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 4월 자연감염률(36.1%)은 동기간 전국민(10세이상) 누적발생률 보다 6.6% 높아 (6.14.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6-14
  • 최종수정일2022-06-20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 p.22 수정: 붙임2. 9개국 인구 100만 명당 누적 사망자 추이 그래프(붉은색 표기)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 

4월 자연감염률(36.1%)은 동기간 전국민(10세이상) 누적발생률 보다 6.6% 높아 

(정례브리핑)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항체양성률조사 결과 및 계획

 ○ `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자 1,612명(1~4월)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 

   - 백신접종 및 자연감염에 의한 전체 항체양성률은 94.9%

   - 자연감염으로 인한 항체양성률은 1월 0.6%에서 4월 36.1%로 증가함 

 ○ 정확한 자연감염자 규모 확인 및 유행 위험 요인 분석을 위한 대규모 전국단위 항체양성률 조사 추진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9,185명(전주 대비 25.4%↓)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62명, 사망자 113명


□ 원숭이두창 발생 대비·대응 계획

 ○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을 통해 분야별 대응체계 점검 실시

   - 항바이러스제(테코비리마트) 국내도입 논의, 환자 발생 시 중앙감염병전문병원(국립중앙의료원)에서 격리 치료

     * 접촉자는 노출수준에 따라 3단계로 분류 및 고위험군 접촉자 21일 간 격리 검토

   - 환자 발생 시 시도별 병상 지정 및 환자 배정 협조체계 구축 및 반려 및 야생동물을 통한 사람으로의 감염예방을 위해 유관부처 공조체계 강화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코로나19 주간 신규 발생이 3월 3주 이후 최근 12주간 지속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3월3주) 283.2만 명 → (4월2주) 104.3만 명→(5월2주) 25.2만 명→(6월2주) 6.4만 명


 ○ 6월 2주(6.5.~6.11.) 주간 확진자 수는 64,295명, 주간 일평균 9,185명 발생하여 전주 대비 25.4% 감소하였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79로 11주 연속 1미만을 유지하였다.


<그림>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1.11.1.~’22.6.11.)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43

(4.17.~4.23.)

44

(4.24.~4.30.)

51

(5.1.~5.7.)

52

(5.8.~5.14.)

53

(5.15~5.21.)

54

(5.22~5.28.)

61

(5.29.~6.4.)

62

(6.5.~6.11.)

확진자수()

617,773

407,449

266,582

252,374

181,857

129,320

86,220

64,295

일 평균 확진자()

88,253

58,207

38,083

36,053

25,980

18,474

12,317

9,185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170.9

112.7

73.7

69.8

50.3

35.8

23.9

17.8

전 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59

0.66

0.65

0.95

0.72

0.71

0.67

0.75

감염재생산지수(Rt)

0.70

0.74

0.72

0.90

0.83

0.81

0.74

0.79



 ○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전주 대비 감소하였으며,


   - 20-29세에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발생률(31.0명)을 보이고, 전체 발생 중 비중은 20-29세(22.5%), 30-39세(14.8%), 40-49세(14.3%) 순으로 나타났다.


 ○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는 줄고 발생 비중도 소폭 감소하고 있다.


   * 60세 이상 비율 : (5월1주) 22.0% → (5월3주) 18.7% → (6월1주) 15.4% → (6월2주) 15.0%

    ** 60세 이상 확진자수 : (5월1주) 58,557명  →  (5월3주) 33,983명 →  (6월1주) 13,288명 →  (6월2주) 9,657명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54

61

62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129,320

(100.0)

35.8

86,220

(100.0)

23.9

64,295

(100.0)

17.8

18,218,078

(100.0)

35,280

성별

남성

61,367

(47.5)

34.0

40,933

(47.5)

22.7

31,352

(48.8)

17.4

8,563,909

(47.0)

33,262

여성

67,953

(52.5)

37.5

45,287

(52.5)

25.0

32,943

(51.2)

18.2

9,654,169

(53.0)

37,286

연령별

0-9

10,843

(8.4)

41.2

7,215

(8.4)

27.4

5,090

(7.9)

19.3

2,184,427

(12.0)

58,091

10-19

17,495

(13.5)

53.1

11,485

(13.3)

34.8

8,251

(12.8)

25.0

2,386,429

(13.1)

50,675

20-29

24,781

(19.2)

53.2

18,700

(21.7)

40.1

14,454

(22.5)

31.0

2,650,904

(14.6)

39,828

30-39

18,672

(14.4)

39.7

12,501

(14.5)

26.6

9,508

(14.8)

20.2

2,678,665

(14.7)

39,841

40-49

18,662

(14.4)

32.6

12,218

(14.2)

21.4

9,199

(14.3)

16.1

2,811,763

(15.4)

34,429

50-59

16,893

(13.1)

27.9

10,813

(12.5)

17.9

8,136

(12.7)

13.5

2,248,950

(12.3)

26,044

60-69

12,300

(9.5)

24.5

7,684

(8.9)

15.3

5,634

(8.8)

11.2

1,847,606

(10.1)

25,788

70-79

6,130

(4.7)

23.6

3,507

(4.1)

13.5

2,551

(4.0)

9.8

876,355

(4.8)

23,589

80세이상

3,544

(2.7)

24.0

2,097

(2.4)

14.2

1,472

(2.3)

10.0

532,979

(2.9)

25,284



□  6월 2주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62명으로 전주 대비 39.8% 감소하였고, 사망자는 113명으로 전주 대비 14.1% 증가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 (5월 4주) 146명 → (6월 1주) 103명 → (6월 2주) 62명

  ** 주간 사망자 수 : (5월 4주) 228명 → (6월 1주) 99명 → (6월 2주) 113명

 *** 과거 사망사례 보고비율 증가 : 사망 7일 이후 보고 비율 (6월 1주) 25.2% → (6월 2주) 32.8%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2.6.11. 0시 기준)





 ○  6월 2주까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47.2명(치명률 0.13%)이며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680.0명(치명률 2.69%)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51.0명(치명률 0.64%), 60대는 40.2명(치명률 0.16%)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22.6.11. 0시 기준)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6월 2주 사망자 중 60대 이상이 92.0%(104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80대 이상이 61.1%(69명), 70대가 15.9%(18명), 60대가 15.0%(17명)이었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40.4%(42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기저질환) 사망자들에서 확인된 기저질환은 고혈압·뇌경색·심부전 등 순환기계 질환, 치매 등 신경계 질환, 당뇨병·갑상선질환 등 내분비계 질환이 많은 상황이다.


□ 국외 발생은 ’22년 22주차(5.30.∼6.5.)에 신규발생 311만명(WHO기준)으로 전반적으로 발생이 최근 3주 연속 감소하였다.


  * 전 세계: (22주) 확진 3,113,507명(-9.7%), 사망 7,991명(-19.4%)


 ○ 전 세계적으로 발생은 감소하고 있으며, 오미크론 하위 변이가 증가하고 있는 미국과 남아공에서도 최근 발생과 사망이 감소하였다. 


   * (미국) BA.2.12.1형 변이가 증가하며 9주 연속 증가하던 발생이 최근 1주 감소, 사망자 수도 최근 1주 감소

  ** (남아공) BA.4, BA.5형 변이가 우세종화되며, 발생이 최근 3주 연속 큰 폭으로 감소, 사망자 수도 최근 1주 감소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3,556건) 및 해외유입(173건)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6.11.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3주 50.3% → 2월3주 98.9% → 6월2주 100.0%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2.3은 61.7%(+0.8%p), BA.2 검출률은 30.8%(-2.9%p)로 확인되었다.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6.11. 기준) >


구분

분석주차

분석

건수

주요 변이

오미크론

검출률(%)

검출률(%)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2

BA.2.3

국내감염

53

3,958

3,958

100.0

3958

100.0

35.1

61.6

54

4,112

4,112

100.0

4112

100.0

33.5

60.2

61

4,033

4,033

100.0

4,033

100.0

33.7

60.9

62

3,556

3,556

100.0

3,556

100.0

30.8

61.7

해외유입

53

72

72

100.0

72

100.0

40.0

32.0

54

89

89

100.0

89

100.0

52.8

22.6

61

117

117

100.0

117

100.0

48.5

21.2

62

173

173

100.0

173

100.0

23.1

20.5


   * 전장유전체분석 기반 별도산출




  ○ 오미크론 BA.2.12.1 39건(국내 6건, 해외유입 33건), BA.4 6건(해외유입 6건), BA.5 22건(국내 7건, 해외유입 15건), 재조합변이 XE 3건(국내2건, 해외유입 1건) 및 XQ 1건(국내 1건)이 추가로 검출되어, 관련 역학조사가 진행 중으로 현재까지 BA.2.12.1 총 127건, BA.4 총 14건, BA.5 총 35건, 재조합변이 총 13건(XE 6건, XQ 5건, XM2건)이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 주 추가로 확인된 변이는 다음과 같다.


변이 바이러스

확인 건수

유입 국가

BA.2.12.1.

국내감염 6

-

해외유입 33

미국 26, 터키 2, 캐나다 2,

북부마리아나군도 1, 헝가리 1, 일본 1

BA.4

해외유입 6

미국 4, 레소토 1, 태국 1

BA.5

국내감염 7

-

해외유입 15

프랑스 4, 터키 2, 모로코 2, 싱가포르 2, 브라질 1, 미국 1, 스페인 1, 아랍에미레이트 1, 인도네시아 1

재조합

변이

XE

국내감염 2

-

해외유입 1

프랑스 1

XQ

국내감염 1

-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5%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2.0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3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5%,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70.1%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22.6.5.기준)




□ 전국 중환자 병상과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모두 최저 수준을 유지하며 의료대응역량이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상황이다. 


 ○ 유행 수준을 고려하여 확보병상을 지속적으로 감축하는 가운데 중환자와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 중환자실 병상가동률(6.1주 → 6.2주): (전국) 9.3% → 7.5%, (수도권) 7.3% → 5.8%, (비수도권) 14.3% → 12.9%

   * 준-중환자실 병상가동률(6.1주 → 6.2주): (전국) 10.6% → 9.7%, (수도권) 7.6% → 6.0%, (비수도권) 18.5% → 20.4%





□ 6월 2주 주간 위험도는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위원희 의견을 종합한 결과, 대응역량의 안정세, 확진자 및 위중증의 지속 감소세를 고려하여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평가하였다.



<6월 2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2

3

4

5

6

2

(2.6.~)

3

(2.13.~)

4

(2.20.~)

1

(2.27.~)

2

(3.6.~)

3

(3.13.~)

4

(3.20.~)

5

(3.27.~)

1

(4.3.~)

2

(4.10.~)

3

(4.17.~)

4

(4.24.~)

1

(5.1.~)

2

(5.8.~)

3

(5.15.~)

4

(5.22.~)

1

(5.29.~)

2

(6.5.~)

전국

높음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높음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높음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 정부는 여름철 휴일을 맞아 여행 수요가 많은 6월 첫 주간(6.1.~6.6.) 실내마스크 의무 등 일상 속 생활방역수칙 준수 여부를 점검*하였으며, ‘여행가는 달’을 맞이하여 안전한 여행이 될 수 있도록 생활방역수칙 실천 중요성에 대한 안내·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 유동인구가 많고 취식공간이 포함된 터미널·휴게소 시설을 대상으로 표본점검


 ○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여름철 첫 연휴로, 전반적으로 실내마스크 착용의무를 적극 준수하고 있었으며,


   - 실외마스크 의무가 일부 해제되었음에도 고령층 등 고위험군 대상 권고 수칙에 따라 여전히 실외에서도 착용이 많은 편이었으나,


   - 여름철 무더위 영향 등으로 마스크를 벗고 싶은 심리도 증가하므로 개인 연령 및 건강상태를 고려한 자발적 실천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또한 실내여행·숙박시설 이용객 증가 및 실내 다중이용시설의 업종별 위험요인을 고려한 환기관리의 방법 및 실천 중요성에 대한 안내·홍보를 진행할 예정이다.



○ 주간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표> 첨부파일 참고







 2.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 및 계획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이하 국건영) 참여자에 대한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 이번 조사는 `22년 1월부터 4월까지 전국 16개 시·도(세종 제외)의 국건영 조사 참여자 1,61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 조사 결과, 백신접종 및 자연감염에 의한 전체 항체양성률은 94.9%(1,530명)이며, 이 중 자연감염으로 인한 항체양성률은 1월 0.6%에서 4월 36.1%로 오미크론 확산에 따라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 (1월) 0.6% → (2월) 2.5% → (3월) 16.5% → (4월) 36.1%


    * 항체양성률: 코로나19 바이러스의 S(spike) 항원, N(nucleoprotein)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를 보유한 비율

    * S 항원: 감염 및 백신 유도 항체 검출(자연감염과 백신 접종 모두 반영)

    * N 항원: 감염 후 생성된 항체 검출(자연감염)


[`22년 국건영 참여자 월별 항체양성률]

구분

수집기간

조사건수()

S항체양성자(%)

N항체양성자(%)

1

1.19.~1.30.

351

327

(93.2)

2

(0.6)

2

2.01.~2.30.

408

391

(95.8)

10

(2.5)

3

3.01.~3.31.

401

384

(95.8)

66

(16.5)

4

4.01.~4.30.

452

428

(94.7)

163

(36.1)

전체

1.19.~4.30.

1,612

1,530

(94.9)

241

(15.0)


  - 조사결과 4월 자연감염으로 인한 항체양성률(36.1%)은 동기간 10세 이상 전국민 누적발생률(29.5%) 보다 6.6%p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4월 누적 발생률 : 4월 15일 기준 10세 이상의 확진자 수/`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10세 이상 인구  



<그림> `22년 1-4월 자연감염에 의한 N항체양성률 비교



  - 이번 조사 시기가 오미크론 대유행 기간으로 지역사회 내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국건영 참여자의 월별 자연감염에 의한 항체양성자 및 미진단 감염자도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전문가 자문 결과, 이번 조사는 오미크론으로 인한 유행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국건영 조사가 1년 주기의 국가통계 산출을 위해 설계된 표본이기에 월별 조사지역이 상이하고 조사 규모가 적으며, 대상자의 연령이 10세 이상으로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 따라서,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보다 정확한 자연감염자 규모 확인과 유행 위험 요인 분석을 위해 대규모의 전국단위 항체양성률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대규모 조사는 지역·연령·유병률 등을 고려하여 전국 17개 시·도 주민을 대상으로 분기별로 진행된다. 올해 조사는 분기별 1만명씩 3만명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감염병 유행 상황 등을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운용할 예정이다. 


  - 이번 조사는 현재 주관 연구기관 선정을 위한 공고(5.31∼6.17) 중이며, 선정평가 등 절차를 거쳐 7월초에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지난 3월 말 인수위의 항체양성률 조사계획 발표 이후 신속하게 준비에 착수하였으나, 예산확보, 관계부처 협의, 사업공고 등 행정절차에 시간이 소요되어 조사가 당초 예상보다 지연되었다. 앞으로 최대한 신속하게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대규모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는 감염병 유행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것이며, 또한 방역 대응 수준 결정과 중환자 병상 수요 파악 등 의료체계의 효율적 준비를 위한 근거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조사의 대상자는 인구통계학적 표본설계에 의해 선정되며, 대상자로 선정되신 분들의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를 부탁드린다.





 3. 원숭이두창 발생 대비‧대응 계획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원숭이두창 발생 관련하여 관계부처 간 필요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대책반 회의를 개최(6.14)할 예정이다.

     *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소방청


 ○ 그간 위기경보 발령(관심단계, 5.31)을 통해 대책반을 설치하였던 바, 동 회의를 통해 각 부처 소관 사항에 대한 확인 등 분야별 대응체계를 점검하기 위한 목적이다.


□ 질병관리청은 동 회의에서 원숭이두창 국내 발생 대비 항바이러스제

   (테코비리마트) 약 500명분의 7월 중 국내 도입을 위해 세부 절차를 논의할 예정이다.


 ○ 국내 도입 예정인 테코비리마트는 해외에서 유일하게 원숭이 두창 치료제로 허가받은 제품으로 성인 및 소아(13kg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되며,

  - 국내 상황에 따라 테코비리마트의 추가구매를 계속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추가적으로 중증환자 발생 시 국내 비축 중인 시도포비어와 백시니아 면역글로불린 사용도 고려


□ 향후 원숭이두창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중앙감염병전문병원(국립중앙의료원)에서 감염력이 소실될 때(피부병변의 가피 탈락 등)까지 격리입원 치료를 받도록 할 예정이며,


 ○ 접촉자는 확진자에 대한 노출수준에 따라 3단계(고위험, 중위험, 저위험)로 분류하고, 고위험군* 접촉자에 한해 제한적으로 21일간 격리를 검토하고 있다.


   * 확진자의 증상발현 21일 이내 접촉한 동거인, 성접촉자 등


□ 또한, 복지부에서는 감염예방과 환자발생 시 신속한 병상이송을 위해 시도별 병상 지정 및 환자 배정을 위한 협조 체계를 운영할 예정이며,


 ○ 소방청은 환자 발생 시 119 구급대의 신속한 환자 이송 및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원숭이두창 119 대응지침(이송원칙, 개인보호장비 착용, 소독 등)을 제정하여 시행할 예정이다.  


□ 아울러, 반려 및 야생동물을 통한 사람으로의 감염예방 조치를 위해 유관부처와의 공조체계를 강화하는 등 방역대응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 환경부에서는 전국 동물원(109개소)에 아프리카 수입 영장류·설치류 관람 시 주의사항을 방문객에게 안내(6.13.)하도록 요청하였으며, 


  - 아프리카 수입 영장류·설치류 예찰로 특이사례 발견 시 신속한 조치를 시행하는 한편 야생동물의 원숭이두창을 진단하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 농식품부에서는 감염병 위기경보 ‘관심’ 단계에 따른 검역조치(6.8)를 실시하였으며, 원숭이두창 관련 반려동물 관리지침을 마련할 예정이다. 






 4. 60세 이상 연령층 4차접종 실시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60세 이상 연령층에 대한 4차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최근 4주간(’22.5.8.∼6.4.) 위중증 환자의 87%, 사망자의 90%가 60세 이상 연령층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사망자 중 80세 이상이 53.7%를 차지하고 있어, 추가적인 접종을 통한 중증·사망 예방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또한, 이스라엘의 코로나19 백신 효과 연구 Protection against omicron severe disease 0-7 months after BNT162b2 booster(MedRxiv, '22.5.5.)

에서, 3차접종(화이자) 후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백신 효과가 7개월 동안 지속되었고, 3차접종 대비 4차접종의 중증질환 발병이 3배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 (분석기간·대상) 오미크론 발생기간('22.1.16. ~ '22.3.12.), 60세 이상 감염환자 및 중증질환자




<그림> 60세 이상 접종 후 경과 기간별 중증질환 발생 비율(95% CI)




 ○ 현재 미국, 영국 등 국외 주요 국가에서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4차접종을 실시하고 있으며, 4차접종 대상 확대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 최근 미국은 12세 이상 면역저하자 및 50세 이상 연령층에게 4차접종을 ‘허용(allow)’하였던 권고수준을 높여 ‘권고(recommend)’하고 있다.


□ 60세 이상 연령층의 4차접종은 위중증·사망 예방을 목표로 하며, 특히 치명률이 높은 80세 이상에 대해서는 적극 권고한다.


 ○ 3차접종 후 최소 4개월(120일) 경과 시점부터 접종할 수 있고, mRNA 백신으로 접종받게 되나, 노바백스 백신으로도 접종 가능하다. 


 ○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예약하거나 당일접종으로 접종 가능하고, 스스로 예약이 어려운 고령층은 누리집을 통한 대리예약이나, 전화예약(1339, 지자체콜센터)도 할 수 있다.


  ○ 현재까지 60세 이상 연령층 중 약 412만 명이 4차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은 30.0%로 집계되었으며,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33.9%이다.


   - 특히, 치명률이 높아 접종이 적극 권고되는 80세 이상의 대상자 절반 이상이 접종에 참여하여(대상자 대비 접종률 53.7%) 높게 나타났다.


60세 이상 4차접종 현황(6.14. 0시 기준)

(단위 : , %)

구분

인구1)(A)

대상자2)

(B)

예약자

예약률

접종자

접종률

인구

대비

(C/A)

대상자

대비

(C/B)

인구

대비

(D/A)

대상자
대비

(D/B)

60세 이상 계

13,743,932

12,153,726

4,294,714

31.2

35.3

4,123,795

30.0

33.9

80대 이상

2,455,738

2,049,661

1,138,035

46.3

55.5

1,100,432

44.8

53.7

70-79

3,883,747

3,532,219

1,611,954

41.5

45.6

1,554,350

40.0

44.0

60-69

7,404,447

6,571,846

1,544,725

20.9

23.5

1,469,013

19.8

22.4



□ 추진단은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에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본인과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한 수단인 점을 재차 강조하며, 


 ○ 특히 고령층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서는 접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어르신 본인과 가족 등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6.11. 기준) 

        4.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BA2.12.1 등) 및 재조합 변이 인구학적·역학적 특성 

        5.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6. 돌파감염 발생 현황(6.5. 0시 기준)

        7.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6.5. 0시 기준)

        8. 원숭이두창 치료제 국내도입 및 활용방안

        9.「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