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6.13.목.조간] '생물안전 전문가 다 모였다' 2024년 한국 생물안전 콘퍼런스 개최
  • 작성일2024-06-12
  • 최종수정일2024-06-12
  • 담당부서생물안전평가과
  • 연락처043-719-8041


‘생물안전 전문가 다 모였다’  2024년 한국 생물안전 콘퍼런스 개최


- 질병관리청 제12회 한국 생물안전 콘퍼런스 개최(6월 13일(목)∼14일(금))

- 질병관리청,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가 공동 주최하고, (사)한국생물안전협회가 주관

- ‘생물안전’과 관련한 사람·가축·수산생물·야생동물·식물 분야의 관리 동향과 국내·외 이슈 공유 및 발전방향 논의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안전한 질병연구와 산업발전을 위한 생물안전 관리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6월 13일(목)부터 6월 14일(금)까지 제주 휘닉스 아일랜드에서 「2024년 한국 생물안전 콘퍼런스」를 개최한다(붙임 1 참고).


  2013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12회를 맞이하는 「한국 생물안전 콘퍼런스」는 사람, 가축, 수산생물, 야생동물 및 식물 분야의 생물안전을 관장하는 5개 부처*가 공동주최하고 (사)한국생물안전협회가 주관하여 개최한다.

  * 질병관리청,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생물안전이란 병원체 또는 유전자변형생물체가 갖고 있는 잠재적 위해성을 평가하고 생물학적 지식과 실험기술, 장비·시설 등의 적정한 사용을 통하여 실험종사자, 지역 사회 및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개념이다.

  * 상세 정의 확인: 질병관리청 누리집(http://cdc.go.kr/) >> 정책정보 >> 생물안전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신기술이 도입된 연구·개발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연구활동 종사자의 감염과 병원체 유출로 인한 지역 사회 감염병 유행 등을 예방하기 위해 생물안전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이번 행사를 통해 생물안전의 역할과 중요성을 알리고 국내·외 이슈와 관리 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사전 행사(2개 주제)와 본 행사(2개 주제)로 구성되며, 6월 13일 오후에 열리는 본 행사 개회식에서는 생물안전 분야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개인과 기관을 대상으로 시상식을 진행할 예정이다(붙임2 참고).


  6월 13일 오전에 진행되는 사전행사는 ‘생물안전 시설 유지관리’, ‘생물안전 운영 및 관리’를 주제로 다양한 강의, 토론을 통해 생물안전 연구자와 시설관리에 필요한 정보와 전문지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6월 13일 오후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본행사는 싱가포르 ㈜연구실 바이오리스크 컨설팅 및 교육 대표 사바이 퓨 박사의 ‘해외 생물안전 동향 및 사례’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국내 전문가들의 ‘생물안전 기술 동향’에 관한 주제 발표*와 주최기관들의 생물안전 관련 법·제도 안내를 위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 △감염병 연구의 과거, 현재, 미래(고려대학교 김기순 교수), △의료환경에 적합한 자외선 소독기 개발과 임상평가(울산대학교 정재심 교수)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를 겪으며 생물안전 연구시설 국가 인프라와 훈련된 인력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었다. 우리나라가 감염병 진단과 백신·치료제 개발분야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는데, 높은 수준의 국가 생물안전 체계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강조하며, 


  “본 행사는 생물안전 분야의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정부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심도 있게 논의하는 소중한 자리이며, 콘퍼런스에서 논의된 내용은 생물안전 관리 정책의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붙임>  1.「2024 한국 생물안전 컨퍼런스」 행사 개요

          2.「2024 한국 생물안전 컨퍼런스」 포상자 명단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