ○ 3차접종은 총 3,085만 명이 받아, 전체 인구 대비 60.1%를 기록하여 인구 대비 접종률이 60%를 넘었으며, 60세 이상 인구 대비 87.9%가 3차까지 접종을 완료하였다.


연령별 접종 현황(2.24. 0시 기준)

(단위 : , %)

구분

인구*

(A)

접종자 현황

접종률

1(B)

2(C)

3(D)

1

(B/A)

2

(C/A)

3

대상자** 대비

인구대비

(D/A)

51,317,389

44,827,579

44,321,423

30,853,832

87.4

86.4

75.6

60.1

연령

80세 이상

2,455,738

2,232,031

2,209,108

2,042,836

90.9

90.0

94.6

83.2

70-79

3,883,747

3,743,739

3,724,419

3,520,183

96.4

95.9

95.8

90.6

60-69

7,404,447

7,240,204

7,201,181

6,522,186

97.8

97.3

92.2

88.1

50-59

8,574,374

8,424,659

8,369,814

6,614,069

98.3

97.6

81.0

77.1

40-49

8,035,809

7,708,955

7,630,212

4,899,910

95.9

95.0

67.0

61.0

30-39

6,591,585

6,359,578

6,253,509

3,437,961

96.5

94.9

59.3

52.2

20-29

6,404,726

6,350,910

6,274,438

3,339,157

99.2

98.0

57.3

52.1

12-19

3,732,656

2,767,503

2,658,742

477,530

74.1

71.2

61.4

12.8

(18-19)

(963,728)

(913,544)

(902,843)

(477,530)

(94.8)

(93.7)

(61.4)

(49.6)

(12-17)

(2,768,928)

(1,853,959)

(1,755,899)

(-)

(67.0)

(63.4)

(-)

(-)

11세 이하

4,234,307








*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22.2.28일 기준 연령대별 접종간격 도래자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3차접종)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 및 우세종화에도 코로나19 예방접종은 가장 효과적인 대응수단이다.


 ○ 2월말을 기준으로 접종간격 도래자(4,080만 명) 대비 3차접종률은 75.6%이며, 연령별로는 70대가 95.8%로 가장 높았고, 80대 이상이 94.6%, 60대 92.2%, 50대 81.0%, 40대 67.0% 순이었다.


 ○ (18-59세 연령층) 인구 대비 3차접종률은 61.4%, 2월말 기준 접종간격 도래 대상자 대비 3차접종률은 67.3%를 기록하였다.


   - 예약자까지 포함할 경우 인구 대비 63.8%, 2월말 기준 접종간격 도래 대상자 대비 70.0%로, 접종률 상승폭이 두드러지지는 않으나 꾸준히 접종이 이루어지고 있다.


 ○ (60세 이상 연령층)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고령층은 2월말 기준 접종간격 도래자 대비 93.6%의 높은 접종률을 기록하고 있다.



【주차별 3차접종 인구 및 대상자 대비 접종률(2.24. 0시 기준) 그림 붙임 참고】



□ (청소년 기초접종) 13~18세(’21년 기준 12~17세, ’04~’09년생) 청소년은 현재까지 228만 명이 1차접종을 받았으며, 인구 대비 1차접종률은 82.5%, 2차접종률은 78.8%로 집계되었다. 


 ○ 신학기(’22.3월)부터 고등학생에 해당하는 16~18세는 약 90%의 1차접종률을 나타내고 있고, 2차접종률도 87%로 높은 접종률을 보였다(1차 89.9%, 2차 87.4%).


   - 중학생에 해당하는 13~15세는 고등학생에 비해서는 접종률이 다소 낮으나, 1차접종률이 75%를 넘었으며, 2차접종률도 70%를 넘어 높은 접종률을 보이고 있다(1차 75.3%, 2차 70.4%). 



【청소년 주차별 예약률 및 1차·2차접종률 그림 붙임 참고】



□ (성인 미접종자 기초접종) 18세 이상 성인의 접종률은 1차·2차 모두 96%를 초과(1차 97.0%, 2차 96.1%)하여 매우 높은 상황이나, 아직까지 접종하지 않은 미접종자의 접종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 최근 1주간(2.17일~2.23일) 1차접종은 3.4만 명, 2차접종은 2.9만 명이 신규로 참여하였다.


   - 노바백스 백신 접종이 2월 14일(월)부터 시작됨에 따라, 최근 1주간 18세 이상 성인 1차접종자 중 64%인 2.2만 명이 노바백스 백신으로 1차접종을 완료하였다.


   - 국민들께서 접종 경험이 많은 유전자재조합 방식으로 생산된 노바백스 백신의 도입으로 미접종자의 접종 참여가 확대되어, 미접종자의 접종률도 소폭 증가함을 알 수 있다.



3. 18세 이상 미접종자, 노바백스 백신으로 접종 참여


□ 18세 이상 성인 미접종자를 대상으로 한 노바백스 백신 접종 사전예약이 진행 중이다.


 ○ (예약접종) 노바백스 백신 접종을 받고자 하는 18세 이상 성인 미접종자는 사전예약 누리집(http://ncvr.kdca.go.kr) 등을 통해 예약할 수 있다.


   -  스스로 예약이 어려운 고령층은 누리집을 통한 대리예약이나, 전화예약(1339, 지자체콜센터) 등도 가능하다. 


   - 사전예약 완료자는 3월 7일(월)부터 전국의 위탁의료기관(약 12,900개소)에서 예약한 날에 접종*할 수 있으며, 2차접종일은 1차접종일로부터 3주 이후로 자동 예약된다.


     * 예약일 2주 이전 날짜로는 접종일 선택 불가

      (예: 2.21. 예약 → 3.7. 이후 선택 가능, 2.24. 예약 → 3.10. 이후 선택 가능)


 ○ (당일접종) 현재, 노바백스 백신을 보유하고 있는 당일접종 지정위탁기관(약 1,200개소)* 또는 보건소에서 당일접종을 시행 중이며, 지정위탁기관은 3월 6일(일)까지 운영된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 > “예방접종 현황” > “노바백스 당일접종 지정위탁기관 현황” 메뉴에서 확인 가능


   - ❶카카오톡·네이버에서 잔여백신을 예약하거나, ❷의료기관에 유선 확인 후 예비명단에 이름을 올려 당일접종 가능하다.


   - 3월 7일(월) 이후에도 전체 위탁기관의 보유 물량 등을 통해 당일접종이 가능해, 미리 사전예약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접종받을 수 있다.


 ○ (자체접종 및 방문접종) 아울러, 고위험군* 중 미접종자가 소속된 병원, 시설 또는 지자체 개별 일정에 따라 자체접종 및 방문접종을 실시하고 있다.


   * ❶입원환자, ❷요양시설 입소자 및 ❸재가노인·재가중증장애인 등 거동불편자


   - 이를 통해, 그간 접종을 희망하였으나 물리적 제약으로 접종받기 어려웠던 고위험군이 접종받을 기회가 확대되어 위중증 환자를 줄이고 고위험군을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노바백스 백신을 활용한 교차접종과 3차접종도 가능하다.


 ○ (교차접종) 2차접종은 1차접종과 동일한 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이 원칙이나, 의학적 사유(금기·연기 등)로 의사가 판단한 경우 예외적으로 노바백스 백신을 통한 교차접종이 가능하다.


   *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통한 당일접종 방식으로 접종 가능


 ○ (3차접종) 기초접종을 노바백스 백신으로 실시한 경우, 3차접종은 노바백스 백신이 원칙이며 접종간격은 2차접종 완료 3개월 이후이다.


   - 단, 노바백스 백신 외의 백신으로 기초접종을 받은 사람이 기초접종 시 금기·연기 사유 등이 발생한 경우, 의사 판단 하에 예외적으로 노바백스 백신으로 3차접종이 가능하다.


    *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통한 당일접종 방식으로 접종 가능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 이하 추진단)은 “예방접종을 통해 지역사회 내 코로나19 감염 위험을 낮추고 중증 진행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만큼, 아직 접종하지 않은 분들은 노바백스 백신 접종 사전예약에 적극 동참하시길 당부드린다“라고 밝혔다.



4.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추가(4)접종 실시 안내


□ 추진단은 확진자 급증에 따른 고위험군의 중증·사망을 예방하기 위하여 면역저하자와 요양병원·시설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에 대한 추가(4차)접종 계획을 발표(2.14.)하고, 시행 중에 있다.


 ○ (필요성) 면역저하자는 기저질환이나 면역억제제 복용 등으로 면역형성이 충분하지 않고, 요양병원·시설 대상자는 감염위험(집단생활)과 중증위험(고령층, 기저질환)이 모두 높은 고위험군으로 보호가 필요하다.


 ○ (접종대상)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또는 요양병원·시설 대상자 중 3차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3차접종 완료 4개월(120일) 이후*부터 mRNA 백신으로 접종할 수 있다.


    * 면역저하자의 경우 개인 사유(국외출국, 입원·치료 등)에 따라 3차접종 완료 3개월(90일) 이후부터 가능


   - 특히, 오미크론 변이 확산 따라 최근 요양병원·시설에서 집단 감염이 증가하고 있어, 집단 감염 발생 또는 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를 적용하여 3차접종 완료 3개월(90일) 이후부터 접종할 수 있도록 지자체 및 관련 부처·협회 등에 안내하였다.


 ○ (접종방법) 면역저하자는 의사 소견을 확인한 후 사전예약 또는 당일접종 가능하며, 요양병원은 자체접종, 요양시설은 방문접종(보건소 또는 시설계약의사)으로 접종이 시행된다.


   - 면역저하자 중 3차접종 시 면역저하자로 접종하지 않은 경우 의료기관에서 받은 서류*를 지참하여 접종 가능하다.


     * 면역저하질환 진료확인서 또는 담당의사의 접종 권고를 포함한 소견서 등


[면역저하자의 범위]


종양 또는 혈액암으로 항암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장기이식 수술을 받고 면역억제제를 복용 중인 경우

조혈모세포 이식 후 2년 이내인 환자 또는 이식 후 2년 이상 경과한 경우라도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는 경우

일차(선천)면역결핍증(항체결핍, DiGeorge syndrome, WiskottAldrich syndrome )

HIV 감염 환자(현재 CD4+ T 세포수 200/uL 미만)

고용량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또는 면역을 억제할 수 있는 약물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이외에도, 상기 기준에 준하는 면역저하자로서 부스터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사소견에 따라 접종 가능


 ○ (접종일정) 면역저하자는 현재 당일접종으로 접종받을 수 있으며, 예약접종의 경우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2월 28일(월)부터 접종일을 선택*하여 접종할 수 있다. 


    * 예약일 1주 이전 날짜로는 접종일 선택 불가

     (예: 2.21. 예약 → 2.28. 이후 선택 가능, 2.24. 예약 → 3.3. 이후 선택 가능)


   - 요양병원·시설의 경우 방역상 필요(집단감염 발생우려 등)한 경우를 적용하여 2월 14일(월)부터 접종 가능하였으며, 수요조사 등에 따라 병원·시설별 일정이 상이할 수 있다.


□ 추진단은 “이번 고위험군에 대한 추가(4차)접종은, 오미크론 변이의 높은 전파력으로 확진자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예방 가능한 중증·사망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을 재차 강조하며,


 ○ “면역저하자의 면역 형성을 높이고, 요양병원·시설의 집단 발생 증가에 따른 감염을 억제시켜 중증·사망을 예방하기 위해 추가접종 대상인 고위험군이신 분들은 접종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5.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결과(51주차)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51주차, 2.20.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117,622,722건 중 이상반응은 457,539건(51주 신규 신고 3,144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39%이며, 3차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1차와 2차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1차 0.53%, 2차 0.40%, 3차 0.15%)이다.


    * 이상반응 신고통계는 출생연도 기준 예방접종 건수를 기반으로 산출(인구집단을 기반으로 산출하는 예방접종현황의 예방접종 건수와 다름)


   - 신고 사례 중 일반 이상반응은 440,054건(96.2%), 중대한 이상반응은 17,485건(3.8%)이었으며, 


     * 일반이상반응은 주사부위의 통증, 발적 등 국소이상반응과 발열, 근육통 등 전신이상반응

     * 중대한 이상반응은 중증, 사망, 아나필락시스 및 주요 이상반응


   -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54%(1차 0.75%, 2차 0.28%), 화이자 백신 0.32%(1차 0.41%, 2차 0.36, 3차 0.15%), 모더나 백신 0.46%(1차 0.63%, 2차 0.77%, 3차 0.15%), 얀센 백신 0.59%(1차 0.59%, 2차(부스터) 0.20%)으로, 백신별 3차 접종이 1차와 2차 접종보다 낮았다.


   - 18세 이하 청소년의 경우, 예방접종 5,598,888건 중 이상반응은 17,596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31%(일반 이상반응 97.2%, 중대한 이상반응 2.8%)이었다.


 ○ 2월 14일 노바백스 백신 접종 시작 이후 노바백스 백신 접종 32,395건 중 이상반응은 35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11%이며, 일반 이상반응 33건, 아나필락시스 2건이었다.


   - 노바백스 백신 접종자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 접종자*를 대상으로 접종일부터 7일차까지 문자메시지를 발송 중이며, 지속적으로 이상반응 발생여부를 감시할 계획이다.


    * 1∼2차 예방접종을 노바백스 백신으로 접종한 자 중 10,000명 

    * 예방접종 예진 시 문자메시지 수신 동의를 한 경우에 한함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이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이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이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예방접종 이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


 ○ 특히,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6.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검토 결과 분석 (~2.18.)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서은숙 교수)은 현재까지 총 50차례 회의를 개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발생한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을 검토하였다.


 ○ 검토 상정된 총 5,264건(사망 1,436건, 중증 1,579건, 아나필락시스 2,249건) 중 837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830건)이 인과성 인정되었고, 90건(사망 14건, 중증 76건)이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검토되었다.


    * 근거가 불충분한 사례는 3천만 원 이내의 의료비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근거가 확보되면 재검토할 예정임  


 ○ 제 50차 회의(2.18일)에서 신규 98건(사망 37건, 중증 25건, 아나필락시스 36건) 및 재심 1건(중증 1건) 심의하였고, 이중 아나필락시스 14건이 인과성 인정되었으며, 중증 2건(급성심근염)은 근거 불충분한 사례로 검토하였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의 이상반응 사례 검토결과(2.18.기준) ]  (단위 : 건)


구분*

누적사례

인과성 검토 결과

인정

불충분

불인정

보류

합계

5,264(98)

837(14)

90(2)

4,322(82)

15

사망

1,436(37)

21)

14(0)

1,410(37)

10

중증

1,579(25)

52)

76(2)

1,493(23)

5

아나필락시스3)

2,249(36)

830(14)

0

1,419(22)

0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 기준으로 분류

누적사례의 ( )50차 회의의 신규사례, 그 외( )50차 회의 평가 결과

1) 혈소판감소성혈전증 1(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근염 1(화이자)

2) 혈소판감소성혈전증 2(아스트라제네카), 뇌정맥동혈전증 1(아스트라제네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아스트라제네카), 급성심낭염 1(화이자)

3) 아나필락시스 심의 사례 중증 아나필락시스는 14(인과성 인정 11·불인정 3)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백신종류별 인정사례 (7건)>


접종백신

추정진단(사인)

아스트라제네카

사망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중증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뇌정맥동혈전증,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화이자

사망

급성심근염

중증

급성심낭염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백신종류별 근거 불충분 사례 (90건)>


접종백신

추정진단(사인)

아스트라제네카

사망

급성심근염(1), 길랭-바레증후군, 모세혈관누출증후군

중증

길랭-바레증후군, 면역성혈소판감소증,

급성파종성뇌척수염,

전신염증증후군, 염증성근육병증,

천식발작, 폐색전증

화이자

사망

급성심근염, 급성심근심낭염

중증

급성심근염(29)*, 급성심근심낭염, 급성심낭염,

척수염(1)

얀센

사망

모세혈관누출증후군

중증

길랭-바레증후군

모더나

사망

급성심근염, 급성심근염/급성심근경색(1)

중증

급성심근염(5), 급성심근심낭염


* 1건은 교차접종(1차 접종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 화이자백신)


□ 예방접종피해조사반 제50차 회의(2.18.)에 제출된 신규 사망 및 중증 이상반응 사례를 분석한 결과, 


 ○ 신규 사망 신고사례 37건의 평균 연령은 68.2세(범위 28~98세)였고, 이 중 31례(83.8%)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3건), 화이자(21건),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교차접종(2건), 모더나(6건),  아스트라제네카-모더나 교차접종(5건)이었다.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뇌혈관질환 등


 ○ 신규 중증 신고사례 25례의 평균 연령은 55.8세(범위 15~82세)였고, 이 중 17례(68%)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부터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12.9일(범위: 0∼59일), 접종한 백신은 얀센(1건), 아스트라제네카(1건), 화이자(11건), 모더나(6건), 아스트라제네카-모더나 교차접종(6건) 이었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해외 주요 국가 방역 현황 통계(2.21. 기준)

        4. 델타,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중증도 및 예방접종 효과

        5.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2.13. 0시 기준)

        6.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주간 분석 결과(51주차)

        7. 국외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이상반응 보고 현황(51주차)

        8. 인과성 검토 사례의 일반적 특성 및 추정사인/진단명 분포

        9.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세부 절차

       10. 확진자 및 접촉자 관리 기준 변경 주요사항 전후대비표

       11.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①

       12.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②

       13. 재택치료 안내문 (집중관리군)

       14. 재택치료 안내문 (일반관리군)

       15. 동거인 안내문 포스터(가족 간 전파 예방, 건강 관리)

       16. 방역패스 예외확인서 발급대상 및 발급방법 안내 카드뉴스 

       17.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18. 유전자검사(PCR) 우선순위 대상 안내문

       19.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및 업무지속계획 주요내용

       20. 방역패스 적용시설 및 입장 가능자 안내 포스터 2종

       21. 식당・카페 방역패스 및 방역수칙 안내

       22.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23. 국내체류 외국인 3차접종 안내문

       24. 면역저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25.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26. 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청소년용) 

       27. 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28. 청소년 심근염·심낭염 진료 안내문(의료인용)

       29.「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