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고혈압 환자들을 위한 혈압 토크 콘서트 개최 (6.27.)
  • 작성일2022-06-27
  • 최종수정일2022-06-28
  • 담당부서심혈관질환연구과
  • 연락처043-719-8664

    「고혈압 환자들을 위한 혈압 토크콘서트」 개최


        - ‘저나트륨 건강증진 식이’ 실천만으로 혈압 조절 - 




- 주요 내용- 


□ 주요 사망원인이자 심뇌혈관질환 발생의 원인 질환인 ‘고혈압’의 조기 예방·관리를 위한 ‘대국민 교육 및 인식 개선’ 토크 콘서트 개최


□ 저나트륨 건강 식이의 실천 저해 요인 및 실천 제고 프로그램 소개

 ○ 저나트륨 건강증진 식단 및 소금섭취량 확인 앱(app) 개발

 ○  가능


□ 고혈압 예방관리를 위한 현장 중심의 이행실천 도구 개발, 보급 확산 및 실천 교육 등 활성화 방안 논의  





□ 질병관리청(백경란 청장) 국립보건연구원(권준욱 원장)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 원인 질환인 고혈압의 예방관리 및 극복 이행제고 전략 마련을 위해 ‘고혈압 조절을 위한 저나트륨식이 이행제고 연구*’ 과제를 지원하고 있으며,


   * 연구책임자 :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김용재 교수



 ○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6월 28일(화)에「고혈압 환자들을 위한 혈압 토크 콘서트*」를 연구팀과 공동 개최한다고 밝혔다.

    * 세부 일정 및 내용은 <붙임> 참고  




□ 본 토크 콘서트는 고혈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관련 질환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일반인 및 고혈압 환자들의 혈압조절을 위한 실천 방안으로 저나트륨 건강증진 식단을 실천 이행하는 것을 권고하고자 마련되었다.


· 우리나라 성인 나트륨 섭취량은 약 3,700mg, WHO의 나트륨 권고상한치 2,000mg을 초과(2019년 기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통계)

· 나트륨 목표섭취량(2,000mg) 이상 섭취자 분율이 75.6%로 여전히 높은 상황



 ○ 이번 토크 콘서트에는 신경학, 순환기내과학, 영양학의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 고혈압이 심장질환이나 뇌졸중과 같은 중증 만성질환의 발병에 미칠 수 있는 영향 등을 소개하고,


  - 일상생활에서 식단관리를 통한 혈압 조절 방법 중 저염 식단 섭취에 관한 혈압조절 효과성에 대한 결과 발표와 토론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 특히, 저염 식단 실천을 제대로 실행하기 위한 ‘자가 혈압 측정 및 나트륨 섭취량 확인 앱’의 사용 방법, 간편한 저염 건강 식단 등 이행실천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될 예정이다.




□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우리나라 성인 고혈압 유병률은 약 32.9%(’19년 기준)에 달하며, 60세 이상 인구에서는 절반 이상이 고혈압 환자”라고 밝히면서,


·30세 이상 성인의 32.9%(1,167만명)가 고혈압 환자(’19년 기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통계)

·고혈압 환자 3명 중 1명은 고혈압 미인지 상태, 유병자 10명 중 4명은 치료를 받지 않고 있고, 환자 중 혈압조절률은 48.8%로 절반에 불과

고혈압은 한번 발생하면 목표혈압 조절이 매우 힘든 질환으로, 조기 예방관리가 매우 중요



 ○ “일상생활에서도 고혈압을 예방하고 조절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마련하여,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실천도를 높일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며,


  - “가장 일상적 행동인 식사 섭취에서부터 고혈압 관리를 할 수 있는 실천 전략들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저나트륨 건강증진 식이’ 실천만으로도 혈압 조절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대국민 저염식 레시피의 교육 및 보급 확산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고혈압 환자들을 위한 혈압 토크 콘서트」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