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9.6.수.행사시작시간(13시30분)이후] (경북권질병대응센터) 경북권 건강격차 감소 방안 논의를 위한 소통의 장 열려
  • 작성일2023-09-06
  • 최종수정일2023-09-07
  • 담당부서경북권질병대응센터
  • 연락처053-550-0669


(경북권질병대응센터)

경북권 건강격차 해소 방안 논의를 위한 소통의 장 열려


- 경북권질병대응센터, 「2023년 경북권 건강격차 해소 전략 포럼」 개최

- 경북권 건강격차 최소화를 위한 미래전략 방안 모색




  질병관리청 경북권질병대응센터(센터장 직무대행 손태종)는 9월 6일(수) 호텔인터불고 대구 파크빌리지(대구광역시 수성구)에서「경북권 건강격차 해소전략 포럼」을 개최한다.(붙임 1 참고)


  질병관리청과 경북권질병대응센터, 2개 시·도의 35개 보건소, 4개 책임대학이 함께 수행한 경북권 지역사회건강조사 주요 지표* 시‧군‧구 간 격차 확인 결과, 


* 지역사회건강조사 주요 건강지표(25)

영역 구분

지표명

건강행태(14)

현재흡연율, 남자 현재흡연율, 월간음주율, 고위험음주율,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걷기 실천율, 건강생활실천율, 연간 체중조절 시도율, 아침식사 실천율, 영양표시 활용률, 어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 주관적 건강인지율, 동승차량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음주운전 경험률(자동차, 오토바이)

정신건강(2)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

만성질환 관리(9)

비만율(자가보고), 혈압수치 인지율, 고혈압 진단 경험률(30세 이상), 고혈압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 혈당수치 인지율, 당뇨병 진단 경험률(30세 이상), 당뇨병 진단 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 뇌졸중(중풍) 및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



  경북권은 지난 6년간(`17년~`22년) 심근경색 및 뇌졸중(중풍) 조기증상 인지율, 걷기실천율의 경우 대구‧경북권 내 시‧군‧구 간 격차가 크게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격차 수준을 보이고 있다. 


* 심근경색 조기증상 인지율: 63.1%p(`171)37.6%p(`223)
뇌졸중(중풍) 조기증상 인지율: 62.1%p(`172)27.1%p(`228)
걷기실천율: 49.6%p(`174)31.8%p(`225)



  또한, 동승차량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혈당수치 인지율 및 당뇨병 진단 경험자 치료율은 지역사회에서 건강행태 인식도 향상 등 다양한 보건사업을 수행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구‧경북권 내 시‧군‧구 간 격차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동승차량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 19.4%p(`1718)43.4%p(`221)
혈당수치 인지율: 22.3%p(`1713)38.5%p(`222)
당뇨병 진단 경험자 치료율: 20.3%p(`1716)28.9%p(`227)



  이번 포럼은 “경북권 건강격차 최소화를 위한 미래전략 방안”을 주제로, 경북지역 지역 간 건강격차 해소사업*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지자체, 전문가 등 다양한 관계자와 건강격차 개선 및 사업결과 활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지역 간 건강격차 해소사업

-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기대수명, 건강상태 등 지역 간 건강형평성 문제가 지속 발생하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건강문제 해소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자체적으로 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질병관리청과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



  이 날 포럼의 1부에서는 「경북권 건강격차 현황과 지역보건 정책방향」을 주제로, 지역 통계를 통해 대구와 경북지역 내 건강격차 상황을 살펴보고, 지역 보건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2부에서는 ‘경상북도 김천시와 문경시 간 금연시도율 격차 원인규명 및 해결방안 개발 사업’과 ‘영양군 소지역 건강격차 해소 시범사업’ 소개 및 추진현황을 발표한다.



  3부 지정토론에서는 지자체와 학계 전문가들이 「지역 간 건강격차 해소전략 및 사업결과 활용방안 마련」을 주제로 논의를 진행한다.



  손태종 경북권질병대응센터장은 “이번 포럼이 지역 건강격차를 줄여나가기 위한 유익한 소통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하면서,



  “권역질병대응센터에서도 건강문제 최소화를 위해 다양한 그룹들 간 협력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2023년 경북권 건강격차 해소전략 포럼」 행사 개요

          2. 2017-2022년 지표별 전국·경북권(대구·경북) 시·군·구 중앙값 및 격차

          3.「2023년 경북권 건강격차 해소전략 포럼」 행사 포스터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