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9.22.금.조간] 2022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 피폭선량 통계연보 발간
  • 작성일2023-09-21
  • 최종수정일2023-09-20
  • 담당부서의료방사선과
  • 연락처043-219-7512


2022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 피폭선량 통계연보 발간



- ’22년 방사선관계종사자는 10만 6,165명, 지난 5년간 약 19.3%(17,140명) 증가


- 방사선관계종사자 1인당 연간 평균 피폭선량은 0.38mSv*(밀리시버트), 작년과 동일

  * 인체 조직 및 장기의 방사선 민감도를 반영한 방사선량의 측정단위 


- 피폭선량 지속적 감소를 위해 종사자 인식개선 및 안전관리 수칙 준수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의료기관의 진단방사선 분야에 근무하는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한 해 동안 받은 방사선 노출량을 분석하여, 「2022년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 연보」를 발간하였다(9.22.).

  * 방사선관계종사자 :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가 설치된 의료기관에 근무하여, 직업적 방사선피폭에 노출 우려가 있는 종사자 


  이번 연보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방사선관계종사자 수, 피폭선량 추이 및 피폭선량을 직종 · 나이 · 성별 · 지역 등으로 구분하여 수록하였다.


  2022년 진단방사선 분야의 방사선관계종사자 수는 10만 6,165명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약 4.7%씩 증가하였으며, 이 중 방사선사, 의사, 치과의사의 세 직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72% 이상이었다.

  * 5년간 증가율 : ’18년 5.6%(89,025명)→ ’19년 6.0%(94,375명)→ ’20년 3.6%(97,801명) → ’21년 4.3%(101,964명)→ ’22년 4.1%(106,165명)


  2022년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연간 평균 방사선 피폭선량은 0.38mSv(밀리시버트)이며 전년과 동일 수치를 나타냈다.



  직종별 연간 평균 피폭선량은 방사선사가 0.82mSv로 가장 높고, 의사 0.28mSv, 간호조무사가 0.24mSv로 그 뒤를 이었다. 치과위생사는 0.13mSv로 전체 직종 중 가장 낮은 선량값을 보였다.


  의료방사선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반드시 필요하지만 불필요한 과다노출은 암 발생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의료방사선 기기의 취급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방사선관계종사자는 직업적으로 방사선에 노출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개인피폭선량계와 방사선 방어기구를 올바르게 착용하는 등의 안전 수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의료기관의 방사선 안전관리책임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피폭선량이 높은 종사자에 대한 관리** 등 피폭선량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안전관리책임자 교육 : 「의료법」제37조제3항 안전관리책임자로 선임된 사람은 선임된 날부터 1년 이내에 안전관리책임자 교육을 받아야 하며, 주기적(2년)으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 분기 피폭선량 5mSv 초과자는 주의통보를 하고, 20mSv 초과자는 현장조사 후 종사자 교육실시(의료기관 안전관리책임자 주관 자체 교육)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피폭선량을 낮추기 위해서는 안전관리책임자들의 적극적인 교육 참여와 종사자의 안전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면서, “질병관리청은 앞으로 안전한 의료방사선 환경조성을 위하여 안전관리책임자 교육, 방사선 발생장치 안전관리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주요 용어설명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