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35.5% 증가 (11.2.수.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11-02
  • 최종수정일2022-11-03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2


* 수정사항(p.2 연령별 사망 및 위중증 현황 표 : 빨간색 표기)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35.5% 증가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6주만에‘중간’으로 상향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33,332명(전주 대비 35.5%↑)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와 동일 및 일평균 사망자(전주 대비 5.4%)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중간’으로 상향


 ○ 주간(10.16.~10.22.)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9.87%로 전주(9.48%) 대비 증가


□ 코로나19 방역 관련 보이스․메신저 피싱 주의 필요


 ○ 질병관리청 직원 및 1339를 사칭, 전화·문자·카카오톡 등을 통해 방역지원신청, 방역지원비 지급 목적으로 URL클릭, 어플 설치 유도 및 개인정보 요청사례 발생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10. 23.∼10. 29.)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10월 4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238명,  일평균 사망자는 2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9,131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10.23.

10.24.

10.25.

10.26.

10.27.

10.28.

10.29.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212

226

225

242

242

252

270

238

-

사망자*

16

10

17

26

26

31

31

22

157

입원

109

73

143

142

143

151

171

133

932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최근 1주간 일평균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59.1%, 70대가 22.7%, 60대가 13.6%로, 50대 이하 4.5%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일평균 사망 및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22

(100.0)

29,131

(100.0)

0.11

238

(100.00)

성별

남성

12

(54.5)

14,269

(49.0)

0.12

128

(53.8)

여성

10

(45.5)

14,862

(51.0)

0.11

110

(46.2)

연령

80세 이상

13

(59.1)

17,216

(59.1)

2.17

111

(46.7)

70-79

5

(22.7)

6,681

(22.9)

0.50

64

(26.9)

60-69

3

(13.6)

3,367

(11.6)

0.13

30

(12.6)

50-59

1

(4.6)

1,208

(4.0)

0.04

18

(7.6)

40-49

0

(0.0)

396

(1.4)

0.01

9

(3.8)

30-39

0

(0.0)

138

(0.5)

0.01

1

(0.4)

20-29

0

(0.0)

74

(0.3)

0.01

2

(0.8)

10-19

0

(0.0)

17

(0.1)

0.01

1

(0.4)

0-9

0

(0.0)

34

(0.1)

0.01

2

(0.8)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주간 국내 발생 확진자 중 수도권은 일 평균 18,690명(56.2%), 비수도권은 일 평균 14,578명(43.8%)이 발생하였다. 



 ○ 10월 4주간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232,878명, 해외유입 사례는 444명이 확인되어, 주간 신규 확진자는 총 233,322명으로 일평균  33,332명 발생,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5,504,288명(누적발생률 49.4%, 누적치명률0.11%, 해외유입 69,595명)이다.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10. 23.∼10. 29.)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지난 5주간 낮음을 유지하였으나 10월 4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중간’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 확진자 수, 신규 위중증 환자 수 등 발생지표 및 중환자 병상가동률 등 대응역량 지표가 전반적으로 증가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 주간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감소하였으나, 신규 위중증, 입원환자 규모는 증가하여 향후 발생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10월 4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7

8

9

10

2

(7.10.~)

3

(7.17.~)

4

(7.24.~)

1

(7.31.~)

2

(8.7.~)

3

(8.14.~)

4

(8.21~)

5

(8.28~)

1

(9.4~)

2

(9.11~)

3

(9.18~)

4

(9.25~)

1

(10.2~)

2

(10.9~)

3

(10.16~)

4

(10.23~)

전국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수도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비수도권

중간

중간

중간

높음

높음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위중증·사망자 현황]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와 동일하였으며, 일평균 사망자는 전주 대비 5.4% 감소하였다.


  * 주간 재원중 일평균 위중증 환자 수: (10월 1주) 334명 → (10월 2주) 277명 → (10월 3주) 238명→ (10월 4주) 238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10월 1주) 29명 → (10월 2주) 23명 →(10월 3주) 24명 → (10월 4주) 22명



<그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일평균 사망자 발생 현황(’22.10.28. 0시 기준)



   - 10월4주 재원중 일평균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205명(86.1%),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1명(93.0%)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223명(93.7%),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22명(98.7%)




 ○  10월 2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6%, 치명률은 0.07%이었다.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2.10.29 0시 기준)







 ○ ’22년 10월 29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56.4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816.7명(치명률 2.17%)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79.8명(치명률 0.50%), 60대는 47.0명(치명률 0.13%)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


□  10월 4주(10.22~10.29.) 주간 신규 확진자는 233,322명으로 전주 대비 35.5% 증가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33,332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1.17로 2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하였다.


   * 주간 누적: (10월1주) 15.7만 명→ (10월2주) 14.5만 명→ (10월3주) 17.2만 명→ (10월4주) 23.3만 명

  ** 일 평균: (10월1주) 22,457명→ (10월2주) 20,848명→ (10월3주) 24,599명→ (10월4주) 33,332명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2.9.4.~10.29.)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91

(9.4.~9.10.)

92

(9.11.~9.17.)

93

(9.18.~9.24.)

94

(9.25.~10.1.)

101

(10.2~10.8.)

102

(10.9~10.15.)

103

(10.16~10.22.)

104

(10.23~10.29.)

확진자수()

479,658

383,057

234,682

201,740

157,199

145,938

172,193

233,322

일 평균 확진자()

68,523

54,722

33,526

28,820

22,457

20,848

24,599

33,332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132.7

106.0

64.9

55.8

43.5

40.4

47.6

64.5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8

0.8

0.6

0.9

0.8

0.9

1.2

1.4

감염재생산지수(Rt)

0.87

0.82

0.80

0.80

0.87

0.89

1.09

1.17





 ○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전주 대비 증가하였다. 


  - 발생률은 10-19세(87.1명), 80세이상(77.9명), 70-79세(69.3명)의 학령기 및 70세이상의 고령층에서 높았다.


  -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는 전주 대비 증가하였으나 비중은 소폭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  (10월1주) 40,045 →  (10월2주) 36,993 →  (10월3주) 44,607 →  (10월4주) 59,703

     ** 60세 이상 비율(%): (10월1주) 25.5→ (10월2주) 25.3 → (10월3주) 25.9→ (10월4주) 25.6


  - 10월 3주 전체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3.7%(6,552명/175,457명)로, 전주 대비 0.4%p 증가했으며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발생 현황은 요양시설 35.4%(2.318명/6,552명) 요양병원 34.0%(2,229명/6,552명) 주야간보호센터 17.3%(1,134명/6,552명) 순이었다.  


    * 전체 확진자중 감염 취약시설 구성원 비율 (%): (9월4주) 3.2→  (10월1주) 3.3 →  (10월2주) 3.3 →  (10월3주) 3.7

      (해당 사례는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전체 등록자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예’라고 응답한 건)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102

103

104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145,938

(100.0)

40.4

172,193

(100.0)

47.6

233,322

(100.0)

64.5

25,504,288

(100.0)

49,390

성별

남성

64,881

(44.5)

36.0

76,058

(44.2)

42.2

102,143

(43.8)

56.7

11,911,059

(46.7)

46,262

여성

81,057

(55.5)

44.7

96,135

(55.8)

53.0

131,179

(56.2)

72.4

13,593,229

(53.3)

52,499

연령별

0-9

10,296

(7.1)

39.1

11,236

(6.5)

42.7

15,083

(6.5)

57.3

2,797,577

(11.0)

74,397

10-19

16,920

(11.6)

51.3

20,285

(11.8)

61.5

28,711

(12.3)

87.1

3,256,415

(12.8)

69,148

20-29

19,296

(13.2)

41.4

21,476

(12.5)

46.1

29,070

(12.5)

62.4

3,756,652

(14.7)

56,441

30-39

20,301

(13.9)

43.1

24,076

(14.0)

51.2

32,603

(14.0)

69.3

3,718,643

(14.6)

55,309

40-49

21,464

(14.7)

37.5

25,557

(14.8)

44.7

34,776

(14.9)

60.8

3,889,877

(15.3)

47,630

50-59

20,668

(14.2)

34.2

24,956

(14.5)

41.3

33,376

(14.3)

55.2

3,256,361

(12.8)

37,710

60-69

19,059

(13.1)

38.0

22,790

(13.2)

45.4

30,183

(12.9)

60.2

2,692,585

(10.6)

37,581

70-79

11,359

(7.8)

43.7

13,456

(7.8)

51.7

18,025

(7.7)

69.3

1,342,519

(5.3)

36,137

80세이상

6,575

(4.5)

44.6

8,361

(4.9)

56.7

11,495

(4.9)

77.9

793,659

(3.1)

37,650






[재감염 추정사례]


□  10월 3주(10.16.~10.22.)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9.87%로 전주(9.45%) 대비 증가했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9월3주) 10.91%, (9월4주) 10.19%, (10월1주) 10.09%, (10월2주) 9.45%


 ○ (누적발생) ’22.10.23.0시 기준, 24,566,128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575,933명, 누적구성비 2.34% 확인되었다.

   * (9월4주) 181,038명(2.21%), (10월1주) 136,758명(2.25%), (10월2주) 136,229명(2.29%), (10월3주) 160,506명(2.34%)


<그림> 주차별 확진자 수 및 2회감염 추정 비율





[예방접종 효과분석]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0%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0.0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1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0%,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7.9%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22.10.23. 0시 기준)




[병상가동률]


□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2주 연속 증가하여 20%대 이상을 기록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10.3주  → 10.4주): (전국) 18.1% → 23.5%, (수도권) 17.5% → 22.5%, (비수도권) 19.4% → 26.2%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10.3주 → 10.4주): (전국) 28.6% → 33.3%, (수도권)  29.6% → 34.4%, (비수도권) 26.1% → 30.3%




[검출률 분석, 국외발생 현황]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5*는 88.3%(+0.7%p), BA.5의 세부계통 중 하나인 BF.7과 BQ.1.1은 각각 2.2%(-0.5%p)와 1.5%(-1.0%p)로 확인되었다.  

   * (10월3주→10월4주) BA.5 국내감염 94.6% → 93.1%, BA.5 해외유입 57.6% → 57.4%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10.29.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5

BF.7

BQ.1

BQ.1.1

BA.2.75

BA.2.75.2

BA.2.3.20

XBB.1

전체

101

90.6

1.3

0.0

0.0

2.8

0.5

0.8

0.07

102

88.4

1.8

0.5

0.4

3.3

1.0

2.2

0.5

103

87.6

2.7

1.2

2.5

2.6

0.5

1.1

0.3

104

88.3

2.2

1.0

1.5

3.6

0.2

1.3

0.8

국내감염

101

96.4

0.9

0.0

0.0

1.3

0.3

0.2

0.0

102

96.2

0.4

0.3

0.2

0.5

0.5

1.0

0.2

103

94.6

1.9

0.2

0.4

1.4

0.2

0.5

0.2

104

93.1

1.5

0.4

0.7

2.3

0.1

0.7

0.5

해외유입

101

73.5

2.6

0.0

0.0

7.4

1.0

2.6

0.3

102

61.4

6.6

1.4

0.8

12.9

2.7

6.3

1.6

103

57.6

6.6

5.2

11.4

7.9

1.4

3.8

0.7

104

57.4

6.5

4.6

6.0

11.6

0.5

5.1

2.8





[먹는 치료제 처방률]


□ 10월 4주차(10.23~10.29) 시도별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31.7%로 지난주(28.9%) 대비 2.8%p 증가하였다. 



<그림> 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월별 처방률







[국외 발생 동향]


□ 국외 발생은 ’22년 42주차(10.17.∼10.23.)에 신규발생 276만명(WHO기준)으로 발생의 감소세가 유지되고 있다.


   * 전 세계 : (42주) 확진 2,766,721명(-13.8%), 사망 8,761명(-12%)


 ○ BQ.1형, BQ.1.1형, XBB형 등 하위 변이가 증가하는 독일, 프랑스, 미국, 싱가포르에서 증가하던 발생이 최근 감소 또는 유지하고 있다.


     * (독일) 6주 연속 증가하던 발생이 최근 1주 감소, 사망자 수도 2주 연속 감소

    ** (프랑스) 6주 연속 증가하던 발생이 최근 1주 감소, 사망자 수는 5주 연속 증가

   *** (미국) 발생 및 사망자 수 유지

  **** (싱가포르) 6주 연속 증가하던 발생이 최근 1주 감소, 사망자 수는 5주 연속 증가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첨부파일 참고





 3. 동절기 추가 접종 권고 및 기본 방역수칙 준수 당부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겨울철 코로나19 재유행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동절기 추가접종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동절기 코로나19 추가접종은 18세 이상 성인 기초접종 이상 완료자를 대상으로 하되, 건강취약계층(1순위) 및 50대, 기저질환자, 보건의료인(2순위)에게는 접종을 권고한다.


  - 마지막 접종 또는 확진일 기준 4개월(120일) 이후 접종을 권고한다. 따라서, 4차접종을 완료한 후 4개월(120일)이 지난 18세 이상 성인은 동절기 추가접종 대상이 된다.



 ○ 사전예약은 누리집(http://ncvr.kdac.go.kr), 1339 콜센터,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 할 수 있으며, 온라인 이용이 불편한 고령층 등은 가족들의 대리예약도 가능하다.


  - 당일접종도 가능하며, 의료기관 예비명단과 네이버, 카카오 플랫폼을 통한 누리소통망(SNS) 잔여백신 예약서비스를 활용하여 참여할 수 있다.



 ○ 한편, 아직까지 한 번도 코로나19 백신접종을 하지 않으신 분들의 기초접종 완료, 고령층 및 소아청소년 등 고위험군의 인플루엔자 접종에도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를 비롯한 다양한 호흡기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마스크 착용, 손씻기, 기침예절 준수 등 기본방역수칙을 생활화하여 안전한 일상을 회복하는데 동참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특히, 다수와 밀집된 상황에서 대화하는 경우, 고위험군과 밀접 접촉하는 경우,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자율적인 실외 마스크 착용을 적극 권고한다.



 ○ 또한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에 따르면, 올바른 손씻기를 통해 코로나19, 인플루엔자와 같은 호흡기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만큼, 코로나19 일상회복 과정에서 올바른 손씻기의 실천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특히, 손을 씻을 때에는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동안’을 지키고, 기침이나 재채기 후, 외출 후, 식사 전·후, 화장실 이용 후 등 수시로 손을 잘 씻어야 한다.



 ○ 기침할 때에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고, 사용한 휴지나 마스크는 바로 쓰레기통에 버리도록 한다. 





 4.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 11월 01 (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6,036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5.9%, 준-중증병상 37.0%, 중등증병상 20.9%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2.6%이다. 


< 11.01.(화)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 : 첨부파일 참고





[재택치료 현황]


□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는 54,349명으로, 수도권 30,301명 비수도권 24,048명이다. 현재 225,927명이 재택치료 중이다.(11.02. 0시 기준)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4,015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0,240개소가 있다.(11.1. 17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80개소 운영되고 있다.(11.02. 0시 기준)







 5. 이동량 분석 결과



□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통계청이 제공한 휴대전화 이동량 자료*를 기초로 이동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 S이동통신사 이용자가 실거주하는 시군구 외에 다른 시군구의 행정동을 방문하여 30분 이상 체류한 경우를 이동 건수로 집계


 ○ 거리두기 해제 28주차(10.24~10.30.) 전국 이동량은 2억 8,891만 건으로, 전 주(10.17.~10.23.) 이동량(2억 8,844만 건) 대비 0.2%(47만 건) 증가하였다.


   - 수도권은 1억 5,767만 건으로 전 주(10.17.~10.23.) 1억 5,722만 건 대비 0.3%(45만 건)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1억 3,124만 건으로 전 주(10.17.~10.23.) 1억 3,122만 건 대비 0.01%(2만 건) 증가하였다.


 ○ 코로나19 발생 이전 2019년도 동기(44주차) 전국 이동량은 2억 7,208만 건으로, 현재 이동량은 2019년 동기에 비해 6.2%(1,683만 건) 증가한 수치이다.


< 주간(월요일~일요일) 이동량 추이 분석 >


(단위 : 만 건)

구분

1주차

(11.1.~11.7.)

23주차

(9.19~9.25)

24주차

(9.26~10.2)

25주차

(10.3.~10.9.)

26주차

(10.10.~10.16.)

27주차

(10.17.~10.23)

28주차

(10.24.~10.30.)

거리

두기

단계

거리두기 이전

단계적 일상회복 (11.1~)

사회적거리두기 해제(4.18~)

주간 이동량

전국

25,141

-

26,590

28,590

28,548

데이터미제공

28,844

28,891

직전 주 대비 증감

-

4.5%

7.5%

10.0%

1.0%

(전전주대비)

0.2%

수도권

13,137

-

14,088

14,986

15,155

데이터미제공

15,722

15,767

직전 주 대비 증감

-

6.1%

6.4%

1.1%

3.7%

( 전전주대비)

0.3%

비수도권

12,004

-

12,503

13,604

13,393

데이터미제공

13,122

13,124

직전 주 대비 증감

-

2.7%

8.8%

1.6%

2.0%

( 전전주대비)

0.01%






 6. 코로나19 방역 관련 보이스․메신저 피싱 주의 필요



□ 최근 질병관리청 직원 및 콜센터(1339)를 사칭하여 코로나19 방역지원 관련 보이스·메신저 피싱* 의심사례가 발생되고 있어 국민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 카카오톡‧문자 등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이루어지는 피싱 

   ※ 최근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를 통해 관련 사례 접수됨


 ○ 질병관리청에서는 코로나19 방역지원 관련 내용으로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와 신용카드 정보 및 은행 계좌번호 등 금융정보를 요청하고 있지 않으므로,


 ○ 방역지원 URL 접속유도 및 어플 설치,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이에 따르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 (사례) 1339전화번호로 질병관리청 직원을 사칭하여, ‘방역비 지원 문제로 핸드폰 어플 설치 및 방역비․방역물품 제공을 위해 신분증과 카드정보’를 요청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10. 29. 기준)

        4.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5.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10.23. 0시 기준)

        6.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현황(10.23. 0시 기준)

        7. 감염취약시설 발생 현황(10.22. 기준)

        8.「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