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질병관리청, 현장 찾아 접종 호소(11.24.목)
  • 작성일2022-11-24
  • 최종수정일2022-11-25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2


질병관리청, 현장 찾아 접종 호소




 1. 지역보건의료협의체 및 감염취약시설 현장방문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11월 24일부터 일주일 동안 지역보건의료협의체 및 감염취약시설 현장방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이번 현장방문 계획은 질병관리청 간부들이 17개 시도의 지역보건의료협의체와 감염취약시설을 직접 찾아 접종의 필요성, 백신의 효과성과 안전성, 지자체 및 의료계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 이를 통해, 일선 의료현장과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고, 동절기 집중 접종기간 접종률 제고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다. 




<동절기 집중 접종기간 (11.21. ~ 12.18.) >


○ (추진목표) 60세 이상 고령층 50%, 감염취약시설 60% 접종률 달성  


○ (메시지) 동절기 접종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연말연시를 준비합시다.




□ 백경란 청장은 “최근 동절기 접종률이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국민들께서 백신에 대한 정보와 안전성에 대한 믿음이 있으셨기 때문으로 생각한다”고 밝히며, 



 ○ “현장과 더 자주 소통하고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공유하여, 안심하고 백신을 접종하실 수 있도록  안내드리겠다”고 덧붙였다.





 2 이상사례 신고현황 주간 분석 결과(90주차)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사례에 대한 주간(90주차, 11.20. 0시 기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이상사례 통계는 ‘만 나이’ 기준 예방접종 건수를 기반으로 산출 



 ○ 전체 예방접종 131,102,873건 중 이상사례는 480,239건(접종 천 건당 3.7건)이 신고되었고, 일반 사례는 460,920건(96.0%), 중대한 사례는 19,319건(4.0%)이었다. 


    * 일반 이상사례는 주사부위의 통증, 발적 등 국소이상반응과 발열, 근육통 등 전신이상반응 중대한 이상사례는 특별관심 이상사례 등 주요 이상사례(경증 포함) 및 사망 사례

   ※ 89주~90주 동안 신고된 이상사례는 527건


   - (백신별) 기존 단가 백신접종 129,024,362건 중 이상사례는 479,547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3.7건(접종 천 건당)이었고, 2가 백신접종 2,078,511건 중 이상사례는 692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3건(접종 천 건당)이었다.



[ 백신별 이상사례 신고건수 및 신고율 ]

구분

백신명

이상사례 신고()

신고율(접종 천 건당)

단가 백신

전체

479,547

3.7

아스트라제네카

110,345

5.4

화이자

246,031

3.0

모더나

113,079

4.5

얀센

8,883

5.9

노바백스

1,207

1.4

스카이코비원

2

0.6

2가 백신

전체

692

0.3

모더나(BA.1)

573

0.4

화이자(BA.1)

66

0.2

화이자(BA.4/5)

53

0.2



  - (소아·청소년) 5~18세 예방접종 6,769,484건 중 이상사례는 21,371건(접종 천 건당 3.7건)이 신고되었고, 신고사례 중 일반 이상사례는 20,743건(97.1%), 중대한 이상사례는 628건(2.9%)이었다.

     ※ 자세한 내용은 https://ncv.kdca.go.kr 〉 이상반응 〉 이상반응 발생동향 〉국내 이상반응 발생동향 〉 코로나19 예방접종 안전성 보고서(88주차)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접종 이후 발생할 있는 이상사례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이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사례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이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이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예방접종 이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특히, 예방접종 이후 이상사례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이후 이상사례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이상사례 신고만으로 피해보상 절차가 진행되지는 않으므로, 피해보상을 신청하고자 하는 경우는 의사 등이 이상사례를 신고한 이후 접종받은 자(또는 보호자)가 필요서류를 구비하여 관할 보건소로 신청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 현재,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목록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에 게재하였으며, 질병관리청 콜센터(국번없이 1339)를 통해서도 관련 내용을 안내받을 수 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이상반응]-[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보상신청]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알림·서식]-[서식]의 신청양식 참조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11. 17.~11. 23.)

           2.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통계 현황(11. 24.(목) 0시 기준)

           3. 동절기 추가접종 안내문 (일반인용)

           4. 동절기 추가접종 안내문 (어르신용)

           5. 동절기 추가접종 2가백신 알아보기 (안내문)

           6. 동절기 추가접종 Q&A

           7. 감염병 보도준칙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