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신규 발생 13.2% 감소(3.28.,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3-28
  • 최종수정일2022-03-29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코로나19 주간 신규 발생 13.2% 감소(3.28., 정례브리핑)     ※ 2쪽 아래 '최근 8주간 주요 발생지표' 표 구분항목 수정(17:24)


- 60대 이상 발생 비율 증가, 신규 위중증 환자·사망자 지속 증가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34신규 확진자 일평균 351,310(전주 대비 13.2%, 11주만에 감소세)

신규 위중증 환자 1,093(전주 대비 12.1%), 사망자 2,516(전주 대비 28.6%)

34주차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매우 높음


먹는 치료제 도입 및 활용 방안

먹는 치료제 총 120.4만 명분 구매계약 체결(3.28. 현재)

* (기존) 100.4만 명분(팍스로비드 76.2만 명분, 라게브리오24.2만 명분)

(변경) 120.4만 명분(팍스로비드 96.2만 명분, 라게브리오 24.2만 명분)

3월 말부터 4월까지 총 46만 명분 추가 도입 예정

- (3월말) 팍스로비드 8.4만 명분, 라게브리오 10만 명분 도입

- (4월중) 팍스로비드 27.6만 명분 도입 예정(제약사 협의 중)


소아청소년 접종(5-11세 기초, 12-173) 안내

(5-11세 기초접종) 사전예약은 3.24.()일부터 시작, 3.31.()부터 소아접종 지정 위탁의료기관에서 소아용 화이자 백신 접종

(12-173차접종) 기초접종 완료 후 3개월이 경과한 청소년 대상, 사전예약 누리집을 통해 예약 또는 당일접종 실시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주간 신규 발생이 1월 2주부터 10주간 증가세를 유지하다가 11주 만에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대규모 유행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 3월 4주(3.20.~3.26.) 국내 주간 확진자 수 2,459,173명, 주간 일평균 351,310명 발생하여 전주 대비 13.2% 감소하였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1.01로 감소하였다.



<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21.1.1.~’22.3.26.) 그림 붙임 참고>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21

(1.30.~2.5.)

22

(2.6.~2.12.)

23

(2.13.~2.19.)

24

(2.20.~2.26.)

31

(2.27.~3.5.)

32

(3.6.~3.12.)

33

(3.13.~3.19.)

34

(3.20.~3.26)

확진자수()

159,889

323,201

563,774

973,281

1,381,360

1,993,619

2,832,336

2,459,173

일 평균 확진자()

22,841

46,172

80,539

139,040

197,337

284,803

404,619

351,310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명 당)

44.2

89.4

156.0

269.3

382.1

551.5

783.6

680.3

전 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88

2.02

1.74

1.73

1.42

1.44

1.42

0.87

감염재생산지수(Rt)

1.60

1.60

1.44

1.46

1.30

1.29

1.29

1.01


 ○ 모든 연령대의 일평균 발생률이 전주 대비 소폭 감소하였고, 접종률이 낮고 접촉 빈도가 높은 학동기 연령에서 발생률이 높아, 0~9세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이 1,257명으로 가장 높았다.


 ○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은 높은 3차 접종률로 다른 연령대보다 발생률이 낮지만 발생 비중은 지속 증가하고 있어, 위중증, 사망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 60세 이상 비율 : (3월1주) 15.0% → (3월2주) 16.2% → (3월3주) 17.8% → (3월4주) 18.4%

  ** 60세 이상 확진자수: (3월1주) 207,673명  → (3월2주) 322,993명  → (3월3주) 504,108명 → (3월4주) 452,219명



<주차별 연령별 확진자수, 비중(%), 최근 전국 연령대별 발생률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3차 접종 후 시간경과에 따른 감염예방효과 감소로 60세 이상 확진자가 보다 증가할 우려가 있으나,


   - 3차 접종까지 완료하면 중증 및 사망 예방 효과가 약 80% 이상 유지되고 있으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 수단이다.


□ 3월 4주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1,093명으로 전주 대비 12.1% 증가, 사망자는 2,516명으로 늘어 전주 대비 28.6% 이상 증가하였다.


   * 주간 입원환자 수: (3월 2주) 13,161명 → (3월 3주) 13,387명→ (3월 4주) 12,542명(-845명)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 (3월 2주) 881명→ (3월 3주) 975명→ (3월 4주) 1,093명

 *** 주간 사망자 수 : (3월 2주) 1,348명 → (3월 3주) 1,957명 → (3월 4주) 2,516명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2.3.26. 0시 기준) 그림 붙임 참고>



 ○ ‘22.3.26.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28.31명(치명률 0.13%)이다.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394.9명(치명률 2.81%)로 가장 높고, 70대는 95.0명(치명률 0.74%), 60대는 25.7명(치명률 0.17%)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22.3.26. 0시 기준) 그림 붙임 참고>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3월 4주 사망자 중 60대 이상이 94.9%(2.387명)으로, 80대가 63.8%(1,604명), 70대가 21.2%(534명), 60대가 9.9%(249명)로 연령이 높을수록 사망자가 많았다.


   · 60대 사망자와 비교했을 때 70대는 2.1배, 80대 6.4배 높게 나타났다.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중 미접종·1차 접종자의 비율은 39.6%(995명)로 미접종·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기저질환) 기저질환은 고혈압·뇌경색·심부전 등 순환기계 질환, 치매 등 신경계 질환, 당뇨병·갑상선질환, 악성종양 등으로 나타났다.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6,883건) 및 해외유입(287건)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3.26.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4주 80.0% → 2월4주 99.6% → 3월4주 100.0%


 ○ 또한, 이번 주 오미크론 세부계통 BA.2의 국내감염 검출률은 56.3%로 증가하여 우세종화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71.1%로 확인되었다. 


   * (국내) 3월1주 22.9% →3월4주 56.3%, (해외) 3월1주 47.3% → 3월4주 71.1%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3.26. 기준) >


구분

분석주차

분석

건수

주요 변이

델타형

오미크론형

검출률(%)

검출률(%)

검출률(%)

BA..2* 검출률 (%)

국내감염

31

5,629

5,629

100.0

2

0.04

5,627

99.96

22.9

32

5,584

5,584

100.0

1

0.02

5,583

99.98

26.3

33

6,748

6,748

100.0

1

0.01

6,747

99.99

41.4

34

6,883

6,883

100.0

0

0.0

6,883

100.0

56.3

해외유입

31

390

390

100.0

3

0.8

387

99.2

47.3

32

361

361

100.0

1

0.3

360

99.7

45.7

33

169

169

100.0

1

0.6

168

99.4

56.9

34

287

287

100.0

0

0.0

287

100.0

71.1


   * 전장유전체분석 기반 별도산출


□ 국외 발생은 ’22년 11주차(3.14.∼3.20.)에 전 세계 신규 발생 1,261만 명(WHO 기준)으로 최근 2주 연속 발생이 증가하였고,


   * 전 세계: (11주) 확진 12,617,456명(+8.5%), 사망 33,363명(-22.6%)


 ○ 최근 1~3주, BA.2형 변이바이러스가 유행하는 다수의 국가에서 발생이 반등하거나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1월 정점 이후 유행 이전 수준으로 감소, 최근 2~3주 증가세

   * (독일, 오스트리아, 호주) 1~2월 중 정점 이후 소폭 감소, 최근 1~2주 역대 최다 발생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을 97.0% 감소시켜주기 때문에, 고령층·기저질환자는 신속하게 3차접종까지 받아줄 것을 당부하였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3.2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8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7.0%,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45.2% 낮음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22.3.19.기준) 그림 붙임 참고>



 * 분석대상: ’21.4.3.∼’22.3.19. 확진자 9,233,419명


□ 국내 유행 지속으로 중환자실 병상가동률, 재택치료 의료기관 가동률 등이 여전히 높아 의료체계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 66.3%,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69.1%로 여전히 높고, 


   - 비수도권의 중환자실 병상가동율 및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이 모두 70% 이상으로 수도권에 비해 병상자원 부족이 더욱 심각하다.


    * 중환자실 병상가동률(3월3주 → 3월4주) : (전국) 65.9% → 66.3%, (수도권) 63.5% → 63.7%, (비수도권) 71.4% → 72.2%

    * 준-중환자실 병상가동률(3월3주 → 3월4주) : (전국) 70.4% → 69.1%, (수도권) 67.2% → 65.0%, (비수도권) 74.8% → 74.7%


 ○ 집중관리 의료기관 증가와 집중관리군 대상 변경으로 재택치료 집중관리 의료기관 가동률은 전주 대비 감소하였으나,


   - 여전히 높은 발생으로 인해 관리 중인 재택치료 환자는 증가하는 추세로 의료기관 부담은 지속되고 있다. 


     * 재택 집중관리 의료기관 가동률: (3.3주) 91.0% → (3.4주) 78.6%(-12.4%p)

     * 재택치료 집중관리 의료기관 수: (3.19일) 1,060개 → (3.26일) 1,136개

     * 재택치료자 비율: (3.3주) 94.7% → (3.4주) 94.7%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추이, 준-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국내·외 연구진들이 3월 23일까지 수행한 향후 발생 예측을 종합한 결과,


 ○ 대부분의 연구진이(11개 기관 중 9개 연구진) 유행 정점을 지나 감소세로 들어설 것으로 추정하였다.


 ○ 정점 이후 감소 폭에 대해서는 연구팀별 편차가 커, 2주 이내(~4.6.) 30만명 미만(11개 기관 중 6개 연구진), 4주 이내(~4.20.) 20만명 미만(7개 기관 중 4개 연구진) 감소 가능성이 있으나 향후 신중한 관찰이 필요하다.


 ○ 재원중 중환자는 4월이 되어 감소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며, 최대 1,300~1,68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국내외 연구진들이 주기적으로 유행상황을 모형에 반영함에 따라 예측 결과의 변동 가능성이 크지만, 유행 상황의 대비, 대응을 위해 예측 결과를 참고하고 있다.


□ 3월 4주 주간 위험도는 전국·수도권·비수도권 모두 “매우 높음” 단계로 평가되고, 중환자 병상 등 의료대응 부담은 여전히 큰 상황으로, 고위험군 발생 증가, 사망자 지속 증가, 향후 발생의 불확실성 등이 위험요인으로 판단된다.


<3월 4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12

1

2

3

1

(11.28.~)

2

(12.5.~)

3

(12.12.~)

4

(12.19.~)

5

(12.26.~)

1

(1.2.~)

2

(1.9.~)

3

(1.16.~)

4

(1.23.~)

1

(1.30.~)

2

(2.6.~)

3

(2.13.~)

4

(2.20.~)

1

(2.27.~)

2

(3.6.~)

3

(3.13.~)

4

(3.20.~)

전국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중간

중간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수도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중간

중간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비수도권

중간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중간

낮음

중간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 확진자 중 60세 이상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고, 요양병원·요양원의 집단감염은 감소하였으나 지속 발생 중으로, 사망자 지속 증가할 우려가 있다.


 ○ 오미크론 변이 중 BA.2 형 점유율 증가 및 우세종화, 등교 확대, 사적모임 증가, 예방접종 참여율 정체 등으로 정점 이후에도 완만한 감소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 또한, 확진자가 감소하더라도 긴 기간 유행의 영향으로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는 일정기간 동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정부는 요양병원·요양시설 등 고위험 시설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적극적인 예방접종 관리 등을 통해 고위험군의 위중증·사망 발생을 최소화 하는데 역량을 집중한다.


  ○ ‘보건소-감염취약시설’간 핫라인 및 보건소 현장전담팀을 구성·운영하여 확진자 집단발생 시 조기 대응, 치료제 신속 공급, 코호트 격리, 중환자 신속 이송 등 신속한 조치를 한다.


  ○ 고위험군 대상으로  ‘검사-치료-입원 신속 체계’ 마련, 확진 시 위중증·사망 예방 강화에 집중한다.


   - 60세 이상 고위험군 등은 보건소 PCR 검사 후 재택치료와 신속히 연계하고, 병·의원 방문자는 전문가용 RAT 검사 후 즉시 먹는 치료제를 처방하도록 집중 안내하고 있다.


  ○ 요양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내 4차접종과 60세 이상 미접종자 접종관리로 예방접종률을 늘리는 한편, 면역형성이 어려운 면역 저하자에 대해 예방적 항체요법의 도입도 검토한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위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 예방접종을 적극 권고하고, 일반격리병실에서도 코로나19 환자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현장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하였다.


○ 주간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지표명

31

(2.27.~3.5.)

32

(3.6.~3.12.)

33

(3.13.~3.19.)

34

(3.20.~3.26.)

대응역량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53.5

61.9

65.9

66.3


수도권

49.6

57.6

63.5

63.7


비수도권

62.6

71.9

71.4

72.2

-1 일평균 재원 위중증 환자 수()

761

1,033

1,133

1,097

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 비율(%)

77.4

94.9

109.4

83.6


수도권

58.6

69.2

90.9

69.2


비수도권

132.2

139.5

141.5

108.4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

49.3

46.6

47.2

43.2


수도권

50.2

47.3

47.4

42.6


비수도권

48.6

46.0

47.0

43.7

생활치료센터 가동률(%)

22.3

24.7

29.2

25.1


수도권

22.1

25.1

28.8

25.1


비수도권

22.6

24.0

30.0

24.9

재택치료 의료기관 가동률(%)

57.1

75.0

91.0

78.6


수도권

65.3

86.9

101.0

88.5


비수도권

50.2

65.5

83.0

71.0

-1 재택치료자 비율(%)

94.6

95.8

94.7

94.7

발생

주간 사망자 수()

901

1,348

1,957

2,516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819

881

975*

1,093

-1 중증화율(%)

(10)2.11, (11)2.97, (12)2.08, (1)0.63, (2)0.16

주간 입원환자 수()

12,193

13,161

13,387

12,542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 국내

197,244

284,724

404,563

351,268


수도권

111,335

152,169

213,610

183,315


비수도권

85,910

132,556

190,954

167,953

-1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 해외유입

93

78

56

42

-2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10만 명당), 국내

382.0

551.4

783.4

680.2


수도권

427.8

584.7

820.8

704.4


비수도권

335.4

517.5

745.5

655.7

-3 주간 신규 확진자 수(), 국내

1,380,710

1,993,071

2,831,942

2,458,877


수도권

779,343

1,065,180

1,495,267

1,283,204


비수도권

601,367

927,891

1,336,675

1,175,673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15.0

16.2

17.8

18.4

-1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수()

207,637

322,965

504,079

452,207

18세 이하 확진자 비율(%)

24.8

25.5

25.1

25.9

-1 주간 18세 이하 확진자 수()

342,378

508,234

710,397

637,744

확진자 중 미접종자(1차접종포함) 비율(%)

7.3

7.0

6.7

-

감염재생산지수(Rt)

1.30

1.29

1.29

1.01

예방

접종

2차 접종률(%)

86.5

86.6

86.6

86.7

-1 3차 접종률(%)

61.9

62.5

63.0

63.5

60세 이상 2차 접종률(%)

95.6

95.7

95.7

95.7

60세 이상 3차 접종률(%)

88.5

88.7

88.9

89.0

예방접종효과(미접종 대비 3차접종)

* 31주 기준

위중증 예방효과

사망 예방효과

92.0%

92.9%


* 집계 오류로 인한 ’22년 3월 3주 신규 위중증 환자 수 정정(985명 → 975명, -10명) 


※ (지표② 기준) 감당가능 확진자 수(3월 4주∼): 전국 420,000명, (수도권) 265,000명, (비수도권) 155,000명 

  - 기준: (중증화율) 0.16%, (중환자+준중환자 확보병상) 8,117개, (재원일수) 12일



2. 먹는 치료제 조기 도입 및 활용 방안


□ (구매계약)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확진자 증가에 따른 먹는 치료제 신속 도입과 추가확보, 치료제 효과 등을 감안하여 3월 28일 현재 총 120.4만 명분*의 먹는 치료제 구매계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 (기존) 100.4만 명분(화이자社 팍스로비드 76.2만 명분, MSD社 라게브리오 24.2만 명분) → (변경) 120.4만 명분(화이자社 팍스로비드 96.2만 명분, MSD社 라게브리오  24.2만 명분)


 ○ 화이자社 먹는치료제(팍스로비드)는 당초 76.2만 명분에서 20만 명분을 추가구매하여 96.2만명분으로 계약을 변경(3.25)하였다.


□ (국내도입) 국내에 기 도입된 화이자社 팍스로비드 16.3만 명분 외에도 3월 말부터 4월까지 총 46만 명분이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 3월 말에는 화이자社 팍스로비드는 8.4만 명분(3.25 4.4만, 3월 5주 4만), MSD社 라게브리오는 10만 명분(3.24 2만, 3.27 8만)이 도입되며,


 ○ 4월에는 화이자社 팍스로비드 27.6만 명분이 도입될 예정으로 제약사와 협의 중에 있다.


< 먹는 치료제 3월 말~4월 국내 도입일정 >


구분(46)

도입물량 및 일정 ()

화이자사 팍스로비드

(36)

3월 말 8.4(3.24() 4.4, 354)

427.6(협의 중으로 변경될 수 있음)

MSD사 라게브리오

(10)

3월 말 10(3.24() 2, 3.27() 8)


□ (국내 사용) 화이자社 팍스로비드는 12.7만 명분 사용, 재고는 8만 명분이고, MSD社 라게브리오 3.26부터 3.27까지 5백 명분이 사용되었고, 재고는 금일 도입되는 8만 명분까지 약 10만 명분이다. 


□ (라게브리오 공급·처방) 3월 26.(토)부터 3월 29.(화)까지 1.9만 명분을 감염병전담요양병원, 치료제 거점병원, 담당약국 등에 공급하였고, 3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 투여대상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긴급사용승인 내용 등을 고려하여 ①증상 발현 5일 이내, ②60세 이상자, 40세 이상 기저 질환자, 면역저하자 중 ③기존 치료제 사용이 어려운 대상자에게 사용되며,


   - 투여대상자 중 발열·숨참 증상이 있는 경우 또는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60세 이상의 환자에 대하여서는 치료제의 투약을 우선 고려하도록 하였다.


  ○ 먹는 치료제 투여는 팍스로비드를 우선 처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병용 금기 약물 복용 등으로 투약이 제한*되거나, 다른 치료제 사용이 어려운 경우 라게브리오를 처방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중증 간장애·신장애 환자, 병용금기(28종(국내 허가 23종)) 의약품 등을 복용 중인 환자 

   ** (용법·용량) 하루 800mg(200mg 4캡슐)씩 2회(12시간마다) 5일간 복용


  ○ 다만, 식약처 긴급사용승인 조건 상 임부와 만 18세 미만 소아·청소년 환자는 투약 대상에서 제외되며, 수유부, 가임기 여성과 남성 투여시 투약자에게 수유, 피임에 대한 설명과 교육이 필요하다.


수유부 : 영아에게 이 약으로 인한 약물이상반응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이 약 투여 중 및 마지막 투여 후 4일간은 수유가 권장되지 않음

가임기 여성 : 가임기 환자에게는 이 약 투여 중 및 마지막 투여 후 4일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사용하도록 교육함,

가임기 남성 : 가임기 배우자와 성생활을 하는 환자에게 이 약의 투여 중 및 마지막 투여 3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사용하도록 교육함


 ○ 먹는치료제의 안전한 사용을 위하여 「치료제사용안내서(제6판)」를 지자체, 의료기관 등에 배포하였으며(3.25), 추가로 의료진을 위한 교육 영상 자료를 제작·배포하여 현장에서 쉽게 참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질병관리청 누리집 및 코로나19홈페이지 게시 


□ (당부사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먹는 치료제를 충분히 확보하여 고령자 등 필요한 환자에게 적시에 투약하도록 하고, 의료진들은 코로나19 치료제 사용안내서에 따라 먹는 치료제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안전한 투약과 복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협조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3. 소아청소년 접종(5-11세 기초, 12-173) 안내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 이하 ‘추진단’)은 소아청소년에 대한 기초접종(5~11세) 및 3차접종(12~17세)을 준비하고, 시행 중에 있다.


 ○ 5~11세 기초접종 및 12~17세 3차접종은 고위험군을 비롯한 소아청소년에서의 중증·사망 예방을 목표로 시행한다.


   - 관련 학회 권고 및 전문가 자문 등에 근거, 중증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게는 적극 권고하며, 그 외 일반 소아청소년은 접종의 효과성과 안전성 관련 정보를 충분히 제공·안내하여, 자율적으로 접종을 시행한다.


[고위험군 범위]


만성폐질환, 만성심장질환, 만성간질환, 만성신질환, 신경-근육질환

당뇨, 비만, 면역저하자(면역억제제 복용자)

만성질환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집단시설에서 치료, 요양, 수용 중인 소아

이외에도, 상기 기준에 준하는 고위험군 5-11세 소아로서 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사소견에 따라 접종 권고


? [5-11세 소아 기초접종] 


 ○ (접종대상) 출생연도 기준으로 2010년생 중 생일 미도과자부터 2017년생 중 생일 도과자까지 접종대상에 해당된다.


   - 기 확진자의 경우, 고위험군은 면역 형성 및 중증·사망 예방을 위하여 기초접종 완료를 권고하나, 일반 소아*는 접종을 권고하지 않는다*.


     * 1차접종前 확진 시 접종 미권고, 1차접종後 확진 시 2차 미권고 


 ○ (접종간격) 1차접종과 2차접종은 8주(56일) 간격으로 시행한다. 다만, 의학적 사유 또는 개인 사정에 따라 조기에 2차접종이 필요한 경우, 식약처 허가간격인 3주(21일) 범위 내로 접종 가능하다.


 ○ (접종방법)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예약 후, 소아접종 지정 위탁의료기관(약 1,200개소)에서 소아용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받게 된다.


   - 소아의 경우 접종의 안전성 및 이상반응 모니터링을 위해 보호자 또는 법정대리인 동반이 반드시 필요하다.


   - 당일접종은 의료기관 예비명단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민간 SNS를 통한 예약은 제공되지 않는다.


     * 접종방식(보호자 동반 필수) 및 본인인증의 어려움 등 고려


   - 소아접종 지정 위탁의료기관*은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접종역량, 응급대응,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백신의 안전한 보관·관리·접종을 위해 접종술기 교육을 필수로 한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 내 “예방접종 현황” > “소아용 코로나19 백신접종기관” 메뉴에서 확인 가능


 ○ (접종일정) 사전예약*은 3월 24일(목)부터 시작되었으며, 당일접종을 포함한 접종은 3월 31일(목)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예약일을 기준으로 1주 이후부터 접종일 선택 가능(예: 3.28일 예약 → 4.4일 이후 선택)


   - 현재까지 소아(`10년생 생일 미도과자~`17년생 생일 도과자) 중 약 4만 명이 예약에 참여(예약률 1.3%)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이상반응 감시) 접종에 참여한 모든 5~11세를 대상으로, 접종 시 등록된 연락처를 통해 일정기간 동안 주의사항 및 조치사항을 안내하며, (1차: 접종 후 3일·7일, 2차: 3일·7일·42일)


   - 초기 접종자 중 문자 수신에 동의한 경우(1,000명 예정), 접종 이후 일주일간 능동감시를 통해 건강상태 및 일상생활 문제 여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 [12-17세 청소년 3차접종]


 ○ (접종대상) 만 12~17세 중 기초접종 완료 후 3개월이 경과한 청소년이 접종대상이며, 출생연도 기준으로는 2005년생부터 2010년생 중 생일 도과자까지가 해당된다. 


   - 다만, 기초접종 완료 후 확진된 경우에는 성인과 동일하게 3차접종을 권고하지 않는다. 


 ○ (접종간격) 2차와 3차접종 간 간격은 18세 이상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반 청소년의 경우 3개월(90일) 이후, 면역저하자의 경우 2개월(60일) 이후 접종한다.


 ○ (접종방법)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접종일을 예약하거나 당일접종*을 통해 접종할 수 있으며, 보호자(법정대리인) 동의를 기반으로 하여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받게 된다.


     * ①카카오톡·네이버에서 잔여백신 예약(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소지자에 제한됨) ②의료기관 예비명단(유선확인)


 ○ (접종일정) 현재 예약접종과 당일접종이 진행 중에 있으며, 사전 예약에 따라 접종할 경우, 예약일을 기준으로 1주 이후부터 접종일을 선택*할 수 있다.


     * 예: 3.28일 예약 → 4.4일 이후 선택 가능


   - 현재까지 예약자는 총 약 18만 명(3월말 기준 대상자 대비 18.0%)으로 잠정 집계되었고, 예약접종과 당일접종을 포함하여 총 약 9만 명이 3차접종에 참여(3월말 기준 대상자 대비 9.0%)하였다.


 ○ (이상반응 감시) 3차접종에 참여한 12~17세 모두를 대상으로 접종 시 등록된 연락처를 통해 접종 이후 3일, 7일 차에 주의사항 및 조치사항을 재안내하고,


   - 초기접종자 중 문자 수신에 동의한 경우(1,000명 예정), 접종 이후 일주일간 능동감시를 통해 건강상태 및 일상생활 문제 여부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 추진단은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에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본인과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한 수단인 점을 재차 강조하며, 


 ○ 특히 WHO의 성명 및 국내 관련 학회의 권고내용과 같이 소아청소년에서도 고위험군의 경우 접종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소아청소년 본인과 가족 등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4. 오미크론 변이 대응 국민행동수칙 준수 당부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 변이의 확산 방지를 위해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을 일상생활에서 반드시 준수해주실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


 ○ 높은 전파력을 가진 오미크론 변이는 단기간 내 대규모 코로나19 유행 촉발로 방역·의료 대응 부담을 늘려 ‘사회적 피해 규모’를 증가시킬 우려가 있어,


   - 국민 여러분들께서는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준수를 통해 코로나19 유행 억제에 협조해주실 것을 요청했다.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감염예방

1.

코로나19 예방접종 3차접종(부스터) 적극 참여하기


3차접종(부스터)받기, 미접종자는 신속히 1·2차 접종받기

2.

3(밀폐·밀집·밀접)환경에서 보건용 마스크(KF80, KF94) 쓰기


밀폐·밀집·밀접환경, 감염취약시설 방문 시 KF80, KF94 마스크 권장


예방접종을 받았어도 마스크 착용하기


하루 3, 10분이상 문과 창문을 열어 환기하기

3.

대면 접촉 줄이기


사적모임은 8인 이내, 다중이용시설 이용은 짧게, 대화할 때는 마스크 착용


조기진단·조기치료

4.

(60세 이상, 고위험군) 유증상 시 신속하게 검사받고, 치료받기


유증상 시 즉시 검사, 확진 시 먹는 치료제 등 조기 치료

5.

(일반) 유증상 시 신속항원검사받고, 치료받기


가정·지정의료기관·선별진료소에서 신속항원검사(양성PCR), 확진 시 재택치료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5. 코로나19 국내 발생 예측(3.23. 분석)

        6.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3.26. 기준)  

        7.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8. 돌파감염 발생 현황(3.20. 0시 기준)

        9.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3.20. 0시 기준)

       10. 소아 재택치료 환자 안내 사항

       11. 확진자 및 접촉자 관리 기준 변경 주요사항

       12.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①

       13. 확진자 및 동거인 안내문 ②

       14. 재택치료 안내문 [집중관리군]

       15. 재택치료 안내문 [일반관리군]

       16. 재택치료자 동거인 안내문

       17. 유전자검사(PCR) 우선순위 대상 안내문

       18. 오미크론 대응 국민행동수칙 및 업무지속계획 주요내용

       19.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슬기로운 환기 가이드라인

       20. 면역저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21. 임신부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임신부용) 

       22. 만 5-11세 소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23. 청소년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청소년용) 

       24. 12-17세 청소년 3차접종 안내문

       25. 청소년 심근염·심낭염 진료 안내문(의료인용)

       26.「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