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5.22.수.행사시작(13시) 이후] 질병관리청‧소방청 공동,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향상을 위한 워크숍 개최
  • 작성일2024-05-22
  • 최종수정일2024-05-21
  • 담당부서손상예방정책과
  • 연락처043-719-7411


질병관리청‧소방청 공동,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향상을 위한 워크숍 개최


- 질병관리청·소방청 공동 주최로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 개최

- 압박성 질식 등 특수상황에 대한 구급대원의 경험 공유 및 생존율 향상 전략 토론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과 소방청(청장 남화영)은 5월 22일(수) 13시부터 16시까지 대구 EXCO(대구광역시 북구 소재)에서 「제7차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에는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해 질병관리청과 소방청, 119구급대원과 서울대학교병원 중앙품질관리지원단(응급의학 연구진) 등 약 100명이 참석하여 압박성 질식, 익수 등 특수상황 환자에 대한 119구급대원과 응급의학 전문가들의 경험을 공유하고,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식전 행사로는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과 관리 방안’에 대한 배원초 질병관리청 손상예방정책과장의 특강을 시작으로, 중앙품질관리지원단 서영빈 팀장의 ‘2023년 심장정지 핵심 지표와 소방서별 현황’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특히, 119구급대원의 심폐소생술로 생명을 구한 생존자들의 모임인 리본(Re:Bone)클럽의 생존자 회원들이 함께 참석하여 감사 이벤트를 진행하게 된다.


  이후 1부 순서에서는 ‘외상성 심장정지 상황에서의 현장대응 발전 방향’을 주제로 한수명 소방장(서울 성북소방서)이 외상성 심장정지 환자에 대한 대응 경험을 공유하고, 이어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최슬기 교수가 군중 압착으로 발생한 다수사상 심정지의 특성과 소생률 향상을 위한 현장 처치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진다.


  2부에서는 ‘특수상황에 대한 심정지 생존율 향상 전략’을 주제로, 이재현 소방위(부산 해운대소방서)가 ‘익수 상황에서 심정지 생존율 향상 방안’에 대해 신고에서부터 현장 처치, 이송에 이르기까지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허단희 소방위(경북 예천소방서)는 ‘감전 상황에서의 심정지 생존율 향상 방안’을, 박철우 소방장(경기 광주소방서)은 ‘신생아/영아/소아의 심정지 생존율 향상 방안’에 대해 각각 현장에서부터 병원 이송 단계까지의 생생한 경험을 토대로 현장 전문 처치 향상 방안을 소개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구급 품질 관리의 주요 지표인 생존율, 뇌기능회복률 등을 높이기 위해 급성심장정지조사 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등 소방청과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남화영 소방청장은 “질병관리청 및 응급의학 전문가들과의 긴밀한 협업으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여러 특수상황에 대한 119구급대원의 전문처치 역량을 향상시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더욱 높이도록 하겠다.”라고 밝혔다.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은 앞으로도 상호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심정지 환자의 발생 현황과 치료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 향상에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붙임>  1. 제7차 급성심장정지 구급품질 향상 워크숍 일정

           2. 2022년 급성심장정지조사 주요 결과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