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10.27.금.행사시작(10시)이후] 결핵퇴치를 위해 민간과 공공이 함께 걸어온 한 해, 그 성과를 돌아보다
  • 작성일2023-10-27
  • 최종수정일2023-10-26
  • 담당부서결핵정책과
  • 연락처043-719-7325


결핵퇴치를 위해 민간과 공공이 함께 걸어온 한 해, 그 성과를 돌아보다.


- 민·관 협력을 통해 11년 동안 결핵 발생 60% 감소(5만명 → 2만명)

- 다제내성결핵 치료성공률 75.5%, OECD 평균(65.1%)보다 10%p 이상 높아

- 최근 결핵 발생 증가 우려, 위기 극복 위해 민·관 협력 강화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이사장 정만표)와 함께 10.27.(금) “2023년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평가대회”를 개최한다.

  * (일시) 2023.10.27.(금) 10시∼17시, (장소) 서울드래곤시티 그랜드볼룸 한라(3층)

 ** (주최) 질병관리청, (주관)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민간·공공협력(Public-Private Mix, PPM) 결핵관리사업(이하, PPM 사업)은 정부와 민간 의료기관이 협력하여 결핵환자를 치료종료까지 관리하는 사업으로, 결핵환자의 80% 이상이 PPM 참여 의료기관(’23년 187개소)에서 치료받고 있다(붙임 1 참고).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행되어온 PPM 사업의 성과에 힘입어, 우리나라 결핵 발생은 2022년까지 지난 11년 동안 60%가량 대폭 감소하였다.

  * 결핵 발생: (’11년) 50,491명 → (’22년) 20,383명(△59.6%)


  결핵환자의 치료 측면에서도 PPM 사업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에서 치료받은 환자가 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기관 환자보다 치료성공률이 8.4%p* 높았고,

  * 감수성결핵 치료성공률: PPM 참여기관 81.2%, PPM 미참여기관 72.8%(’21년)


  특히,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결핵의 치료성공률은 신약 사용 확대와 전문가 컨소시엄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 결과 75.5%를 보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65.1%*에 비해 10.4%p 높았다.

  * 출처 :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2(WHO)」, OECD 38개국 중 치료결과를 보고한 29개국 평균(’19년 신고환자 기준)



  그러나 최근 2023년 3분기까지 결핵환자 신고 건수는 전년도 같은 기간에 대비하여 오히려 0.1%가 증가하였고, 특히 이러한 증가세는 65세 이상에서 뚜렷(5.0% 증가)한 상황이다. 



  이번 평가대회에는 시·도 및 보건소 결핵업무 담당자, PPM 사업 참여기관 의료진 등 전국의 결핵관리업무 관계자 약 600명이 참석하여 결핵관리 성과를 공유하고, 최근 결핵 발생 증가 등 직면한 위기 극복 방안 등을 논의한다.



  특히, 최근 결핵 발생 증가가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만큼, △취약·다제내성결핵환자 관리 강화 방안과, △결핵환자관리 강화를 위한 개선 활동 등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한다(붙임 2 참고).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올해 결핵관리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11개 기관에 대해 포상과 격려를 하며(붙임 3 참고), 


  “2011년부터 확충·강화해온 민간·공공협력 사업이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도 결핵 관리 안전망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결과, 2022년까지 결핵 감소세를 이어올 수 있었다”고 감사를 전했다.


  “그러나 2023년 들어 국내 결핵 발생이 증가세로 전환될 위기 상황에 있는 만큼, 지난 3월 발표한 「제3차 결핵관리종합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과 민·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그간 성과를 견인 가속화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정만표 이사장도 “우리나라의 지속적인 결핵환자 감소는 결핵 퇴치를 위한 우리 모두의 열정과 노력의 결과”라고 평가하면서,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결핵환자가 증가하는 등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도 다시 증가할 수 있는 중요한 기로에 있는 시점”이라면서, “민간과 공공의 협력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붙임>  1.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개요

           2.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평가대회 세부일정

           3. 결핵관리 우수기관 포상 수상기관

           4. 결핵환자 발생 현황

           5. 65세 이상 어르신 무료 결핵검진 홍보 포스터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