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의 성과공유와 발전방향 논의 (11.10.목)
  • 작성일2022-11-10
  • 최종수정일2022-11-10
  • 담당부서뇌질환연구과
  • 연락처043-719-8634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의 성과공유와 발전방향 논의


-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성과 보고회 개최 - 





- 주요 내용 -


□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의 5년간(2017년-2021년) 주요 성과발표


 ○ 사업의 주요 성과 : 국내 뇌졸중 환자특성, 치료행태 등에 관한 통계집 발간 및 국내 뇌졸중 진료의 질관리 지표 개발



□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의 향후 추진 계획 공유 및 발전방향 논의

  * 코호트 : 어떤 특성(예: 특정 환자군 등)을 공유하는 많은 사람들의 모임. 참여자의 임상자원 수집 및 장기 추적조사를 통해 질병 원인 및 진단법, 치료법 등의 연구에 활용

 ** 레지스트리 : 특정 질병(예: 급성기 뇌졸중, 심부전 등)에 대한 통계치 산출을 주 목적으로 환자를 등록 후 데이터를 수집, 관리하는 것으로 코호트와 달리 추적조사나 중재연구를 대부분 수행하지 않음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권준욱)은 11월 10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CRCS-K-NIH/KSR)* 성과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뇌질환연구과에서 기획·지원하여 2017년부터 구축한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전국 16개 병원, 약 2만 5천여명)와 레지스트리(전국 55개 병원, 약 6만 6천여명)

  ** 대한뇌졸중학회 국제학술대회(ICSU 2022) 내 분과로 진행




□ 이번 행사는 국립보건연구원 뇌질환연구과가 지원한 2017년부터 5년간의 사업 성과를 보고하는 자리로, 국립보건연구원(뇌질환연구과, 심혈관질환연구과)과 사업참여 연구진(CRCS-K-NIH, KSR), 대한뇌졸중학회 회원 등 관계자가 참석한다.



 ○ 행사의 전반부에는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의 현황과 우수 성과가 소개되고, 후반부에는 코호트/레지스트리의 향후 발전 계획에 대한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 더불어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의 경과와 주요 성과를 정리한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CRCS-K-NIH/KSR) 성과집 (2017-2021)」을 발간·배포한다.




□ 지난 5년간 국립보건연구원 뇌질환연구과가 지원한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의 주요 성과로, 



 ○ 국내 뇌졸중 환자 진료 및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가 될 통계집 발간 및 환자 예후 관련 위험인자 등을 규명한 다수의 논문 발표, 뇌졸중 진료의 관리, 평가 등을 위한 지표 개발로 뇌졸중 센터 인증에 활용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지난 5년간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뇌졸중 환자의 특성, 치료, 예후 등에 대한 통계가 산출·발표되었고 참여 연구진들에 의해 22편의 SCI 논문이 발표되었다”면서,



 ○ “본 사업의 성과가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고 뇌졸중 환자의 진료지침 개발, 예방관리 및 예후 개선방안 마련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CRCS-K-NIH/KSR) 성과집(2017-2021)」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nih.go.kr) 및 대한뇌졸중학회(stroke.or.kr) 누리집에 게시될 예정이다.




<붙임>  1.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성과 공유회 개요 및 일정

          2.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 개요

          3. 급성기 뇌졸중 코호트/레지스트리 사업 주요 성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