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한)국립감염병연구소-(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감염병 연구 협력 강화를 위한 협력의향서(LOI) 체결
  • 작성일2022-04-27
  • 최종수정일2022-05-09
  • 담당부서감염병연구기획총괄과
  • 연락처043-719-7351

(한)국립감염병연구소-(미)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감염병 연구 협력 강화를 위한 협력의향서(LOI) 체결


- 다양한 감염병 분야의 연구 협력을 통한 국제협력 강화 -


-미 국가 연구기관 간 협력으로 신·변종 감염병에 대한 연구 강화

국립감염병연구소의 창구 역할을 통해 국내 연구기관의 국제협력 확대


□ 질병관리청(청장 정은경)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 국립감염병연구소(소장 장희창)는 4월 26일(화)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와 신ㆍ변종 감염병에 대한 연구개발 협력 강화를 위한 협력의향서(LOI, Letter of Intent)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 본 의향서 체결은 한국-미국 국립감염병연구소 간 협력 의향 서신 교환(‘21.5.18)에 따른 후속 조치로,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 및 치료제 분야 연구를 우선적으로 추진(ACTIV* 등)하기로 하였으며,


   * ACTIV(Accelerating COVID-19 Therapeutic Interventions and Vaccines) : 미(美) 정부주도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속 임상시험 지원 프로그램


   - 향후 이 협력의향서를 계기로 양국의 연구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국제 공동연구, 인력교류 및 공동심포지엄 개최 등을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 현재 양측이 논의하고 있는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및 임상 연구, 결핵 진단 및 치료평가 연구(RePORT*), 라임병 등 매개체 전파 질환에 대한 진단법 개선, 신종 감염병에 대한 글로벌 감시 및 선제적 대응을 위한 연구 등을 우선적으로 공동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RePORT(Regional Prospective Observational Research for Tuberculosis) : 미(美) NIH 운영 결핵 국제 연구 컨소시엄



RePORT 주요 내용




구성 : 미국, 중국 등 7개국

수행 업무 : 결핵 치료, 진단 바이오마커 개발 등 결핵 관련 국제협력 연구

- 결핵 관련 임상 데이터 및 표본 수집을 위한 연구 프로토콜 표준화

- RePORT 공통 프로토콜에 따른 환자 모집 및 검체 수집(결핵균, 혈액, 객담 등 관련 검체) 등 관련 연구 진행

- RePORT 운영위원회를 통한 연구 설계 및 수행 자문 등


□ 이날 체결식에서는 신속한 신·변종 감염병 대응·대비를 위한 양 기관 간 공동연구 주제선정 및 세부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 특히 미(美)측에서 제안한 ’신종 및 알려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 평가정보를 통해 진단, 치료제, 백신 개발을 위한 선제적 판데믹 대응 프로그램‘(PREMISE)*에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 Pandemic REsponse REpository, Microbial/Immune Surveillance and Epidemiology



PREMISE 주요 내용




구성 : 미(美) ···, 국제기구 및 글로벌 협력기관 참여

수행 업무 :

- 인수공통 매개체(박쥐 등) 및 사람 샘플 유전자 분석을 통한 병원체 감시

- 다량의 혈청 샘플 분석을 위한 항체 및 세포성 면역분석법 개발

- 코호트연구를 통해 신규 바이러스에 대한 항원특이적 및 교차반응성 면역반응 분석

- 실험실 분석 역량 구축 및 확장


□ 국립감염병연구소 장희창 소장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지속적으로 양국 간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해왔으며, 이번 협력의향서 체결을 계기로 새로운 정부 출범에 즈음하여 더욱 실질적인 연구 협력을 추진 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전했다.


 ○ 또한 “양 기관 연구자들 간 공동연구 협력을 통해, 신종감염병에 대한 백신 및 치료제 개발뿐만 아니라 결핵과 같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질병 부담이 있는 미해결 감염병에 대한 문제해결형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 향후 국립감염병연구소가 국가 감염병 연구를 총괄하는 연구기관으로 대외 협력의 창구 역할을 하여 다양한 민간 연구기관의 연구 협력뿐만 아니라 인력교류 및 심포지엄 등을 통해 연구기관들의 긴밀한 협력을 도모하겠다”라고 밝혔다.


 ○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 소장인 앤소니 파우치 박사는 “양국의 감염병연구소 간 협력의향서를 체결하게 되어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 한국이 국제적 보건 안보에 있어서 중요한 협력국으로써 앞으로 감염병 대응과 백신 및 치료제 연구에 보다 적극적으로 함께하게 되어 의미가 크다”라고 전했다.


<붙임>  1. 한(NIID)-미(NIAID) 간 체결식 개요

         2. 한(NIID)-미(NIAID) 간 협력의향서(LOI) 국문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