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11.30.수.행사시작(14시)이후] 기후변화 건강영향 국민 63.2%가 심각하다고 인식
  • 작성일2022-11-30
  • 최종수정일2022-12-01
  • 담당부서미래질병대비과
  • 연락처043-219-2951


기후변화 건강영향 국민 63.2%가 심각하다고 인식

 

- 기후보건 인식 제고를 위한 공개토론회 개최 -  




- 주요 내용 -


□ 기후변화에 관심은 높으나, 기후변화에 따른 국민 건강영향위험 인식은 낮은편

   * 기후변화 걱정 87.4%, 탄소중립정책 동의 78.1%, 반면 기후변화 건강영향 우려 63.2%


 ○ 기후보건정보가 충분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30.3%에 불과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11월 30일(수) 14시에 서울대학교 암연구소에서 「2022년 기후보건 위험 인식 제고를 위한 공개토론회」를 개최하였다.



 ○ 이번 공개토론회는 질병관리청과 대한예방의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여,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기후변화에 따른 국민 건강영향 인식도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 「제1차 기후보건영향평가*」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개발한 시각화 자료**의 활용방안 등 기후보건에 대한 소통 및 교육·홍보 방안을 논의하였다.

     * 「보건의료기본법(제37조의2)」 5년 주기로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 영향을 조사·평가함. 제1차 기후보건영향평가는 3개 영역(기온, 대기질, 감염병) 및 31개 지표를 중심으로 응급실 감시체계, 건강보험 자료 분석 및 예측 모델링 등을 통해 최근 10년간의 영향 평가함.

    ** 소책자, 카드뉴스, 교육용 슬라이드, 동영상 등




□ 기후보건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 “기후변화가 건강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심각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63.2%였다.

   * (온라인 설문) 전국 만19세 이상 남녀 1,500명 대상 성별/연령별/권역별 인구비례 할당 추출 



 ○ (기후보건위기) 기후변화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는 응답(87.4%)에 비해,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을 심각하게 생각하는 정도는 낮았고, 


  - “심각하거나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한 성별 비율은 남자가 61.6%, 여자가 64.8%로 나타났으며, 


  - 연령별 비율은 60대 이상 인식도가 70.5%인 반면 20대는 42.9%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붙임2 참고)



[ 그림 1. 기후변화 기인 건강영향 심각성 ]




 ○ (기후보건영향평가) 응답자의 78.1%가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정부정책에 동의한다고 응답하였으나,


  - 질병관리청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후보건영향평가는 9.1%만 “잘 알고 있었다”고 응답하였고, 84.7%가 “모르거나 알고 있었지만 자세히는 몰랐다”고 응답하였다.(붙임2 참고)


  - 남성의 경우 40.6%, 여성의 48.2%(전체 44.4%)가 기후보건영향평가를 몰랐던 것으로 나타났다.(붙임2 참고)



[ 그림 2. 기후보건영향평가 인지도 ]




 ○ (기후보건정보 충분성)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다”고 느끼는 응답자는 30.3%에 불과하였다.


  -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자는 69.7%였으며, 연령별로는 30대에서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응답이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붙임2 참고)



[ 그림 3.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 충분성 ]




 ○ (기후보건 정보수요)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가장 관심있는 분야 중 1순위로 꼽은 것은 일반건강/질환정보(32.0%)로, 뒤를 이어 기후보건정책(26.2%), 안전·행동 및 대응수칙(21.3%) 순으로 나타났다.



[ 그림 4.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심 분야 ]




□ 질병관리청 건강위해대응관 권병기 국장은 “인식도 조사 결과 기후변화와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높으나, 관련 정보의 전달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히며, 



 ○ “기후보건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를 위하여 과학적 근거 기반 콘텐츠를 개발하여 국민소통에 활용해 나갈 것이며, 이번 공개토론회가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민 관심을 유도하고 인식을 제고하는 자리가 되었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붙임>  1. 공개토론회 안내 포스터

         2. 「2022년 대국민 인식도 조사」 주요 결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