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2.25.)
  • 작성일2022-02-25
  • 최종수정일2022-02-28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코로나19 예방접종 및 국내 발생 현황(2.25.)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2월 25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6,123명, 2차접종자 10,222명, 3차접종자 144,960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4,835,692명, 2차접종자수는 44,333,632명, 3차접종자수는 31,002,534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1)

누적 접종(A+B)1)

인구2)대비 접종률

전체

12+

18+

60+

1

44,829,569

6,123

44,835,692

87.4

95.2

97.0

96.2

2

44,323,410

10,222

44,333,632

86.4

94.2

96.1

95.6

3

30,857,574

144,960

31,002,534

60.4


70.0

88.0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1차 접종‘2차 접종통계에
모두 추가하고, 얀센 2차의 경우 3차 통계에 추가

2)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백신별 접종현황

(단위 : )

구분

1차접종

2차접종

3차 접종

신규

누적

신규

누적

신규

누적

6,123

44,835,692

10,222

44,333,632

144,960

31,002,534

PF

3,480

25,327,866

9,617

26,875,885

102,836

20,628,155

M

92

6,807,513

285

6,629,711

40,311

10,332,005

AZ

-

11,071,582

-

9,238,450

-

899

J1)

9

1,514,963



52

26,360

NVX

2,542

39,301

311

2,331

1,761

10,674

기타백신2)

-

74,467

-

72,292

-

4,441

1) 얀센백신은 1차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어, 2차 접종으로 백신 사용되지 않음

2) 기타백신은 국외 허가백신(국내 미승인 백신(WHO 승인백신))의 접종력이 등록된 자(시노팜, 시노백 등)


□ 2월 25일 0시 기준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

(단위 : , %)

구분

인구*

(A)

접종자 현황

접종률

1(B)

2(C)

3(D)

1

(B/A)

2

(C/A)

3

(D/A)

51,317,389

44,835,692

44,333,632

31,002,534

87.4

86.4

60.4

성별

남성

25,575,878

22,448,521

22,204,374

15,394,177

87.8

86.8

60.2

여성

25,741,511

22,387,171

22,129,258

15,608,357

87.0

86.0

60.6

연령

80세 이상

2,455,738

2,232,288

2,209,376

2,043,986

90.9

90.0

83.2

70-79

3,883,747

3,743,947

3,724,655

3,522,344

96.4

95.9

90.7

60-69

7,404,447

7,240,676

7,201,806

6,531,585

97.8

97.3

88.2

50-59

8,574,374

8,425,327

8,370,732

6,641,561

98.3

97.6

77.5

40-49

8,035,809

7,710,001

7,631,431

4,937,439

95.9

95.0

61.4

30-39

6,591,585

6,361,085

6,255,329

3,468,184

96.5

94.9

52.6

20-29

6,404,726

6,352,546

6,276,807

3,373,313

99.2

98.0

52.7

12-19

3,732,656

2,769,822

2,663,496

484,122

74.2

71.4

13.0

(18-19)

(963,728)

(913,709)

(903,206)

(484,122)

(94.8)

(93.7)

(50.2)

(12-17)

(2,768,928)

(1,856,113)

(1,760,290)

(-)

(67.0)

(63.6)

(-)

11세 이하

4,234,307







*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2.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분양 현황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을 통해 유관부처 및 연구기관 등에 분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2.23.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는 현재까지(’22.2.23.) 총 101개 기관에 1,659건이 분양되었다.


   - 활용 목적별로는 ▲백신 및 치료제 연구용 471건, ▲진단기술 개발용 1,164건, ▲정도관리용 5건, ▲기타 융합연구 등 19건이 분양되었으며,


   - 변이 유형별로는 ▲VOC는 974*건, ▲ FMV는 619**건, ▲VOI 66***건이 되었다.


    * 주요 변이주(VOC, 974): 알파(176), 베타(170), 감마(119), 델타(366), 오미크론(143)

    ** FMV (619): 에타(82), 카파(119), 입실론(171), 아오타(86), 제타(90), 기타(71)

    *** 관심 변이주(VOI, 66): 뮤(66)


 ○ 국립보건연구원은 향후 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해 변이주에 대한 자원 수집을 민간부분으로 확대하여,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분양문의) 국립보건연구원 병원체자원관리과, 043-913-4270, 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http://nccp.kdca.go.kr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기탁자원임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22.2.23. 0시 기준)]


목적

자원

백신·치료제연구

진단기술연구

기타
(정도관리 포함)

분양기관

21

77

3

101

분양수()

471

1164

24

1659

V

O

C

알파형

(영국 GRY: B.1.1.7)

56

116

4

176

베타형

(남아프리카공화국 GH: B.1.351)

53

113

4

170

감마형

(미국/브라질 GR: P.1)

37

80

2

119

델타형

(인도 G: 1.617.2)

61

99

2

162

델타형

(인천 GK: B.1.617.2 K417N 포함)

9

51

0

60

델타형

(서울 GK: AY.1)

11

57

2

70

델타형

(경기 GK: AY.69)

9

28

0

37

델타형

(경기 GK: AY.122)

9

28

0

37

오미크론형

(경기 GRA: B.1.1.529)

42

100

1

143

VOI

뮤형

(콜롬비아 GH: B.1.621)

15

50

1

66

F

M

V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7)

22

58

1

81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9)

27

62

1

90

제타형

(브라질 GR: P.2)

28

59

3

90

에타형

(영국/나이지리아 G: B.1.525)

22

59

1

82

아오타형

(미국/뉴욕 GH: B.1.526)

21

64

1

86

카파형

(인도 G: B.1.617.1)

35

83

1

119

기타형

(경기 G: B.1.619)

7

31

0

38

기타형

(서울 G: B.1.620)

7

26

0

33


* WHO SARS-CoV-2 variants 분류변경으로 인하여 기존의 VUM에서 FMV(Formerly Monitored Variants)로 변경 

   (참고. Tracking of SARS-CoV-2 variants, WHO) (’22. 2. 3.)



3. 코로나19 치료제 투약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코로나19 치료제 투약현황(2.24.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먼저, 코로나19 치료제인 ‘베클루리주(길리어드, 렘데시비르)’는 현재까지 272개 병원 36,317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인 ‘렉키로나주(셀트리온, 레그단비맙)’는 현재까지 308개 병원 등 50,690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먹는치료제(팍스로비드) 사용 및 재고 현황 붙임3 참고



4.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월 25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655명, 사망자는 94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7,783명(치명률 0.29%)이라고 밝혔다.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관리 현황*(‘20.1.3. 이후 누계)】


구분

재원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입원환자***

2.24.() 0시 기준

581

7,689

1,818

2.25.() 0시 기준

655

7,783

1,936

변동

(+)74

()94

(+)118

* 2.24. 0시부터 2.25.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일일 신규 입원 환자 수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5,749명, 해외유입 사례는 141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165,890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665,077명(해외유입 28,866명)이다.


구분

합계

국내

165,749

35,562

12,733

6,290

12,843

4,598

4,406

3,532

1,064

48,080

3,426

3,962

5,175

4,208

3,529

5,387

8,892

2,062

0

해외

141

52

3

0

4

6

0

0

0

2

3

6

9

9

4

6

7

0

30

합계

165,890

35,614

12,736

6,290

12,847

4,604

4,406

3,532

1,064

48,082

3,429

3,968

5,184

4,217

3,533

5,393

8,899

2,062

30


□ 2월 25일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6쪽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2월 25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65,749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129,759.4명), 수도권에서 96,485명(58.2%) 비수도권에서는 69,264명(41.8%)이 발생하였다.


(주간: 2.19.~2.25., 단위: )

구분

전국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경북권

경남권

강원권

제주권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강원)

(제주)

2.25.(0시 기준)

165,749

96,485

14,607

12,335

11,677

25,157

3,426

2,062

주간 일 평균

129,759.4

77,448.3

11,520.7

9,263.3

9,350.3

18,215.3

2,512.7

1,448.9

주간 총 확진자 수

908,316

542,138

80,645

64,843

65,452

127,507

17,589

10,142

주간 발생률*

251.3

297.6

207.9

183.0

186.6

233.9

163.3

214.1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5.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감염증 예방수칙 준수 당부


□ 질병관리청은 지난주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감염증 발생 동향을 공유하고, 급성호흡기감염증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2022년 8주(2.13.~2.19.)의 인플루엔자의사환자(ILI)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3.7명*(전년 동기간 2.0명)으로 7주(2.6명) 대비 증가하였으며, 유행기준(5.8명) 이하를 유지하고 있다.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자료원) 전국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기관(의원급 의료기관 199개소) 주간 단위 보고자료

    *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 38.0℃ 이상의 갑작스런 발열과 더불어 기침 또는 인후통이 있는 자

    * 2021-2022절기 유행주의보 발령 기준 : 5.8명 / 외래환자 1,000명


 ○ 2022년 8주(2.13.~2.19.)에 의원급 의료기관(63개소) 대상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감염증 병원체감시*(KINRESS) 및 병원급 의료기관(219개소)대상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 결과,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 의원급 의료기관 호흡기 바이러스 감시(8주) : 의뢰 검체 99건 중 인플루엔자바이러스 0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31건(31.3%), 리노바이러스 11건(11.1%), 사람코로나바이러스 9건(9.1%), 아데노바이러스 9건(9.1%), 사람보카바이러스 3건(3.0%) 등


     ※ 검사전문의료기관(5개소)에서 수행한 호흡기질환 환자 대상 진단검사 결과를 취합하여 분석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검출률은 4주(1.16.~1.22.) 0.02%, 5주(1.23.~1.29.) 0%. 6주(1.30.~2.5.) 0%, 7주(2.6.~2.12.) 0%, 8주(2.13.~2.19.) 0.03%.


□ 한편, 질병관리청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검출률과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입원환자 수는 감소하고 있으나, 영·유아 입원환자가 전체 입원환자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어 주의를 당부하였다(표 참고).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환자 발생 현황>


5

(1.23.~1.29.)

6

(1.30.~2.5.)

7

(2.6.~2.12.)

8

(2.13~2.19.)

입원환자수

(219개 병원급의료기관)

638

467

373

242

바이러스검출률

(63개 의원급의료기관)

65.2%

42.1%

48.8%

31.3%

* 신고환자의 74.9%6세 미만 영·유아임


 ○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영·유아 보육시설 등에서 집단발생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손씻기, 마스크 착용, 호흡기 증상이 있는 직원이나 방문객 출입 제한, 주기적 환기, 개인물품 공유 제한 등 감염관리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 사용 및 재고 현황 (2.24. 18시 30분 기준)

        4.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세부 절차

        5. 확진자 및 접촉자 관리 기준 변경 주요사항 전후대비표

        6.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①

        7.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②

        8. 재택치료 안내문 (집중관리군)

        9. 재택치료 안내문 (일반관리군)

       10. 동거인 안내문 포스터(가족 간 전파 예방, 건강 관리)

       11. 방역패스 예외확인서 발급대상 및 발급방법 안내 카드뉴스 

       12.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감염에 대한 이해

       13. 유전자검사(PCR) 우선순위 대상 안내문

       14.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및 업무지속계획 주요내용

       15. 방역패스 적용시설 및 입장 가능자 안내 포스터 2종

       16. 식당・카페 방역패스 및 방역수칙 안내

       17.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18. 국내체류 외국인 3차접종 안내문

       19. 면역저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20.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21. 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청소년용) 

       22. 청소년 기저질환의 범위

       23. 청소년 심근염·심낭염 진료 안내문(의료인용)

       24.「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